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국인에 대한 태도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 대학생들과 한국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 대학생들의 태도 차이 (Differences in Attitud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Korean in Korea)

  • 김경훈;임미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436-443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대학생들과 한국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 대학생들의 세 가지 태도-영어 학습에 대한 태도, 미국인에 대한 태도, 그리고 미국 문화에 대한 태도-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한국 대학생 101명과 중국 대학생 110명으로 총 211명이다. 두 집단의 태도는 Gardner(1985)의 AMTB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자료 분석은 두 집단 간 태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두 집단 간 영어 학습에 대한 태도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미국인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도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두 집단 간 미국 문화에 대한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영어 학습자들의 더 나은 학습 환경을 위하여 두 집단 간 다른 정의적 변수의 차이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본다.

식용곤충 함유 반려동물 식품에 대한 국내거주 미국인 소비자 인식 및 태도 연구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Americans in Korea toward Edible Insect-based Pet Food)

  • 김서영;배가은;양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93-502
    • /
    • 2021
  • 식용곤충 함유 반려동물 식품 시장의 성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반려동물 식품시장 규모가 가장 큰 국가가 미국임을 고려하여 미국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식용곤충 함유 반려동물 식품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분석하였다. 연구는 반려견을 키우는 재한 미국인 16명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심층토론 방식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상황에서 진행하였다. 먼저 식용곤충 함유 반려동물 식품에 대한 자유 연상 인식을 관찰하였고, 이후 식용곤충 함유 반려동물 식품 관련 언론 정보를 제공한 후 이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실제 제품을 제시하여 구매 맥락에서의 소비자 태도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자들은 식용곤충 원료에 대해 자유 연상 시 '친환경적인', '지속가능한'과 같은 환경적 가치에 대한 인식이 높고 이와 관련한 구체적 언론 정보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지만, 구매 맥락에서는 오히려 환경적 가치보다 '저 알레르기', '고단백질', '피부/모질 개선' 등과 같은 영양 및 건강기능적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식용곤충 원료에 대한 거부감'은 일반 식품과 마찬가지로 반려동물 식품에서도 여전히 가장 중요한 부정적 요소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미국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세 가지 상황에서 식용곤충 함유 반려동물 식품의 환경적, 영양적, 건강기능적 가치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조사함으로써 식용곤충 원료 산업에서 시도하고 있는 반려동물 식품 시장 진출 전망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다문화사회와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 (Multi-Cultural Society and Social Distance for Foreigners in Korean Society)

  • 이명진;최유정;최샛별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1권1호
    • /
    • pp.63-85
    • /
    • 2010
  • 이 연구는 다문화사회의 피할 수 없는 과제인 가치관 변화를 위한 출발점을 모색하기 위해 외국인에 대한 감정적 반응의 실체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소수 민족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측정하는 데 주로 사용되어 온 보가더스 척도는 '국민'과 '결혼을 통한 친족관계'에 대해 유독 배타성을 보이는 한국인들의 태도를 설명하는 데에는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감정조절이론의 평가성과 권력성 그리고 활동성을 기준으로 각 출신지별 외국인에 대한 태도를 살펴보았다. 미국인이 세 차원 모두에서 높게 평가되었고, 일본인은 평가성은 낮고 권력성과 활동성이 높았다. 조선족과 새터민은 평가성은 높으나 나머지 점수가 낮다. 서아시아인은 세 차원 모두에서 부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사회적 거리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과 그 상대적인 영향력을 파악한 결과 평가성이 모든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된 변수였고, 일본인에 대해서는 권력성의 평가가, 중국인과 서아시아인에 대해서는 활동성에 대한 평가가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쳤다.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미국인을 제외한 모든 외국인 집단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줄어들었다. 미국인에 대해서는 여성이, 새터민의 경우에는 연령이 높을수록 사회적 거리감이 적었다.

  • PDF

Advance Care Planning: Preliminary Report of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Korean and Korean American

  • Park, Jin Hee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6권4호
    • /
    • pp.232-241
    • /
    • 2013
  • 목적: 한국에 있는 한국 사람들과 미국에서 사는 재미 교포들간의 삶의 마지막 치료에 대한 의식, 삶의 마지막 전 계획에 대한 태도, 진실을 직면하는 태도 그리고 마지막 치료에 대한 결정을 누가 내리기를 원하는지에 대한 다른 관점들에 대해 밝히고자 한 예비 연구논문이다. 방법: 65세 이상의 한국에 사는 한국인들 25명, 미국에서 20년 이상 사신 한국인들 23명이 선택되었고 이들은 자신 개인신상에 대해 묻는 질문지와 임종에 가까워질 때 원하는 치료, 임종 전에 사전 계획을 세우는 것에 대한 것, 고칠 수 없는 자신의 병에 대한 진실을 대한 태도, 그리고 누가 마지막 치료에 대한 결정을 내리기를 원하는 지에 대한 질문지에 답하게 되었다. ${\chi}^2$ test로 한국인들 대상자들과 재미 교포 대상자들의 다른 점을 측정하는데 사용하였고, P value가 0.05보다 작은 것을 유용한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SPSS 18.0을 사용하였다. 결과: 삶의 마지막 돌봄의 인식, 돌봄계획에 대한 태도, 그리고 진실 알리기 등의 항목에서는 한국인과 재미 교포간에 비슷한 의견을 보였다. 하지만, 삶의 마지막 돌봄에 대한 문서화, 진실을 누구에게 먼저 알릴 것인지, 그리고 선호하는 의사결정모델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한국인과 재미교포 사이에는 몇 가지 삶의 마지막 이슈에 대해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었다.

부모의 양육 통제와 아동의 정서적 결과에 대한 비교 문화 연구 (Examining Cultural Differences in Parental Control and Child's Emotional Outcome)

  • 남은영
    • 아동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3
    • /
    • 2008
  • 이 연구는 한국계 이민자 가정과 백인가정 사이의 부모의 행동적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정서적 행복감에 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미국 시애틀 지역의 8에서 9세 사이의 자녀를 둔 31한국계 가정과 31백인 가정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각 각의 부모들과 자녀들에게 질문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Acceptance/rejection and control 질문지 결과는 한국계 이민자 가정의 아버지들이 백인 아버지들보다 자녀들에게 전반적으로 더 많은 통제와 공격적 양육태도를 보여주었다. Child Regulation Index결과, 한국계 어머니들도 자녀들에게 더 많은 행동조절 지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아동들의 심리내적인 정서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Reynolds child depression scale에서 한국계 이민자 가정 아동들이 백인 부모의 자녀들보다 자기 자신에 대해 덜 행복하게 느끼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특히 전체적으로 어머니들의 통제가 아동의 심리내적 정서와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부모의 심리적 행동적 통제와 아동의 정서적 행복감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 -방한 미국인, 일본인, 중국인의 비교 연구- (Attitude toward Fashion Cultural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 - A Comparison of American, Japanese, and Chinese Who Visited Korea -)

  • 조윤진;이유리
    • 복식
    • /
    • 제57권10호
    • /
    • pp.74-86
    • /
    • 2007
  •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on fashion cultural products, targeting foreigners from diverse cultures. Its purpose was to identify foreigners' attitudes toward fashion cultural products of which design sources were derived from the Korean culture. The quantitative research using questionnaires was targeted at Americans, Chinese and Japanese who visited Korea. The questionnaires were back-translated into different languages for completion by the test subjects. Out of a total of 424 surveys returned, 393 were deemed usable. As a result of data analyses using SPSS 12.0 and AMOS 5.0, we found that: First, two attitude factors, the authenticity and aesthetic elements, exert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 to purchase. However, the last attitude factor, care and carriage convenience,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purchase intention.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ributes regarded as important when purchasing fashion cultural product between people from the U.S. and Japan. However, people from China showed differences in the attributes compared to the U.S. and Japan. Third, we found that attitudes toward fashion cultural products were different among respondents of three countries. It was revealed that the Chinese liked Korea's fashion cultural products the most, followed by Americans and Japanes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because investigating foreigners' attitudes toward fashion cultural products for reaching out to a broader market abroad would contribute to help building an market entry planning.

미국인의 성역할 태도와 부부의 가사노동 시간 (Sex Role Orientation and the Amount of Time Spent in Household Production by the Husband and the Wife in the U.S.)

  • 김효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75-87
    • /
    • 1996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ex role orientation on the amount of time spent in meal preparation and cleanup, clothing care, and indoor cleaning accomplished by husbands and wives in couple-headed households in the U.S.. The overall research hypotheses examined were : (1)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husband and wife and the sex role orientation of the husband and wife; (2) for both husbands and wives,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sex role orientation and the amount of household production time that is accomplised by each individual; and (3) the relationship between sex role orientation and the amount of household production time remains when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factors are controlled. The 1981 data from the 1975-1981 Time Use Longitudinal Panel Study collected at the University of Michigan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major findings is that a relationship between sex role orientation and the amount of time spent in three household production activities was not found, when all independent variables were controlled. That is, sex activities was not found, when all independent variables were controlled. That is, sex role orientation was not a predictor affecting the amount of time that husbands and wives spend on meal preparation and cleanup, clothing care, and indoor clean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