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계측 저수지

Search Result 2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storage caculation of Ungauged reservoir (미계측 저수지의 저수량 산정에 관한 연구)

  • Jang, Moon Yup;Song, Ju Il;Kim, Han 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00-400
    • /
    • 2018
  • 우리나라는 현재 17,310개소(2015년)의 저수지가 존재하고 있으며, 지자체가 13,916개소, 한국농어촌공사가 3,394개소를 관리하고 있다. 이중 30만㎥ 이상인 저수지가 전체 저수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1,500개소에 대해서는 저수위 등이 계측되고 있고, 그 외에 소규모 수리시설물의 경우 유역면적, 만수면적, 총저수량, 유효저수용량, 제원 등 현황만 관리되고 있다. 그러나 미계측 되는 10만$m^3$ 미만 소규모 수리시설물(15,175개소)의 총저수량은 약 2.5억$m^3$으로 전체의 4.2%에 불과 하지만, 수혜면적 32.9만ha로 전체의 약 65.9%를 차지하고 있어 소규모 수리시설물의 저수량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미계측 수리시설물의 저수량 측정은 수문계측기를 이용하는 방법이 가장 정확한 방법이나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측면이 있어 전국 저수지에 설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에 미계측 수리시설물의 저수면적-저수량 관계식을 개발하여 저수량을 도출하고자 한다. 미계측 수리시설물 저수량 산정은 저수지의 지리적 위치, 저수지의 형태(삼각, 사각, 원형 등), 총 저수량 등에 따라 단면 형태를 추정하여 구분한다. 저수면적-저수량 관계식을 형태별로 제시하여 실제 계측이 이루어지고 있는 자료와의 비교 검토를 통해 관계식을 검증하고자 한다.

  • PDF

Estimation of Daily Reservoir inflow from Water Level Observations Using a Hydrologic Model and an Optimization Metho (수문모형과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저수지 수위 실측 자료 기반 유입량 추정)

  • Song, Jung-Hun;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13-213
    • /
    • 2017
  • 저수지 유입량은 효율적 저수지 운영을 위해 중요한 요소로, 이는 하류 하천 등과 복합적으로 연계되기에 통합적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 정확한 추정이 중요하다. 국내의 일부 저수지에서는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량을 측정하고 있으나, 모든 저수지에 대해 측정하기에는 현실적 한계가 있다. 한편, 한국농어촌공사에서는 유효저수량 10만톤 이상 저수지에 대해 수위 계측기를 설치하여 수위자료를 관측하고 있으며, 이는 수위-내용적 곡선을 통해 저수량으로 변환이 가능하다. 저수량 자료가 확보되면 물수지식 기반으로 간접적으로 유입량의 추정이 가능하나, 수위가 상승하는 구간에 대해서만 적용이 가능하기에 연속적인 자료의 확보에 한계가 있다. 이 경우 불연속 유량자료를 대상으로 수문모형의 매개변수를 최적화하여 장기간 연속자료로 변환하는 것이 한 방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수위 기반으로 추정된 간헐적 유입량 자료를 기반으로 수문모형의 매개 변수를 최적화하여 장기유량으로 변환하고자 한다. 수문 모형과 매개변수 최적화 기법은 각각 Tank 모형과 SCE (Shuffled Complex Evolution) 기법을 이용하였다. 매개변수 최적화를 위한 목적함수는 고유량 저유량 총량 분산 관련 지표에 가중치를 부여한 다중 목적함수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출된 다양한 매개변수 후보군 중 고유량 저유량 총량 유황곡선의 유사정도가 전반적으로 일치하는 매개변수 군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미계측 저수지 유입량을 추정할 수 있음으로써 저수지의 효율적인 물관리와 용수관리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onvergence of Remote Sensing and Digital Geospatial Information for Monitoring Unmeasured Reservoirs (미계측 저수지 수체 모니터링을 위한 원격탐사 및 디지털 공간정보 융합)

  • Hee-Jin Lee;Chanyang Sur;Jeongho Cho;Won-Ho Nam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9 no.5_4
    • /
    • pp.1135-1144
    • /
    • 2023
  • Many agricultural reservoirs in South Korea, constructed before 1970, have become aging facilities. The majority of small-scale reservoirs lack measurement systems to ascertain basic specifications and water levels, classifying them as unmeasured reservoirs. Furthermore, continuous sedimentation within the reservoirs and industrial development-induced water quality deterioration lead to reduced water supply capacity and changes in reservoir morphology. This study utilized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sensors, which provide elevation information and allow for the characterization of surface features, to construct high-resolution Digital Surface Model (DSM) and Digital Elevation Model (DEM) data of reservoir facilities. Additionally, bathymetric measurements based on multibeam echosounders were conducted to propose an updated approach for determining reservoir capacity. Drone-based LiDAR was employed to generate DSM and DEM data with a spatial resolution of 50 cm, enabling the display of elevations of hydraulic structures, such as embankments, spillways, and intake channels. Furthermore, using drone-based hyperspectral imagery,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and 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NDWI) were calculated to detect water bodies and verify differences from existing reservoir boundaries. The constructed high-resolution DEM data were integrated with bathymetric measurements to create underwater contour maps, which were used to generate a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TIN). The TIN was utilized to calculate the inundation area and volume of the reservoir, yielding results highly consistent with basic specifications. Considering areas that were not surveyed due to underwater vegetation, it is anticipated that this data will be valuable for future updates of reservoir capacity information.

Estimation of Probable Maximal Flood on Ungauged Small Basin (미계측 소유역의 가능최대홍수량 산정)

  • Hwang, Man-Ha;Lee, Bae-Sung;Yoo, Yang-Soo;Lee, Sa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216-1220
    • /
    • 2006
  • 최근 들어 기상이변으로 인해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막대한 홍수피해를 야기하고 있으며, 이에 자연재해에 대한 방재대책의 중요성 및 수공구조물들의 설계빈도를 상향조정하는 등의 대책마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2002년 여름 강릉지역에 발생한 태풍 '루사'로 인한 집중호우는 기존 PMP(가능 최대강수량) 규모를 초과하는 사상 초유의 24시간 최대 강수량(880mm)을 기록하여 기존 댐 등과 같은 수공구조물의 설계기준에 대한 재고가 불가피 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 유역인 상관저수지 유역을 대상으로 지속시간별 PMP를 산정한 후 임계지속시간을 고려한 PMF(가능최대홍수량)를 산정하여 유역내 대표적인 수공구조물인 저수지의 수문학적 치수안정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분석 대상유역인 상관저수지 유역의 PMP는 전국 전계절별 PMP도로부터 호우중심의 PMP와 유역중심의 PMP를 동일하게 하여 지속시간별 PMP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PMP로부터 Huff의 4분위법을 이용하여 강우를 시간분포 시킨 후 상관저수지 유역의 PMF를 산정하였으며, 이 때 이용된 유역의 홍수량추정 기법으로는 Clark 단위도법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수공구조물의 치수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HEC-5모형을 이용한 저수지 홍수추적을 실시하였으며, 검토 결과 상관저수지의 수문학적 안정성은 확보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Utilization of sensor-based on-site measurement data to improve the accuracy of reservoir turbid water simulation (저수지 탁수모의 정확도 개선을 위한 센서기반 현장 계측자료 활용)

  • Jong Min Kim;Gwang Soo Kim;Se Woong Chung;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36-136
    • /
    • 2023
  • 우리나라의 강우 특성은 하절기에 집중되어 있으며 최근 이상강우와 기상이변에 따른 집중호우 발생으로 여를철 탁수 문제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과거 '02년 태풍 루사', '03년 태풍 매미', '06년 에위니아'부터 20년 마이삭, 하이선과 같은 태풍 및 장마에 의해 탁수 유입이 급증되어 수중 탁도가 높아지며 저수지 탁수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우리나라 경우 하천 및 저수지에서 물 사용량의 대부분을 이용하고 있기에 탁수 문제가 장기화 될 시 댐 하류 지역의 농업, 공업, 수생태 등 사회적, 비용적, 환경적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파악, 대응을 위한 탁수 모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탁수를 모의하기 위해서는 유량, 수온, SS, 탁도 데이터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국가측정망에서 하천 및 댐 저수지 내 SS를 측정하여 탁수를 측정 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측정의 경우 채수를 통한 점단위의 측정으로 데이터 해상도가 낮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데이터 취득의 한계로 기존 조사를 통한 탁도-SS 관계식을 통해 탁수를 예측하고 있으나 과거 2003년 이후 자료를 바탕으로 산정된 식으로 불확도가 존재한다. 탁수 모의 정확도 개선을 위한 데이터 해상도 및 탁도-SS 관계식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기존 데이터 분석을 통한 미계측 기간에 대한 보간을 필요로 하며 현장 계측을 통한 탁도, SS 자료를 취득하여 탁도-SS 관계식을 최신화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탁도를 측정 센서 YSI와 SS 측정센서 레이저부유사측정기(LISST: Laser In-Situ Scattering and Transmissometry)를 활용하여 자료를 취득하고 탁도-SS 산정식을 최신화 하였다. 또한 기존 국가 수질 측정망 데이터 및 기상 자료 데이터를 취득하여 데이터 분석을 통해 미계측 기간에 대한 데이터를 보간하여 탁수 모의 입력자료를 개선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탁수 모의 정확도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 PDF

Parameter Regionalization of a Tank Model for Simulating Runoffs from Ungauged Watersheds (미계측 유역 유출 모의를 위한 Tank 모형의 매개변수 지역화)

  • Kang, Min Goo;Lee, Joo Heon;Park, Ki Wo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6 no.5
    • /
    • pp.519-530
    • /
    • 2013
  • To provide a reliable tool for runoff simulations of ungauged watersheds upstream of reservoirs, a daily runoff simulation model, Tank model, is restructured, the parameter regionalization of the model is conducted, and the model's applicability is evaluated.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runoffs from the watersheds, a three-tank model is employed. The percolation process of the model's third tank is eliminated, considering the water budgets of the watersheds, and its evapotranspiration component is improved, reflecting the conditions of meteorological observation in South Korea. The sensitivity analysis of the model shows that the model's behaviors, varying with a sensitive parameter, ${\alpha}$, are reasonable. The regional parameter estimation equations are determined, using the characteristics and land uses of the watersheds as variables. The model is applied for the runoff simulations of three watersheds and the water stage simulation of one reservoir, and the simulation results are then compared with the observed values, which prove to be in close agreement with the observations. In addition, the results from simulating inflows of twenty-four reservoirs using the model show that the averages of evapotranspiration rate and runoff rate are 42.8% and 56.6%, respectively, which are resonable. Consequently, it is concluded that the model is practically applicable to simulating runoffs from watersheds upstream of reservoirs, and simulated inflow data are useful for watershed management and reservoir planning, design, and operation.

A study on the estimation and evaluation of ungauged reservoir inflow for local government's agricultural drought forecasting and warning (지자체 농업가뭄 예·경보를 위한 미계측 저수지의 유입량 추정 및 평가)

  • Choi, Jung-Ryel;Yoon, Hyeon-Cheol;Won, Chang-Hee;Lee, Byung-Hyun;Kim, Byung-S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4 no.6
    • /
    • pp.395-405
    • /
    • 2021
  • When issuing forecasts and alerts for agricultural drought, the relevant ministries only rely on the observation data from the reservoirs managed by th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which creates gaps between the drought analysis results at the local (si/gun) governments and the droughts actually experienced by local residents. Closing these gaps requires detailed local geoinformation on reservoirs, which in turn requires the information on reservoirs managed by local governments across Korea. However, installing water level and flow measurement equipment at all of the reservoirs would not be reasonable in terms of operation and cost effectiveness, and an alternate approach is required to efficiently generate information. In light of the above, this study validates and calibrates the parameters of the TANK model for reservoir basins, divided them into group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basins, and applies the grouped parameters to unmeasured local government reservoirs to estimate and assess inflow. The findings show that the average determinant coefficient and the NSE of the group using rice paddies and inclinations are 0.63 and 0.62, respectively, indicating better results compared with the basin area and effective storage factors (determinant coefficient: 0.49, NSE: 0.47). The findings indicate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the information regarding unmeasured reservoirs managed by local governments.

Comparative analysis of ONE parameter hydrological model on domestic watershed (ONE 모형의 국내유역 적용 및 비교 분석)

  • Ko, Heemin;An, Hyunuk;Noh, Jaekyung;Lee, Seungj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7 no.1
    • /
    • pp.59-72
    • /
    • 2024
  • Agricultural reservoirs supply water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irrigation, maintenance, and living. Since agricultural reservoirs respond sensitively to seasonal and climate changes, it is essential to estimate supply and inflow for efficient operation, and water management should be done based on these data. However, in the case of agricultural reservoirs, the measurement of supply and inflow is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to multi-purpose dams, and inflow-supply analysis in agricultural reservoirs through water balance analysis is necessary for efficient water management. Therefore, rainfall-runoff analysis models such as ONE model and Tank model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for reservoir water balance analysis, but the applicability analysis for ungauged watersheds is insufficient. The ONE model is designed for daily runoff calculation, and the model has one parameter, which is advantageous for calibration and ungauged watershed analysis. In this study, the water balance was analyzed through the ONE model and the Tank model for 15 watersheds upstream of dams, and R2 and NSE were used to quantitatively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two model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ONE model is suitable for predicting the inflow of agricultural reservoirs with the ungauged watershed

A Study on Estimation of Lowflow Ungauged Basin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미계측 유역의 갈수유량 산정에 관한 연구)

  • Lim, Ga Kyun;Jeung, Se Jin;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33-133
    • /
    • 2020
  • 갈수량이란 1년 중 355일은 유지되는 유량을 말하며 물 공급 계획 및 관리, 저수지 설계, 관개용수의 수량과 수질 관리, 생태계 보존 등에 있어서 갈수량의 크기와 빈도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갈수량 산정을 위해서는 오랜 기간의 관측 일유량 자료가 필요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관측 유량 자료의 결측자료가 많아 갈수량 산정에 필요한 장기간의 자료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 40개 중권역 유역을 대상으로 갈수 빈도별 갈수량 산정 회귀식 개발을 수행하였다. 갈수량 산정에 적용할 수 있는 18개의 유역인자와 4개의 수문 인자를 상관분석을 통해 다중공선성을 고려하였으며 상관분석 결과를 토대로 미계측 유역에 적용 가능한 인자를 선정하였다. 갈수 빈도 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미계측 유역에 적용할 수 있는 갈수 빈도별 갈수량 산정 회귀식을 개발하였다. 또한 계측 유역을 미계측 유역으로 가정하여 개발된 갈수량 산정 회귀식을 이용하여 갈수량을 산정하고 분석 결과와 실제 갈수량을 비교하여 개발된 회귀식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