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뭉치

검색결과 755건 처리시간 0.025초

품사 표지 부착 말뭉치 검증 (Verification of POS tagged Corpus)

  • 이미경;정한민;성원경;박동인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5년도 제17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45-15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자연어 처리 연구에서 이용되는 품사 표지 부착 말뭉치의 오류 검증 방안에 대해 제안한다. 현재까지의 품사 표지 부착 말뭉치들은 정제보다는 구축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기존의 오류 검출과 정정 방안에 관련된 연구들은 기 구축된 말뭉치를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품사 표지 부착 시스템의 후 처리에 집중하고 있다. 형태소 분석기나 품사 표지 부착 시스템의 학습에 이용되는 품사 표지 부착 말뭉치가 오류 검증 단계를 거친다면 이 시스템들은 좀 더 높은 신뢰성을 가지게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품사 표지부착 말뭉치 검증을 위한 어절 분할 오류, 철자 오류, 표지 부착 오류, 형식 오류, 일관성 오류의 5가지 오류 유형과 검증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한 방법에 따라 세종 계획의 형태소 분석 말뭉치의 오류를 검증해 보았으며, 그 결과 말뭉치 오류 정제가 말뭉치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휴리스틱을 이용한 개체명 인식 학습 말뭉치 품질 향상 (Improving Quality of Training Corpus for Named Entity Recognition Using Heuristic Rules)

  • 이성희;송영길;김학수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5년도 제27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02-205
    • /
    • 2015
  • 개체명 인식은 문서에서 개체명을 추출하고 추출된 개체명의 범주를 결정하는 작업이다. 기존의 지도 학습 기법을 이용한 개체명 인식을 위해서는 개체명 범주가 수동으로 부착된 대용량의 학습 말뭉치가 필요하며, 대용량의 말뭉치 구축은 인력과 시간이 많이 들어가는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 말뭉치 구축비용을 최소화하고 초기 학습 말뭉치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말뭉치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반자동 개체명 사전 구축 방법으로 구축한 개체명 사전과 원거리 감독법을 사용하여 초기 개체명 범주 부착 말뭉치를 구축한다. 그리고 휴리스틱을 이용하여 초기 말뭉치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학습 말뭉치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개체명 인식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실험 결과 휴리스틱 적용을 통해 개체명 인식의 F1-점수를 67.36%에서 73.17%로 향상시켰다.

  • PDF

꼬꼬마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세종 말뭉치 활용 도구 (KKMA : A Tool for Utilizing Sejong Corpus based on Relational Database)

  • 이동주;연종홈;황인범;이상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11호
    • /
    • pp.1046-1050
    • /
    • 2010
  • 말뭉치는 언어학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된다. 국내에서도 세종 21세기 계획 등을 통해서 몇몇 대용량 말뭉치가 구축되었으나, 다수의 사용자가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활용 도구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대용량 말뭉치 중 하나인 세종 현대 국어 말뭉치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말뭉치 활용 도구에 대한 설계 및 구현 방법을 보인다. 웹 기반의 말뭉치 활용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실제로 언어학 연구자들에게 사용되고 있다.

GMM을 이용한 품사 부착 말뭉치의 오류 탐지 (Detecting errors on Korean POS tagged corpus using GMM)

  • 최민석;김창현;천민아;박호민;윤호;남궁영;김재균;김재훈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9년도 제31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46-251
    • /
    • 2019
  • 품사 부착 말뭉치란 문장에 포함된 각 단어에 품사 표지를 부착한 말뭉치를 말한다. 이런 말뭉치에는 다양한 형태의 오류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오류가 포함된 말뭉치를 학습 자료로 사용하는 자연언어처리 시스템의 좋은 성능을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말뭉치의 일관성이나 정확도는 자연언어처리 시스템의 성능에 많은 영향을 준다. 하지만 말뭉치 구축 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가 발생하고 여러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다 보니 일관성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GMM을 이용한 군집화를 수행하여 오류 후보를 추출한다. 이를 통해서 말뭉치 구축 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를 방지하고 일관성을 유지하고자 한다. 세종품사부착 말뭉치를 대상으로 임의로 오류를 유발시켜 실험한 결과, 재현율 84.74%의 성능으로 오류를 탐지하였다. 향후에 좀 더 높은 재현율을 위해서 자질 확장이나 회귀 분석 방법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 PDF

신경망을 이용한 반자동 구문분석 말뭉치 구축도구 (Semi-Automatic Tree Annotating Workbench Using Neural-Networks)

  • 임준호;곽용재;박소영;임해창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B)
    • /
    • pp.483-485
    • /
    • 2003
  • 구문분석 말뭉치는 통계적 구문분석 분야의 필수적인 항목으로 많은 유용성을 가지지만, 말뭉치를 구축할 때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요구되기 때문에 구축자의 수작업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대량의 신뢰도 있는 구문분석 말뭉치를 구축하기 위해 신경망을 사용하는 반자동 구문 분석 말뭉치 구축도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개발된 도구는 구문패턴 추골, 신경망 학습, 반자동 구축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 구문패턴 추출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정의한 자질집합을 사용하여 기존에 구축된 말뭉치에서 구문패턴들을 추출하고, 신경망 학습의 단계에서는 추출된 구문패턴들을 사용하여 신경망을 학습한다. 그리고, 반자동 구축 단계에서는 학습된 신경망을 사용하여 반자동으로 구문분석 말뭉치를 구축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다양한 자질집합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학습을 사용하기 때문에 학습 집합에 나타나지 않은 경우에 대해서도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소량의 구문분석 말뭉치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약 42.5%의 수작업 횟수 감소율을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21세기 세종계획 원시 말뭉치의 유니코드와 코드 변환 (Unicode and Code Conversion for Sejong 21 Raw Corpus)

  • 강승식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9년도 제21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62-265
    • /
    • 2009
  • 21세기 세종계획은 국어정보화를 위한 범국가적 사업으로서 국어 기초 자원을 구축하는데 매우 큰 기여를 하였으며, 그 주요 결과물로 배포된 세종 말뭉치는 많은 연구자들에게 꼭 필요한 가치있는 결과물이다. 이처럼 소중한 국어 자원을 실제 연구자들이 활용하고자 할 때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있는데 그 이유는 균형 말뭉치의 구축이라는 말뭉치의 특성 및 원문 자료의 내용을 최대한 보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사용자 정의 영역에 정의된 문자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자연언어 처리, 정보검색 분야 연구자들이 세종계획 최종 결과물 중에서 원시 말뭉치를 활용하는데 있어서 말뭉치에 사용된 문자코드의 유형을 중심으로 코드 변환 문제점과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다국어 말뭉치 분석기의 한국어 처리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treatment of Korean in multi-Language Corpus Analyzer)

  • 허현규;정혜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18-121
    • /
    • 2009
  • 말뭉치 분석기는 언어 연구에 필요한 도구로써 망뭉치 분석을 통한 언어 정보의 추출, 적용 및 확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언어 기술을 국부 문법에 의한 그래픽적인 기술방법으로 처리하는 말뭉치 분석기를 이용하여 한국어 텍스트를 연구하기 위하여 기존의 굴절어 중심으로 구현되어진 다국어 말뭉치 분석기에 한국어와 같은 교착어들의 텍스트 처리를 위한 기능을 구현한다.

심층신경망을 활용한 제어가능 말뭉치 시각화 기법 (Constrained Corpus visualization using neural network)

  • 정지수;정상근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0년도 제32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89-393
    • /
    • 2020
  • 말뭉치를 구성하고 있는 문장들 사이의 관계가 반영된 시각화는 말뭉치 전체의 구조나 유사의미 문장군의 분포 등을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문장들은 서로 가까이에 분포하도록 시각화되어야 한다는 제어조건을 사용자가 제공했을 때, 해당 조건이 만족되도록 2차원 공간에 말뭉치의 각 문장을 시각화하는 기법을 소개한다.

  • PDF

구어체 말뭉치의 어휘 사용 특징 분석 및 감정 어휘 사전의 자동 구축 (Analyzing Vocabulary Characteristics of Colloquial Style Corpus and Automatic Construction of Sentiment Lexicon)

  • 강승식;원혜진;이민행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9권4호
    • /
    • pp.144-151
    • /
    • 2020
  • 모바일 환경에서 의사소통은 SMS 문자로 이루어진다. SMS 문자에서 사용되는 어휘들은 일반적인 한국어 문어체 문장에서 사용되는 어휘들과 다른 부류의 어휘들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문어체의 경우 문장의 시작이나 끝맺음이 올바르고 문장의 구성요소가 잘 갖추어졌지만, SMS 문자 말뭉치의 경우 구성요소를 생략 및 간략한 표현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어휘 사용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존에 구축된 구어체 말뭉치와 문어체 말뭉치를 사용한다. 실험에서는 구어체 말뭉치인 SMS 문자 말뭉치와 네이버 영화평 말뭉치, 그리고 문어체 말뭉치인 한국어 문어체 원시 말뭉치의 어휘사용 특성을 비교-분석한다. 말뭉치별 어휘 비교 및 분석을 위하여 품사 태그 형용사(VA)를 기준으로 하였고, 공연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변별적 공연어휘소 분석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좋-', '죄송하-', '즐겁-' 등 감정표현 형용사들이 SMS 문자 말뭉치에서 선호되는 반면, 네이버 영화평 말뭉치에서는 평가 표현과 관련된 형용사들이 선호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추출된 공연강도가 높은 형용사를 기준으로 감정어휘 사전을 자동 구축하기 위하여 단어 임베딩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총 343,603개의 감성어휘를 자동 구축하였다.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와 혼동 행렬을 이용한 OCR에서의 철자 교정 (Using Naïve Bayes Classifier and Confusion Matrix Spelling Correction in OCR)

  • 노경목;김창현;천민아;김재훈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정보학회 2016년도 제28회 한글및한국어정보처리학술대회
    • /
    • pp.310-312
    • /
    • 2016
  •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교정 어휘 쌍의 혼동 행렬(confusion matrix)과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na{\ddot{i}}ve$ Bayes classifier)를 이용한 철자 교정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에서는 철자 오류 중 한글에 대한 철자 오류만을 교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말뭉치는 한국어 원시 말뭉치와 OCR 출력 말뭉치, OCR 정답 말뭉치이다. 한국어 원시 말뭉치로부터 자소 단위의 언어모델(language model)과 교정 후보 검색을 위한 접두사 말뭉치를 구축했고, OCR 출력 말뭉치와 OCR 정답 말뭉치로부터 교정 어휘 쌍을 추출하고, 자소 단위로 분해하여 혼동 행렬을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오류 모델(error model)을 구축했다. 접두사 말뭉치를 이용해서 교정 후보를 찾고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를 통해 확률이 높은 교정 후보 n개를 제시하였다. 후보 n개 내에 정답 어절이 있다면 교정을 성공하였다고 판단했고, 그 결과 약 97.73%의 인식률을 가지는 OCR에서, 3개의 교정 후보를 제시하였을 때, 약 0.28% 향상된 98.01%의 인식률을 보였다. 이는 한글에 대한 오류를 교정했을 때이며, 향후 특수 문자와 숫자 등을 복합적으로 처리하여 교정을 시도한다면 더 나은 결과를 보여줄 것이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