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국항공우주국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1초

세계의 항공우주기구(1)-미국항공우주국 NASA

  •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 항공우주
    • /
    • 통권94호
    • /
    • pp.42-45
    • /
    • 2007
  • 미래 핵심 분야인 우주. 세계 각국은 이 우주공간을 개발하기 위해 이미 치열한 경쟁에 들어갔다. 특히 주요 강대국 정부는 산하에 관련 기구를 두고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지는 현재 우주개발을 이끌고 있는 주요 국가들의 항공우주기구를 둘러보고, 우리가 우주개발을 위해 나가야 할 길을 가늠해 본다. 이번 호는 그 첫회로 미 항공우주국을 살펴본다.

  • PDF

산업 - 세계의 항공우주기구(11) - 이스라엘 우주국 ISA

  •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 항공우주
    • /
    • 통권104호
    • /
    • pp.50-53
    • /
    • 2009
  • 이번에 소개할 이스라엘 우주국(Israel Space Agency)은 이스라엘 정부 주도의 순수과학 및 상업적 목적의 우주 연구 프로그램을 총괄하는 정부 조직이다. 연간 1백만 U.S 달러의 예산을 집행하는 이스라엘 우주국은 1983년 설립되었으며 미국의 NASA, 프랑스의 CNES, 캐나다의 CSA, 인도의 ISRO, 독일의 DLR, 우크라이나의 NSAU, 러시아의 RKA, 네덜란드의 NIVR, 브라질의 AEB 등 다양한 우주 기관들과 연계하고 있다. 다른 국가의 우주기관들과 차이가 있다면 이스라엘 우주국은 이스라엘의 국가안보에 최우선 가치를 두고 있다는 점이다. 이스라엘의 모든 우주 개발 및 연구에 대한 업무를 총괄하는 국가기관인 이스라엘 우주국에 대해 알아본다.

  • PDF

일본의 우주산업(1)

  •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 항공우주
    • /
    • 제24권
    • /
    • pp.45-48
    • /
    • 1995
  • 일본의 항공기산업을 6회에 걸쳐 연재한데 이어 이번에는 일본의 우주산업에 대한 발전사와 현황을 수차례에 걸쳐 알아보기로 하여 그 첫회를 내보내게 되었다. 우주산업 분야는 미국과 구 소련이 원채 양 선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여타국 어디나 미미하다. 그중에서도 일본은 후발국이지만 그들은 발달된 공업력을 기초로 H-2 로켓의 발사에 성공하여 곧 우주부문에서도 선두에 설 계획을 가지고 있어 우리에게 많은 것을 시사해 줄 것같아 일독을 권한다.

  • PDF

우주산업용 볼트토크 계산법에 대한 비교 및 실험적 검증 (Comparative Analysis of Bolt Torque Calculation Methods for Space Applications)

  • 서지환;김선원;김창호;전형열;정규;임재혁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68-7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우주산업용 볼트토크 계산법을 비교검토하고 실험적으로 검증한다. 현재 미국항공우주국, 유럽항공우주국, 미국국방규격 등에서는 고유의 볼트토크 산정을 위한 기준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 기준들이 약간씩 달라 사용자의 높은 이해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널리 쓰이는 볼트토크 계산식 중 대표적인 식들을 선정하고 볼트토크 예측값 비교 및 체결축력시험을 통해서 예측값을 검증하였다. 아울러 취급 및 재체결작업에 의한 체결축력의 변화도 살펴보았다.

닷소 미라주 III-5의 분석 - 프랑스가 낳은 국제 군용기를 본다

  •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 항공우주
    • /
    • 제41권
    • /
    • pp.60-63
    • /
    • 1996
  • 미국에 이어 두번째로 군용 항공기를 수용하고 있는 나라라면 프랑스밖에 없다. 2차대전 이후 드골 대통령의 강력한 영도 아래 경제재건기부터 항공우주산업에 주력하여 오늘에 와서는 세계 제2위의 항공산업국으로 우뚝서게 되었다. 그런 프랑스가 만든 세계적인 전투기라면 바로 닷소사의 미라주 전투기를 꼽을수 있다. 전세계 23개국의 하늘을 지키는 미라주를 분석해 본다.

  • PDF

아리안 5호의 추적

  •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 항공우주
    • /
    • 제42권
    • /
    • pp.56-59
    • /
    • 1996
  • 유럽은 유럽 13개국을 정식 가맹국으로 하고 캐나다, 핀랜드를 준가맹국으로 하는 유럽우주기구(ESA)를 조직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것은 미국, 러시아, 일본 중국등과의 우주 이용 경쟁에서 유럽이 공동체로 뭉쳐 대응하려는 것이다. ESA는 ESA각료급 이사회(ESA-MC)의 결정에 따라 아리온 로켓을 개발하고 있다.

  • PDF

통신해양기상위성의 개발

  • 이호형
    • 위성통신과 우주산업
    • /
    • 제13권1호통권28호
    • /
    • pp.72-80
    • /
    • 2006
  • 통신해양기상위성은 기상관측, 해양관측 및 통신방송의 3가지 임무를 수행하는 정지궤도 복합임무 위성이다. 위성본체는 기존의 화성탐사선(Mars Express) 위성의 구조를 확장하여 새로 개발한 구조체에 기존의 E3000 통신위성 버스에 사용하였던 전기전자 부품 및 추진계를 사용한다. 3축제어 위성으로서 태양전지판은 한 쪽에만 부착되어 있으며, 반대쪽에는 종래의 기상위성이 모멘트 균형을 위하여 갖고 있었던 솔라세일(solar sail)을 갖고 있지 않다. 기상탑재체는 미국의 아이티티(ITT)가 제작 공급하고, 해양탑재체는 이에이디에스 아스트리움(EADS Astrium)사와 항공우주연구원이 공동으로 개발하며, 통신 탑재체는 전자통신연구원에서 개발한다. 지상국은 항공우주연구원이, 관제시스템은 전자통신연구원이 개발을 담당하고 있다. 개발의 전 과정이 해외협력 개발로 이루어진다. 설계는 프랑스의 뚤르즈 소재 이에이디에스 아스트리움(EADS Astrium)사에서 한국 기술진의 참여 하에 이루어지며, 조립 및 시험은 항공우주연구원의 시설을 이용하여 한국에서 이루어진다. 발사준비도 공동으로 수행하고, 발사 후 전이궤도운영은 아스트리움사의 지상국을 사용하여 수행하여 목표궤도에 진입시킨 후 항공우주연구원의 지상국에서 궤도 내 시험(in-orbit-test)를 완료한 후 위성을 인도 받는다.

  • PDF

영국의 우주개발 동향

  • 최홍택;김종범
    •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 /
    • 제5권2호
    • /
    • pp.11-19
    • /
    • 2007
  • 80년대 냉전 종식이후 세계 각국의 우주기술 추진방향이 군수분야에서 상업분야로 전환되었다. 특히 90년대 이후는 정보화 시대의 핵심 산업으로 소형의 저궤도 위성을 이용한 이동통신, 원격탐사 분야를 중심으로 미국 주도하에 급신장하였다. 미국 및 러시아 등 우주개발 선진국과 일본, 중국, 프랑스, 영국, 독일, 인도 등 우주기술 선점국 들은 대부분 위성독자개발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의 우주개발은 2004년 미국의 부시 대통령이 새로운 우주정책을 발표한 후 달탐사 분야에서 유럽, 일본, 중국, 인도 등이 국가적 자존심을 걸고 경쟁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최초의 위성인 우리별 위성을 개발하는데 커다란 영향을 끼친 우주 선진국 중 하나인 영국의 우주개발 동향을 조사하여 우리가 본 받을만한 국가로 벤치마킹 하는 것은 뜻 깊은 일이라고 생각한다.

  • PDF

국내외 우주분야 연구개발과 산업동향

  • 최수미
    •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 /
    • 제5권1호
    • /
    • pp.3-11
    • /
    • 2007
  • 1990년대 초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구소련의 붕괴와 예산 투자의 저조로 정체기에 접어들었던 우주개발은 달 및 행성탐사와 같은 새로운 연구개발 움직임과 중국, 인도 등 새로운 우주강자의 부상으로 현재 신성장기를 맞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 세계 우주프로그램의 정부투자도 2006년 총 50.36 십억 달러로 역사상 최고점을 기록하고 있기도 하다. 주요 우주개발국들은 미국의 우주탐사 계획에 버금가는 탐사계획들을 잇따라 발표했으며, GPS, GLONASS, Galileo 등 위성항법 분야 연구개발에도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있다. 정부의 연구개발 투자 확대는 우주산업의 활성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된다. 실제로 미국 우주산업 매출의 90%가, 그리고 유럽 우주산업 매출의 60%가 정부고객으로부터 발생하고 있다. 2005년 우주산업 매출은 총 88.8 십억 달러로 전년대비 6% 정도 성장하였으며, 여전히 위성서비스 분야가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60%로 가장 높다. 본고에서는 우주분야의 정부 예산 투자 현황과 우주탐사 및 위성항법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연구개발 움직임을 국가별로 살펴보고, 우주산업의 동향과 전망, 그리고 우리나라의 우주산업과 우주개발 관련 주요 정책변화, 현재 진행 중인 국가 우주개발 프로그램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하겠다.

  • PDF

산업 - 세계의 항공우주기구(14) - 에콰도르 민간 우주기구 EXA

  •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 항공우주
    • /
    • 통권107호
    • /
    • pp.66-67
    • /
    • 2010
  • 공용어로 스페인어를 사용하며 통화는 미국 달러를 사용하는 에콰도르 공화국(Republic del Ecuador)은 남아메리카 북서부에 위치한 중소국가다. 미주 기구(OAS), 석유수출국 기구(OPEC), 남아메리카 국가 연합(UNASUR), 라틴어 연합(Latin Union) 등에 가입되어 있고 활발한 대외활동을 펼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실 에콰도르의 대외 위상은 그리 높지 않다.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갈라파고스 제도가 에콰도르의 영토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이 극히 적을 정도로 에콰도르는 우리에게 먼 나라다. 그러나 최근 에콰도르는 항공우주분야에서 급격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2007년 11월 설립된 에콰도르 민간 우주기구(La Agencia Espacial Civil Ecuatoriana)를 중심으로 우주개발에 적극 뛰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에콰도르 최초의 우주인을 배출하고 주요 항공우주 선진국과 협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는 에콰도르 민간 우주기구의 활약을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