• 제목/요약/키워드: 미국 패션 디자이너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7초

1760년대 말 미국여성복식에 나타난 홀치기염 패션 -내용분석법을 이용하여- (Tie-dyed Fashion Appeared in the American Women′s Costume of the Late 196o′s - Using a content analysis method -)

  • Kim, Hye-Kyung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728-1737
    • /
    • 2001
  • 1760년대 말의 미국문화는 전통적인 가치관에 반발하는 청년문화운동의 화산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데 이러한 사회적인 변화는 복식에 새롭고 혁신적인 스타일을 가져오게 되는 요인이 되었다. 특히 이 시기의 미국의 청년층에 의해 일어난 반문화적인 현상으로 인식되어 온 동앙문화의 도입은 미국의 여성복식에 tie-dyeing(홀치기염)패션의 출현으로 복식에 반영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지금까지 복식 학자들에 의한 단편적인 추론으로만 설명되어 왔던 1960년대 말 미국여성복식에 나타난 홀치기염 패션의 특성에 관하여 문화적인 배경에 관한 고찰과 함께 이 시기에 출판된 정기 간행물을 연구의 일차자료로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1955년부터 1975년 사이에 출판된 Vogue와 Mademoiselle 잡지에 실린 홀치기염 패션 사진자료를 내용분석법을 이용하여 수집하여 의류품목, 소재, 기법, 디자이너 및 제조업 체에 관한 내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두 종류의 잡지 모두에서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진 여러 의류품목에 각종 기법으로 적용되었던 홀치기염 패션이 이 시기에 나타나, 청년층에서 시작되었던 이 패션이 미국의 대중 및 상류층의 복식에도 확산되었음이 밝혀졌다. 나아가 홀치기염 패션스타일이 가장 많이 보여졌던 1969년에서 1971년 사이의 기간은 청년층의 반문화적 현상이 절정을 이루었던 시기와 일치하고 있어서 이러한 급진적인 사회 현상이 그대로 패션에도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미국 신진 디자이너의 작품 특성에 관한 연구 - 중국계 디자이너를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New Premier American Fashion Designers' work - Focused on Descendants of Chinese Immigrants -)

  • 한자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15권4호
    • /
    • pp.28-42
    • /
    • 2011
  • Philp Lim, Alexander Wang and Jason Wu are the American fashion designers as descendants of Chinese immigrants. They had the honor of being given the Swarovski Awards- new premier fashion designer- from CFDA(Council of Fashion Designers of America).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collection, and offered the informations for Korean designers entering the American market. This research categorized characteristics of these designers'- whole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details such as formal characteristics, optimistic characteristics, tactile characteristics-, and fashion styles from the S/S season of 2009 to the F/W season of 2010 were analyzed. These young and male designers being received attention as a star, didn't make creative art pieces. But they made pragmatic, commercial, and con-temporary works in whole characteristics and succeeded in their fashion business like other American designers. On the other hand they oriented high fashion clearly in terms of the detail characteristics - their own accent color, tiny change in variety, unique material, delicate ornaments. Therefore Lim created chic and stylish, Wang made a sporty street style, Wu made a luxury style with mannish and casual through work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their costumer.

패션산업의 상표권 보호 및 ICT 쟁점 - Louboutin 사건, Levi 사건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Trademark Protection In The Fashion Industry with ICT Issues)

  • 이재경
    • 법제연구
    • /
    • 제44호
    • /
    • pp.185-209
    • /
    • 2013
  • 현재 패션디자인을 보호하는 디자인보호법과 저작권법은 패션디자인 보호를 위해서 적절한 방법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상표권 보호에 대한 접근론이 제시되고 있는바, 상표권에 관한 최근 두 개의 사건, Levi 사건 및 Louboutin 사건은 패션 업계에서 상표권의 인정 및 적용에 있어 시사하는 바가 크다. 리바이스 v. 에버크롬비 소송에서 법원은 어떤 상표 표시가 선사용 상표와 현저히 다른 경우에도 상표가치희석이 발생한다고 판단했는바. 이는 기존의 유명상표 디자이너에게는 유리하게, 반대로 신진디자이너에게는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며, 궁극적으로 디자이너들의 창의성, 경쟁, 소비자 보호를 해하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다. 반면, 최근 루부탱 v. 입생로랑의 상표권 침해 소송에서 패션 업계에서 상표권 인정에 관하여, 연방법상 상표등록이 다른 디자이너들의 창작활동을 부당하게 방해한다면서 그 유효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그리고 패션 산업에서 디자이너들간의 경쟁의 자유를 덜 침해하는 취지의 판결을 내렸는데 이는 패션 디자이너뿐만 아니라 소비자 모두에게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는 기초가 될 것이다. 아울러, 미국의 디지털 밀레니엄 저작권법 (Digital Millennium Copyright Act : DMCA)이 인터넷에서 발생하는 저작권 침해에 대한 청구와 방어에 대하여 "고지와 삭제 (notice and takedown system : NTS)"을 통하여 제공하는 균일한 비송상 해결책을 제공하지만, 상표권 침해에 대해서 온라인 매개자가 침해의 고지에 대하여 특정단계를 따르도록 하고 동시에 피난처 (safe harbor)를 제공하자는 선진적인 제안도 온라인을 통하여 더욱 패션산업을 양적으로 확대시키고자 하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도 발전적으로 도입할 여지가 있을 것이다.

프린팅 월드 - 미국의 디지털 섬유인쇄 트렌드

  • 조갑준
    • 프린팅코리아
    • /
    • 제13권7호
    • /
    • pp.132-135
    • /
    • 2014
  • 디자이너나 의류전문가는 물론이고 일반 소비자들도 유행과 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의류 소재의 선택을 달리한다. 패션의 변화와 함께 섬유의 기능과 기술은 오랫동안 변화를 이뤄왔으며, 20세기말에는 특히 주목할 만한 이슈가 불거졌다. 기존의 스크린인쇄와 차별화가 되면서도 상당한 상업적 가치가 있는 디지털 인쇄 적용의 스크린인쇄와 염료승화(Dye-Sublimation)가 대두되기 시작한 것이다.

  • PDF

1970년대 서양복식에 나타난 동양 복식미의 다각적 분석 (An Analysis of Oriental Dress Aesthetics Shown in the 197us Western Dress)

  • Nam-Kyung Jang
    • 복식
    • /
    • 제53권1호
    • /
    • pp.143-157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1) 1970년대 서양복식에 존재하는 오리엔탈리즘의 반향에 대해 정의하고, (2) 서양 복식을 통해 표출된 오리엔탈리즘의 의미를 당시 정치, 사회, 문화적인 측면과 연결하여 탐구하는데 있다. 이론적 틀로는 문화인류학 이론에서 유래된 Hamilton의 Unifying Metatheory of Clothing and Textile(1987)이 적용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1970년부터 1979년까지 미국에서 발행된 총 142권의 VOGUE 잡지 중 80권을 분석하여, 오리엔탈리즘이 보여지는 45장의 패션사진을 자료로 추출한 후, 연도, 디자이너의 소속 지역. metatheory에 따라 분석하였다. 각 연도별로 오리엔탈리즘이 표현되는 정도와 방법은 다양하였다. 서양디자이너들은 동양의 전통의상을 거의 그대로 모방하거나 하나 이상의 국가들의 전통의상 디자인 요소들을 하나의 복식에 혼합, 표현하는 방법을 주로 보여주는 반면, 동양 디자이너는 전통의상을 포함한 자국의 다양한 문화적 요소들을 서양복식에 도입하여 표현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복식에서 보여지는 시각적인 면의 분석과 더불어, 1970년대 당시 미국의 정치. 사회, 문화전반의 상황과 복식에 있어서 오리엔탈리즘의 도입과의 영향관계가 파악되었다. 따라서, 복식을 연구함에 있어서 문화인류학적 이론과 같은 다른 분야의 이론의 적용은 복식을 새로운 측면에서 이해하는 넓은 안목과 통합적인 틀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한국 현대패션에 나타난 미국화에 관한 연구 -1950년대~1980년대 노라 노 패션을 중심으로- (Americanization Expressed in Korean Fashion -Focused on 1950s~1980s Nora Noh Fashion-)

  • 한수연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95-204
    • /
    • 2012
  • Since WWII and the Korean War, Korean modern fashion has been americanized by claiming, displacing with, and fusing with the traits of American fash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and analyze the traits of Americanization in Korean fashion, focusing on the designs of Nora Noh fashion from the 1950s to the 1980s. Nora Noh (1928- ), one of the first Korean fashion designers, who launched the first fashion show in 1956, introduced ready-made dresses to Korean fashion industry in 1963 for the first time, and later in the 1970s and the 1980s, exported Korean-made fashions to the U.S. market. For such purpose, this study first provide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Americanization in Korean fashion history and then conducts a case study by analyzing photographic materials. In case of Nora Noh fashion, the traits of Americanization can be defined as functionality, popularity, and hybrid. (1)Functionality in Americanized Korean fashion was expressed through simplicity, practicality, and usefulness. Noh's "homewear" style and exported silk dresses are the examples of the functionality. (2)Popularity was shown in kitsch images of materialistic and consumer culture. It was expressed in ready-made dresses and trendy styles of mini skrits and bell-bottom pants. (3)Hybrids of various multi-culture exist in American culture and fashion. In Noh's designs, traditional materials and the print patterns inspired from traditional motifs were used to add Korean nuances in Americanized fashion.

  • PDF

패션디자이너 직무수행을 위해 필요한 지식수준에 관한 연구 - 한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 (The Level of Knowledge Required to Fulfill the Task of Fashion Design -A Cross-cultural Study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 김지영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1-200
    • /
    • 2014
  • Employees overseas have a need to prepare according to the different environments and industrial structures between countries. Therefore, to investigate qualities for fashion designers to possess when they work abroad, especially in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compared the level of knowledge required to fulfill the work of fashion design in both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Responses from workers who are engaged to fashion design from the representative online career information systems of two countries, 'Worknet' in South Korea and '$O^*Net$' in the United States, were used as data. Looking at the result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this study, first by comparing various statistical indicators, results showed the difference between knowledge level required to fashion designer in South Korea and in the United States. Even with the same type of job, because environments and industrial structures of each country are dissimilar, a different level of knowledge will be required in order to perform their tasks. Second, fashion designers in both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required a high level of knowledge in the 'fine arts',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production and processing', and 'design' to perform their duties as a fashion designer. As a result, both countries have similarities that fashion designers need to possess a high level of the knowledge in areas such as 'production of products' as well as 'sales of products'. Furthermore, human relationship field of knowledge such as 'counseling', 'psychology', and 'communication' appeared to be more necessary to fashion designers in South Korea than those in the United States. On the other hand, higher degree of knowledge of 'machines and tools', ' fine arts', and 'transportation' appeared to be more necessary to fashion designers in the United States than those in South Ko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