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전달

Search Result 1,56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약물전달과 생체 조직공학용 바이오 재료의 소개 및 연구 동향

  • Yang, Da-Som;Kim, Hyeon-Ryeong;Ryu, Won-Hyeong
    • Journal of the KSME
    • /
    • v.52 no.12
    • /
    • pp.32-37
    • /
    • 2012
  • 이 글에서는 약물전달 및 생체조직공학 등 체내 주입 혹은 이식용으로 개발되는 치료용 디바이스 혹은 구조물의 연구 개발 전반에 널리 사용되는 천연 및 인공 바이오 재료를 소개하고 그 연구 동향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NE/NASTRAN과 FEMAP을 이용한 선박과 케이슨의 충돌 응답 해석

  • 주서진;백영인;김우진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2.10a
    • /
    • pp.674-684
    • /
    • 2002
  • 선박이 물품의 제하 및 적하를 위하여 컨테이너 부두에 접항시 선박의 케이슨과의 충돌에 의한 케이슨의 발생 응력을 파악함으로써 구조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선박이 일정 속도로 항만에 접항시 선박은 케이슨에 부착된 방충재와 충돌하게 된다. 케이슨에 부착된 방충재는 선박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하여 케이슨으로 전달되는 전달 에너지를 최소화하여 케이슨의 구조물에 발행하는 응력을 최소화하도록 설계한다. (중략)

  • PDF

직접 접촉방식 열 및 물질교환장치의 전달현상(III)

  • 김석현
    • Journal of the KSME
    • /
    • v.26 no.1
    • /
    • pp.31-35
    • /
    • 1986
  • 물질전달이 포함되는 교환기의 설계목표도 단순열교환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주어진 제약조건(constraints; 예를들면 교환기의 제원이나 유체유동에 필요한 압력부하등)을 만족시키 면서 전달능력의 단위(number of transfer units, 이하 $N_{tu}$ 로 약함)를 최대로 해 주는데 있다. 그러나 교환장치들의 유형이나 형상에 따라 이같은 동일 목적을 위한 과정은 각양각색 이다. 본장에서는 직접 접촉식 교환기의 많은 종류중 물의 직접증발을 이용한 단열가습장치와 고체건조제 단열제습장치등 두가지의 해석과정을 예시하려고 한다.

  • PDF

Mistakes of Cooling Tower Performance Analysis (냉각성능 분석오류)

  • 권오익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8 no.3
    • /
    • pp.397-404
    • /
    • 2004
  • 냉각탑이란 석유화학플랜트, 철강플랜트 등과 같은 생산 공정이나 냉동기를 비롯한 각종 기계장치에서 발생된 열을 수냉식 열 교환장치에서 물로 직접 냉각시킬 때 공정유체의 열을 전달받아 데워진 물을 대기의 공기와 직접 접촉시켜 물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원하는 온도로 냉각시켜 주는 기계장치이다.(중략)

Understanding of Drought Stress Signaling Network in Plants (식물의 물부족 스트레스 신호 전달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

  • Lee, Jae-Hoo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8 no.3
    • /
    • pp.376-387
    • /
    • 2018
  • Among a variety of environmental stresses heat, cold, chilling, high salt, drought, and so on exposed to plants, drought stress has been reported as a crucial factor to adversely affect the growth and productivity of plants. Therefore, to understand the mechanism for the drought stress signal transduction pathway in plants is more helpful to develop useful crops that display the enhanced tolerance against drought stress, and to expand crop growing areas. The signal transduction pathway for the drought stress in plants is largely categorized into two types; ABA-dependent pathway and ABA-independent pathway. It has been reported that two transcription factors, AREB/ABF and DREB2, play predominant roles in ABA-dependent and ABA-independent pathways, respectively. In addition to transcriptional regulation mediated by AREB/ABF and DREB2 transcription factors,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such as phosphorylation and ubiquitination) and epigenetic control are importantly involved in the signal transduction for drought stress. In this paper, we review current understanding of signal transduction pathway on drought stress in plants, especially focusing on the biological roles of a variety of signaling components related to drought stress response. Further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drought resistance in plants through this review will be useful to establish theoretical basis for developing drought tolerant crops in the future.

Base Isolation System (지반 분리 시스템)

  • 전귀현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4 no.4
    • /
    • pp.5-9
    • /
    • 1991
  • 일반적으로 구조물의 내진설계는 강지진시 구조물의 비탄성 거동에 의존함으로써 비탄성 변형으로 인한 구조요소의 점진적인 파괴와 상당한 층간변위가 초래된다. 또한 구조물이 지반가속도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구조물내의 각종 설비와 비구조체에 큰 피해를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강지진시 지반으로부터 상부 구조물에 전달되는 지진하중 자체를 감소시킴으롯써 구조물의 응답 가속도를 적게 하여 구조물과 구조물내의 설비, 비구조체를 지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내진설계방법으로 지반 분리 시스템이 연구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지반 분리 시스템의 기본개념과 특성 및 실용현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 PDF

Characteristics of Vibration and Sound Pressure Transmission by Controlled Spall Blasting Method (이완식 제어발파의 진동.음압전달특성에 관한 연구)

  • Kim, Sik;Jeong, Young-Jun;Kim, Nam-Soo;Cho, Yong-So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21 no.3
    • /
    • pp.17-22
    • /
    • 2003
  • 발파작업에서 발생하는 공해로 인한 재산상의 피해나 정신적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현장에서 제어발파를 시행하고 있다. 이완식 제어발파는 발파의 규모가 일반발파와 비교하여 작고, 대상 구조물이 근거리에 위치하므로 그 전달특성이 다를 수 있다. 근거리에서 계측된 발파진동의 특징은 고주파이고 진동의 지속시간이 짧다. 본 연구는 국내의 8개 지역에서 계측한 자료를 분석하여 이완식 제어발파의 진동전달 특성에 관하여 국내의 현장에서 시공 전에 진동을 추정할 수 있는 진동전파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어발파시에 사용하는 폐타이어를 부착한 철재매트에 의한 폭풍압의 저감 효과와 전달특성을 분석하였다.

The Sound Velocity and Attenuation Coefficient of the Marine Surface Seciments in the nearshore area, Korea (韓半島 沿近海底 表層堆積物에서의 音波傳達速度와 減衰係數)

  • 김성;석봉출
    • 한국해양학회지
    • /
    • v.20 no.2
    • /
    • pp.10-21
    • /
    • 1985
  • The sound velocity (compressional wave) and attenuation coefficient in the marine surface sediments in the nearshore areas off the Pohang, Pusan, Yeosu and Kunsan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geotechnical properties of the marine surface sediments in the water depth range of 10-50 meters. The marine surface sediments in the study areas are variable, that is, sand to clay. Due to the various four different study area, the sound velocities and attenuation coefficients in the surface sediment facies vary 1,44m/sec to 1,510m/sec in velocity and 0.82dB/m to 3.70dB/m in coefficient respectively. In fact, the sound velocity increases with increasing of density and mean grain sizes of the sediments, and however, with decreasing of porosith. The correlation equations between the sound velocith and geotechnical properties of mean grain size, density, and porosity were expressed as the following: Vp=1512.28406-9.16083(Mz)+0.20795(Mz)$\^$2/, Vp=1876.15527-597.50397(d)+210.48375(d)$\^$2/, Vp=1559.47217-2.09266(n)$\^$2/. where Vp is sound velocity, Mz is mean grain size, d is density, and m is porosity, respectively.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enuation and geotechnical properties were different from that of sound velocity and geotchnical properties. Furthermore, the correlation equations between attenuation coefficient and geotechnical properties were expressed as the following: a=1.85217+0.67197(Mz)-0.09035 (Mz)$\^$2/, a=48.87859+58.21721(d)-16.3.143(d)$\^$2/, a=2.06765+0.07215(n)-0.00111(n)$\^$2/, where a is attenuation coefficient. The high attenuation appeared in the silty sand through fine sand facies in sediment and k values in these facies were in the range of 0.86 to 0.89 dB/m/KHz.

Construction of integrated DB for domestic water-cycle system and short-term prediction model (생활용수 물순환 계통 통합 DB 및 단기예측모형 구축)

  • Seungyeon Lee;Sangeu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62-362
    • /
    • 2023
  • 한정된 수자원의 이용 및 관리로 매년 물 부족과 물 배분 의사결정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50년간(1965~2014년) 수자원의 총량은 약 1.2배 증가한 반면 인구수 약 1.8배, 생·공·농업용수의 수요는 약 5배가 증가(국회입법조사처, 2018) 했을 뿐 아니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한 강수량의 변화와 지역별 편차가 커져 지속가능한 물관리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물관리를 위해서는 관리부처가 분절되어 있는 물순환 계통의 데이터를 통합하는 것이 우선시되어야 하고 이를 통해 물순환 모니터링/평가/예측 기술을 개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용수 물순환 계통 통합 DB를 정의 및 구축하였다. 도시의 관점에서 물순환 시스템을 순차적으로 물 유입(수원~취수장)/전달(정수장~급수지역)/유출(하(폐)수처리장~방류구)의 개념으로 설정하고 DB정의서를 마련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가뭄이 장기화가 되고 있는 전라남도중 물순환 계통이 비교적 단순한 네트워크로 형성되어 있는 함평군 도시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기간은 총 5년(2017년 1월 1일~2021년 12월 31일)이고 일 단위 실계측자료 위주의 원자료를 구축하였다. 이를 이상치 탐지, 제거, 대체의 과정을 거쳐 품질 보정하고 정제된 시계열 자료에 대한 특성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물순환 계통 내 주요 지점 간의 상관관계 및 지연시간을 통한 물흐름의 시계열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모형의 적합도를 판단하는 데 활용되는 통계량과 유의미하지 않은 잔차의 자기상관성을 볼 때 물 유입-전달-유출의 단기 예측을 위한 ARIMA(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모형의 구축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만 여름철 발생하는 방류량의 첨두값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강우에 의한 불명수 발생으로 증가하는 방류량을 묘사할 수있어야 하므로 향후에는 물순환계통 외 해당 지역의 불명수(강우 효과)도 하수 방류량의 주요 입력 요인으로 추가 검토할 필요가 있다.

  • PDF

Correction of sediment sound velocity in the South sea shelf of Korea (남해 대륙붕 퇴적물의 음파전달속도 보정)

  • Jung J. H.;Lee G. S.;Seo Y. K.;Kim D. C.;Lee G. H.;Park S. C.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433-436
    • /
    • 2004
  • 퇴적물의 음파전달속도에 크게 영향을 주는 온도변화에 따른 속도변화를 측정한 결과 기존에 제시되었던 값들보다 약간 낮은 값을 보여주었으나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결국 해양퇴적물의 온도에 따른 속도 변화율은 해수에서의 변화율과 거의 유사한 것으로 보아 해양퇴적물의 경우 온도에 따른 속도 변화는 공극수의 음향특성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서로 다른 퇴적물 유형에 대하여 온도에 따른 속도변화를 조사한 결과도 절대값은 달라도 변화양상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