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질/약물치료로 유발된 정신병적 장애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2 seconds

Psychotic Disorder Induced by Appetite Suppressants, Phentermine or Phendimetrazine : A Case Series Study (식욕억제제 Phentermine, Phendimetrazine으로 유발된 정신병적 장애 증례군 연구)

  • Kwak, Sookyoung;Youn, Tak;Lee, Nam Young;Chung, In Won;Kim, Se Hyun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 /
    • v.24 no.3
    • /
    • pp.134-141
    • /
    • 2017
  • Objectives A retrospective case serie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sychotic disorders induced by appetite suppressants, phentermine and phendimetrazine. Methods A retrospective electronic medical record review identified 5 admitted patients who had psychotic symptoms after taking phentermine or phendimetrazine. Clinical information was reviewed and summarized in each case. Results Hallucinations were reported in all cases, including auditory, visual, olfactory and somatic hallucinations. After discontinuation of phentermine or phendimetrazine, the symptoms rapidly improved with low dose of antipsychotics. Patients tended to have less prominent negative symptoms and higher insight into illness, and often showed depressive mood. These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similar to psychosis induced by amphetamines. Two patients developed stimulant use disorder while using phentermine. Conclusions These findings call for awareness of the risks associated with use of appetite suppressants. Prescription of phentermine or phendimetrazine should be accompanied by close monitoring of mental status, and suspicion for substance/medication-induced psychotic disorder.

Piperis Nigri Fructus Extract Ameliorates Psychological Stress in Mice (생쥐의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한 호초(胡椒)의 효과)

  • Lee, So Young;Choi, Jae Hong;Jeong, Hyang Sook;Kim, Young Gyun;Cho, Su In
    • Journal of Haehwa Medicine
    • /
    • v.21 no.2
    • /
    • pp.95-104
    • /
    • 2013
  • 스트레스로 인한 인체의 반응은 중추신경계, 시상하부, 변연계 및 기타 표적기관으로부터 시작되는데, 자율신경계 반응, 내분비계 반응, 면역계 반응 등을 통하여 복합적인 신체 증상으로 발현되며,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 (HPA axis)과 교감신경계의 작용으로 여러 신경전달물질 방출에 변화가 생기며 이러한 변화는 면역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일부는 면역세포의 활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신체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한의학에서는 천인상응(天人相應)의 관점에서 육기(六氣)를 생체자극의 외적 요인으로 간주하고, 생체내적 현상인 정신이 외적 자극을 통하여 나타나는 생체반응을 칠정(七情)으로 보았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스트레스는 신체에 오장(五臟)의 허실(虛實), 혈허(血虛), 정손(精損), 기역(氣逆), 기(氣)의 순환장애, 담연(痰涎), 화(火) 등의 병적인 요인을 만들어 준다. 본 연구에서 재료로 사용된 호초 (Piper nigrum Linne)는 후추나무의 과실을 말린 것으로서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향신료이며, 한의학에서는 온중제한하기(溫中除寒下氣), 쾌격소담(快膈消痰), 해독(解毒)등의 효능으로 한담식적(寒痰食積) 완복냉통(脘腹冷通) 곽란(癨亂) 토사(吐瀉)등의 치료에 활용되어 왔다. 특히 쾌격소담(快膈消痰)하는 작용은 정신적 스트레스에 유효할 것으로 생각되므로 본 연구에 이용하게 되었다. 실험동물은 ICR계 생쥐를 이용하였으며, 심리적 스트레스는 옆쪽 cage에서 다른 마우스의 신체에 가해지는 전기 충격을 하루 1시간 동안 지켜보게 하는 것으로 유발하였으며, 이 상태에서 약물을 투여한 그룹을 실험군, 그렇지 않은 그룹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정상군은 아무런 자극 없이 하루 1시간 동안 일정 공간에 가두어 두는 것으로 하였다. 실험 결과, 호초(胡椒) 추출물을 100mg/kg/day 용량으로 5일간 투여한 실험군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혈장 중 corticosterone 함량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뇌에서의 noradrenalin 분비량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plus maze test에서의 머무름 시간이 연장되는 것으로 나타나 호초(胡椒)가 심리적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진정작용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나 구체적인 작용기전 및 인체에서의 효과에 대해서는 향후의 보다 자세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