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질안전보건자료

Search Result 7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he Construction of MSDS Service using World Wide Web Server (World Wide Web Server를 이용한 MSDS 자료검색 시스템의 구축)

  • 이광희;송종훈;김응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 /
    • v.12 no.1
    • /
    • pp.140-145
    • /
    • 1997
  • 안전측면에서 볼 때 각종 유해위험물질 정보분석은 산업현장의 교육자료 및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고 이러한 사전 교육을 통해 예비지식을 습득함으로써 유해위험물질로 인해 발생 가능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유용하다. 이로 인해 각종 유해위험물질 정보를 제공하고자 1994년 말에 한국산업안전공단에서 제시한 "화학물질의 위험특성 조사 및 MSDS의 제도화 연구 보고서"에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검색하는 도스용 프로그램이 개발되었고 국내에서는 통신을 이용한 서비스로는 KISCO-NET의 물질안전보건자료를 검색하는 대화형 방식의 서비스가 있다. 최근 들어 국외에서는 하이퍼텍스트 포맷을 사용한 그래픽환경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인 웹 브라우저(Web Browser)로 World Wide Web 서버에 구축되어진 물질안전보건자료를 검색하는 사이트(site)가 늘어나고 있다. 이는 웹 서버가 단순히 문서만 전송하는 것이 아닌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래픽 환경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자료의 검색이 손쉽다는 점에서 웹상의 데이터 베이스화는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국내에는 물질안전보건자료를 웹상에서 검색할 수 있도록 한 웹 서버 구축사례는 없다. 따라서 1995년 초부터 작업을 시작하여 물질안전 보건자료를 검색하는 웹 서버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구축하였으며 현재 거의 완성단계에 이르러 시범운전을 하고 있다.운전을 하고 있다.

  • PDF

Dental Hygienist's Harmful Factor Exposure and Recognition of Material Safety Data Sheets of Workplace Type (치과위생사의 근무기관 유형별 유해인자 노출과 물질안전보건자료 인식 연구)

  • Kim, Hae-Kyeong;Kim, Ji-Young;Oh, Na-Ra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11
    • /
    • pp.540-549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38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Daegu and Gyeongbuk area.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atus of harmful transmission of dental materials by type of work, we compared the differences in exposure time and work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hospital types and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material safety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In case of hospitals, the exposure time of dust generated from chemicals was the longest. Resin filling, contact with disinfectant. 37 workers (29.4%) and 14 workers (12.5%) answered that they perceive the question about whether they are aware of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for dental materials. There were 18 hospital workers and 6 clinic workers who had experience reading MSDS before using dental materials. The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they provided the material safety data of the dental materials used had a 2.39 times MSDS in hospital workers. Therefore, by recognizing the health hazards of chemical substances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hospital and continuing to conduct health and safety education, the work environment should be improved by establishing proper recognition of MSDS information. It suggests the necessity of a system that can strengthen the management of chemical information provision and guarantee the strategic approach and workers' right to k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