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질수지분석

Search Result 25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토양균에서 항생물질의 분리와 구조연구

  • 구양모;이윤영;김경자;최옹칠;김범태;주정호;이재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2.05a
    • /
    • pp.22-22
    • /
    • 1992
  • 국내의 토양에서 Streptomyces spp.를 분리하였고 이 중 항균활성이 우수한 균주들을 선별하였다. 이들 균주들을 적절한 조건에서 배양하여 얻은 배양액을 이온 교한 수지와 흡착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여 항생물질들을 분리하였다. 이들 항생물질들은 Bacillus subtilis, Pyricularia oryzae, Alternaria mail, Candida albicans, Mycobacterium smegmatis, Pseudomonas aeruginosa , 및 Escherichia coli에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항생물질들을 산으로 가수분해하고 흡착관 크로마토그래피로 가수분해 생성물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항생물질과 가수분해 생성물들의 $^1$IH-NMR, $13^{C}$ -NMR, FAB-Mass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구조를 연구하였다.

  • PDF

Monitoring of the Underground Pollutant Infiltration Loads in Greenhouse and Conventional Farming Practices (시설 및 관행재배 지역의 지하침투 오염부하 모니터링)

  • Yoo, Seung-Hwan;Choi, Jin-Yong;Nam, Won-Ho;Hong, Eun-Mi;Choi, Soon-Goon;Park, Na-Young;Jang, Jeo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65-465
    • /
    • 2011
  • 강우가 발생하거나 관개를 함에 따라 농경지의 토양침식물, 잔류 비료나 농약 등의 비점오염원은 지표 및 지하 유출과 함께 거동함으로써 지표수 뿐 아니라 지하수 수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최근 고부가가치 농산물 수요의 증가로 전국적으로 시설재배 농업이 확대되고 있으나 시설재배 내에서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시설재배 농업과 관행농업의 비점오염원의 거동 및 지하침투 오염부하를 비교 평가하고 비점오염원을 저감하기 위한 적절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설 및 관행재배 지역의 지하침투 오염부하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주변 영향이 배제되어 시설재배와 관행재배의 비교 평가 가능한 포장 및 광역 단위 시험포장을 선정하고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먼저 필지 단위와 광역 단위 단위에서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하고, 수문 및 수질 분석 항목을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관행재배지에서의 물수지 모니터링을 위하여 기상 및 강우량, 지하수위, 토양수분, 관개 및 배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를 설치하고, 토양수 및 지하수의 물질 수지 분석을 분석하기 위한 토양수, 지하수, 논담수 등의 수질 샘플망을 구축하였다. 또한 시설재배지에서의 물수지 모니터링을 위하여 기상, 지하수위, 토양수분 및 관개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를 설치하고, 토양수 및 지하수의 물질 수지 분석을 분석하기 위한 토양수, 지하수, 관개용수 등의 수질 샘플망을 구축하였다. 향후 본 시험 포장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샘플링 실시하여 다양한 항목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이 이루어진 다면 시설재배지 비점오염원 모니터링 및 정량화 기술개발을 통해 시설재배지에서의 비점오염에 대한 정량적 자료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국내 농업비점오염총량 추정 기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urface Properties of Insulation Coating Resin by Nanohybrid Method (나노하이브리드 절연코팅 수지의 표면특성)

  • Han, Se-Won;Kang, Dong-P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6a
    • /
    • pp.276-27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나노하이브리드 방법으로 제조된 변성 폴리이드계 나노하이브리드 절연코팅의 표면 굴곡특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CS로 나노하이브리드화된 수지의 코팅표면의 표면거칠기를 AFM 으로 분석하여 그 변화를 비교하였다. CS로 처리된 나노하이브리드 코팅면의 경우 기초수지의 코팅면과 비교하여 기저재료와 상관없이 표면 거칠기는 현저히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20nm 이하의 균일한 CS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수지 내에 자리하므로 기저물질의 거칠기를 보완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 PDF

Projection of Climate Change Impact on Water Environment in Multipurpose Dam Reservoir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다목적댐 저수지의 수환경 취약성 전망)

  • Kang, Boo-Sik;Kim, Seong-Joon;Chung, Se-Woong;Kim, Young-Do;Shin, Jae-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47-247
    • /
    • 2012
  • 기후변화로 나타나게 될 댐 저수지의 수질 및 생태환경 변화에 대한 분석은 국가 수자원관리 측면에서 우선적으로 대비해야할 중요한 문제로써, 수자원을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관리 및 활용하기 위해서 기후변화로 인한 댐 저수지의 수환경 변화의 정확한 분석과 취약성 평가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기후변화로 인한 신뢰성 있는 영향평가를 위해서는 기후변화시나리오 분석, 댐 유역의 오염물질 유출을 시 공간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유역 모델과 댐저수지로 유입된 이후 오염물질 거동 분석을 위한 저수지 모델이 필요하며, 특히 다양한 기후변화 시나리오하에서의 미래 전망과 발생가능한 취약성을 예측 및 평가하는 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총 7개의 다목적댐 유역과 저수지에 대하여 기후변화로 인한 신뢰성이 있는 영향평가를 위해서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상세화를 통한 상세지역의 기후예측, 댐 유역 모형에서의 유출, 토사 및 오염물질예측과 저수지모형을 통한 미래의 저수지내 오염/영양물질순환 및 분포예측을 통해 기후변화에 의한 다목적댐 취약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총 7개의 다목적댐 유역의 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에 따른 유출변화 및 하천수질 전망을 위해 인공신경망 방법에 의해 상세화된 기후자료를 검보정된 SWAT 모형에 적용하였다. 이때, 기준년에 해당하는 Baseline 기간은 인공신경망 학습기간(1990-2010)과 동일하게 모의하였으며, 미래 분석기간 역시 마찬가지로 2011-2040, 2041-2070, 2071-2100의 3개 기간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미래 전망결과에 대한 분석은 각 30년 일별 모의결과에 대한 월 평균, 계절 평균으로 분석하였다. 유출변화 전망은 댐유역별 월별 총유입량 변화와 함께 유황분석을 통해 미래 댐유입량에 대한 규모 및 변동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하천수질 변화 전망을 위해 호소유입 하천의 Sediment, TN, TP 월별 오염부하량 변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댐유입 총량에 대한 변동성을 분석한 후, 저수지수질모델의 입력경계조건에 해당하는 각 댐저수지 유입 하천의 미래 유출량 및 수질농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 PDF

Pollutant Budget Change Due to Construction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Masan Bay (하수처리장 건설에 의한 마산만의 오염물질 수지변화)

  • 조홍연;채장원;정신택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2 no.3
    • /
    • pp.149-155
    • /
    • 2000
  • The effects of the WfP construction are analysed quantitatively based on the pollutant budget change in Masan Bay. The reduction effects of the watershed pollutant loads are clearly shown, while the positive influence of the water quality (WQ) are not substantial because the pollutant load also increased continusly after WTP construction. The reduction effects of the COD, 55, TN and TP parameters are 17.6%, 68.9%,66.7%, and 38%, respectively in Masan Bay (zone I). The environmental condition of the northern part of Chinhae Bay (zone ll), however, is slowly degraded because of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 effluents discharge from the WTP and pollutants release from the sediment, respectively.

  • PDF

Ion Exchange Separation and Spectrofluorometric Determination of Lanthanides in Nuclear Grade Material (이온 질환수지 및 형광분석법에 의한 핵급물질 중희토류원소의 분리정량)

  • Ki-Soo Cho;In-Suck Suh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5 no.2
    • /
    • pp.142-148
    • /
    • 1983
  • Distribution coefficients between cation exchange resin (Dowex 50W$\times$8) and $\alpha$-hydroxyisobutric acid ($\alpha$-HIBA) are measured in order to separate traces of Sm, Eu, Gd and Dy from nuclear material. Individual separations are performed by pH gradient technique with 0.40M $\alpha$-HIBA from 3.40 to 3.60 in cation exchange resin after a group separation. Each of separated elements is determined with a fluorometric method except Gd by colorimetry. The results are applied to analyze Sm, Eu, Gd and Dy in magnesium diuranate (yellow cake).

  • PDF

Quantitative analysis of silver in chlorinated polymer (Chlorine을 함유한 고분자 물질 중 Ag의 정량분석)

  • Lim, Heon-Sung;Lee, Sueg-Geun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18 no.5
    • /
    • pp.376-380
    • /
    • 2005
  • Quantitative analysis of silver from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chlorinated polymer contained nano silver is described. The chlorine contained in the chlorinated polymer (e.g. PVC) is liberated as hydrochloric acid gas by heating and a lot of silver produces AgCl. $HNO_3$ and $NH_4OH$ were used for dissolving the Ag and the AgCl. The silver complex was formed by $NH_4OH$. Then the complex was decomposed to silver by heating at $500^{\circ}C$ and the Ag was dissolved by dilute $HNO_3$. Recovery of silver in PVC material was 99.0%.

Treatment Efficiency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Using Modified Filtration System (개선된 여과형 시설의 비점오염물질 처리효율 평가)

  • Kang, Hee-Man;Choi, Ji-Yon;Kim, Lee-Hyung;Bae, Woo-Keu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3 no.2
    • /
    • pp.161-169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a modified filtration system treating non-point source (NPS) pollutants. The developed Best Management Practice (BMP) technology was designed based on the geographical and climatic characteristics of the site. A lab-scale test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three different hydraulic loading rates representing the first flush flow, average flow and overflow conditions during a rainfall event. Water quality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water samples taken at the inflow, outflow and infiltration during the test experiment of the lab-scale BMP. Also, the water and mass balance at different hydraulic loading rates was determined. Results from the lab-scale test experiment showed that the lab-scale BMP had a high removal efficiency of 80-90% for all NPS pollutants. The overflow test condition obtained the lowest removal efficiency among the hydraulic loading rates because it gave less opportunity for the pollutants to be filtered and retained inside system. The infiltration ratio was approximately 1 % of the inflow and outflow. Increasing the infiltration ratio requires technical approach of soil amendment where the BMP is instal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