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의 증발현상

Search Result 13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Pwevaporation Separation of Aqueous Ethanol Solution Through Poly(vinyl alcohol) Membranes Crosslinked Poly(acrylic acid-co-maleic acid) (Poly(acrylic acid-co-maleic acid)로 가교된 Poly(vinyl alcohol)막을 이용한 에탄을 수용액의 투과증발분리 특성)

  • 남상용;성경수;천세원;임지원
    • Membrane Journal
    • /
    • v.12 no.4
    • /
    • pp.255-261
    • /
    • 2002
  • Poly(vinyl alcohol) (PVA) membranes crosslinked with poly(acrylic acid-co-maleic anhydride) (PAM) as a polymeric crosslinking agent were prepared to investigate the pervaporation performance for the dehydration separation of aqueous ethanol solu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ulting membranes crosslinked(x) were analysed by FT-IR and water swelling test. The water swelling decreased with increasing crosslinking agent content. The crosslinked PVA membranes with PAM showed lower water swelling than those of PVA membrane crosslinked with glutaraldehyde and modified PVA membrane. The swelling of water molecules in the crosslinked PVA membranes is more restricted by both chemical crosslinking between PVA and polymeric crosslinking agent chains and physical crosslinking by the entanglement between the PVA and polymeric crosslinking agent chains. For the pervaporation of aqueous ethanol solution through the crosslinked membrane, as the contents of crosslinking agent increased, the separation factor increased while the permeation flux decreased. The separation factor slightly decreased and permeation flux increased with increasing feed water content. As a result it could be considered that PVA-PAM membranes suppressed the plasticization effect even in the range of high water concentration in fled.

Evaluation of multiple-satellite precipitation data by rainfall intensity (다중 위성 강수자료의 강우강도별 특성 평가)

  • Kim, Kiyoung;Lee, Seulchan;Choi, Minha;Jung, Sungho;Yeon, M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83-383
    • /
    • 2021
  • 강수는 수자원 분석 및 지리학적 연구에 가장 핵심적으로 쓰이는 수문인자이며, 최근 기후변화와 방재 관련한 다양한 연구에서 정확한 강수자료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강수는 지표에서의 유출, 침투, 증발 등 다양한 수문현상으로 이어지므로, 수문순환, 물수지 분석에 있어 강우강도 등 강수 발생 양상과 유형에 대한 정확한 자료는 필수불가결하다. 강수량은 Automatic Weather Station (AWS)을 통해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되고 있으나, 이러한 계측자료는 기상학적, 지형적 영향을 크게 받으며 대표성이 좁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유출 및 기후 등 공간적 범위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활용하기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지상강우레이더를 통한 국지적 강수자료 및 인공위성 기반 전 지구적 강수 관측 자료가 활용되고 있다. 특히 인공위성을 활용한 강우 측정방법은 미계측 유역에서 수자원 측정 및 관리 계획을 세우거나 전 지구적으로 장기적 변화를 분석하는데 있어 가장 활용도가 높다.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의 Tropical Rainfall Measuring Mission (TRMM)을 포함한 기존 강수측정 보조 위성에 더하여 2014년 Global Precipitation Measurement (GPM) 핵심 위성이 발사된 이후 다양한 기관에서 여러 인공위성을 결합한 강수 산출물들을 제공하고 있다(NASA-IMERG, JAXA-GSMAP, NOAA-CMORPH).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위성 기반 강수 자료의 산출 알고리즘을 비교□분석하고, 강우강도에 따른 산출물들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높은 강우강도 발생 시 나타나는 위성 강수자료의 불확실성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후 신뢰도 높은 다중 위성 융합 강수 산출물을 구현하기 위한 바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Small HSSF Constructed Wetland for Urban Green space (도시내 녹지공간 조성을 위한 소규모 HSSF 인공습지 개발)

  • Lee, Jeong-Young;Kang, Chang-Guk;Gorme, Joan B.;Kim, Soon-Seok;Kim, Lee-Hyu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3 no.2
    • /
    • pp.199-208
    • /
    • 2011
  • Scarcity of water worldwide, increasing greenhouse gas emissions, increased energy consumption due to the Earth is threatened. Existing in the process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of forests, rivers and other natural ecosystems have been destroyed and that there was increased impervious pavement. Impervious pavement increase water circulation system to destroy the natural and urban water retention, infiltration and decreased evaporation. Nonpoint source pollution(NPS) occurs when rainfall impervious pavement and appeal directly to the river water inflow is adversely impacts of the situation. In this study, rainfall occurs impervious pavement NPS pollution reduction and temperature increase due to the increase in urban areas, and to solve heat island phenomenon is to develop small HSSF constructed wetland technology. The small HSSF constructed wetland sedimentation, filtration, adsorption, absorption by vegetation, including such mechanisms. Techniques for verification of the pilot-scale test was conducted. In the future domestic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and restore the natural water cycle for the facilities will be used as a basis to develop.

Evaluation of stream flow prediction performance of hydrological model with MODIS LAI-based calibration (MODIS LAI 자료 기반의 수문 모형 보정을 통한 하천유량 예측 성능 평가)

  • Choi, Jeonghyeon;Kim, Sangd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88-288
    • /
    • 2021
  • 수문 모델링을 이용하여 미계측 유역의 유출을 예측하고 나아가 수문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모형 보정 전략과 평가 방법이 필요하다. 위성 관측자료의 가용성 증가는 미계측 유역에서 수문 모형의 예측 성능을 확보할 기회를 제공한다. 유역 내 증발산 과정은 물 순환 과정을 설명하는 주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 또한 식생에 대한 정보는 증발산 과정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유역의 증발산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이다. 본 연구는 미계측 유역의 하천유량을 예측하기 위해 위성 관측 기반의 식생 정보만을 이용하여 보정된 생태 수문 모형의 잠재력을 조사한다. 이러한 보정 방법은 관측된 하천유량 자료가 있어야 하지 않기에 미계측 유역의 하천유량 예측에 특히 유용할 것이다. 모델링 실험은 관측 하천유량 자료가 존재하는 5개의 댐 유역(남강댐, 안동댐, 합천댐, 임하댐)에 대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식생동역학이 결합 된 집체형 수문 모델을 이용하였으며, MODIS 잎면적지수(Leaf Area Index, LAI)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을 보정하였다. 보정된 모형으로부터 생산된 일 유량 결과는 관측 유량 자료와 비교된다. 또한, 전통적인 관측 유량 기반의 모형 보정 방법과 비교된다. 그 결과 LAI 시계열을 이용한 모형의 보정으로 획득한 유량의 적합도는 남강댐, 안동댐, 합천댐 유역에서 KGE가 임계치 이상으로 나타나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여주지만, 임하댐 유역은 KGE가 임계치 이하로 계산되었다. 그러나 해당 유역에 대해 관측 유량을 기반으로 모형 보정 결과 또한 좋지 않은 적합도를 보여주기에 이는 LAI 자료 기반 접근법의 문제가 아닌 입력정보 또는 모형 자체에 포함된 오차로 인해 해당 유역의 특성을 반영하기에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증발산 과정에 주요한 식생 정보의 제약만으로도 비교적 만족스럽게 유역의 수문 순환을 재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 PDF

Runoff Analysis on the Major Water-level Station at Nakdong basin (낙동강 유역 주요지점의 유출분석)

  • Kim, Sam-Eun;Kim, Chi-Young;Choi, Kyu-Hyun;Hong, Seong-Hun;Kim, Dong-C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67-272
    • /
    • 2011
  • 수문학적인 물의 순환은 여러 기상인자들과 영향을 주고 받으며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자연현상이다. 바로 이 물의 순환과정을 통해 물의 이동은 시간 및 공간적인 변동성을 가진다. 강수량이 많을 때는 하천의 통수능력을 초과함으로써 홍수를 발생시키기도 하며, 반대로 장기간에 강수가 전혀 없어 하천유출이 중단되어 가뭄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강우 자료의 확보가 용이하고, 과거로부터의 관측자료의 신뢰성이 높은 기상청 자료와 2007년부터 2010년 동안의 낙동강 본류와 주요지점을 대상으로 강우특성 및 강우량에 의한 첨두홍수량 비교분석, 지점별 강우에 따른 유출률변화 특성을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지점의 자료는 유량조사사업단 실시한 낙동강유역의 실측된 유량자료를 이용하였다. 강우특성에 의한 낙동강 본류 주요지점을 선정하여 첨두홍수량을 비교 하였으며 유출률 비교를 위해 선정된 지점은 연속적인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이 개발되어 안정적인 시계열자료를 산출할 수 있는 지점으로 낙동강권역의 유역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낙동강하류에 위치한 진동 지점과 도시하천의 특성을 나타내는 금호강유역에 위치한 동촌 지점 및 남강댐 하류에 위치하여 댐방류량에 의한 하천유지유량이 발생하는 정암 지점을 선정하여 유출률분석을 실시하였다. 세 지점의 유출률은 해당연도의 강우량에 따라 변화 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저 평수기 토양 침투 및 증발에 의한 자연적인 손실과 가용하천유량이 적어짐에 따른 취수량의 유출량에 대한 양적 비율의 증가가 원인으로 예상된다.

  • PDF

Prospects for Extreme Drought Frequency Changes in the Future Using the Modified SPI Index (수정SPI지수를 이용한 미래 극한 가뭄빈도변화 전망)

  • Jeung, Se Jin;Choo, Kyung Su;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8-38
    • /
    • 2020
  • SPI지수는 강수량이 감소하기 시작하면 필요한 물수요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물부족을 유발하게 되고, 가뭄발생의 발단이 된다는 것에 착안하여 개발된 지수이다. 하지만 다른 가뭄지수와 마찬가지로 강수량 또는 유출량 시계열을 상대적인 표준정규분포로 산정하였기 때문에 인근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수량이 많은 지역도 실제로 발생하지 않은 가뭄이 발생한다고 분석이 된다. 이러한 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수정된 가뭄분석 기법이 요구된다. 이에 Jeung et. al(2019)은 이런 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SPI지수 계산과정에서 해당지점의 시계열을 대상으로 계산되는 Gamma 분포를 전국으로 확장 시켜 산정 후 표준정규분포에 적용하여 가뭄지수를 산정하였다. 또한 과거 제한급수가 발생했던 지역을 대상으로 극한가뭄과 가뭄지속기간을 이용하여 M-SPI지수의 효용성을 확인한 결과, 제한급수 실시년도와 SPI, M-SPI 결과와의 비교결과 과거 가뭄을 정확하게 모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M-SPI는 전국을 하나의 지역으로 가정하여 산정하였고, 증발산량과, 고도 등 지형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일부의 가뭄사상을 재현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상학적 인자와, 지형학적 인자를 고려하여 지역화를 하고, 각 지역별로 대표 확률분포를 산정하여 가뭄지수를 산정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국가 표준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수집하여 M-SPI에 적용하여 미래 극한 가뭄빈도의 변화를 전망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Welding Method for Ice Evaporator (얼음증발기 용접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 Lee, Jeong-Youn;Yoo, Heung-Ryol;Son, Yung-Deu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2
    • /
    • pp.558-564
    • /
    • 2021
  • The water purifier market has increased rapidly in recent years. The welding technology of the evaporator is a key component that determines the level of ice production and the cold water performance of an ice purifier. The finger type evaporator of an ice purifier can remove ice and is divided largely into an instant heat method and a hot gas method. In the hot gas type evaporator, particularly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the pinhole phenomenon inside the copper pipe and clogging problems occur intermittently when welding high-pressure pipes due to the high-temperature oxygen welding. Its use in a water purifier can cause a problem in that ice and cold water do not form, and repairs cannot be made on site.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study, a cap jig was applied to improve the welding defect of the hot gas evaporator. In addition, the oxygen welding flame size was adjusted so that the heat source could be well supplied to the cap jig, and the effectiveness was confirmed through a wave pressure test, a test, and a thermal shock test.

A Transient Separation Behavior of PDMS/PSF Hollow Fiber Membrane Modules for Ethanol-Water Mixtures (PDMS/PSF 중공사 분리막의 시간 의존적 에탄올-물 분리 거동 연구)

  • Muhammad Junaid, Ammar;Arepalli, Devipriyanka;Kim, Min-Zy;Ha, Seong Yong;Cho, Churl Hee
    • Membrane Journal
    • /
    • v.32 no.2
    • /
    • pp.163-171
    • /
    • 2022
  • Many studies on pervaporation (PV) for the separation of dilute alcohols as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energy-intensive technique of distillation have been conducted earlier. The pervaporation transition behavior of ethanol-water mixtures through the PDMS/PSF membrane is important,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diffusion process. Therefore, in the present work, transient PV behavior for 50 wt% EtOH/H2O mixture at 50℃ was investigated by using 1194 cm2 PDMS/PSF hollow fiber membrane modules. The overall total flux and the separation factor of all the membrane modules increased initially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with respect to PV time. The initial increase can be attributed to fact that membrane fibers were dry and it took time to dissolve into the membrane surface, but the subsequent decrease is due to the depletion of ethanol concentration in the feed.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ethanol permeation through a PDMS membrane is governed by the solution-diffusion mechanism.

Study on Vegetated Swale for Treatment of parking lot runoff (주차장 유출 빗물 처리를 위한 식생수로 연구)

  • Hyun, Kyoung-Hak;Choi, Joung-J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10.03a
    • /
    • pp.981-983
    • /
    • 2010
  • 도시 개발로 인한 불투수면의 증가 등으로 도시 수문환경의 변화와 물순환 시스템의 훼손 등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도시 홍수 위험의 증가, 유출량의 증가, 증발산량의 감소, 토양 침투량의 감소와 더불어 토양생태계, 지하수환경 및 하천 환경 등에 영향을 미친다. 여기에 비점오염원의 증가로 인한 하천 등의 수질 및 수생태계 영향 등 전반적으로 도시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다. 이에 기존의 중앙집중식 빗물관리에서 벗어나 발생원에서 빗물을 관리하는 자연순응형의 분산식 빗물관리 방식 및 그 시스템의 적용은 미국과 독일을 비롯한 유럽에서 정책화되어 있다. 이들 국가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의 적용에 따른 효과 모니터링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이러한 자연형 물순환 시스템의 도시 적용을 이제 시도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아산신도시에 적용을 위한 사전 데이터 확보를 위해 식생수로를 아산지역의 주차장 유출수를 처리하기 위해 설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차장 유출수 관리를 위한 발생원 처리 시설인 식생수로의 설치, 운영 등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Education of Concrete Expected in the Material View (재료 측면에서 바라는 콘크리트 교육)

  • 김상철;김영진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4 no.1
    • /
    • pp.23-27
    • /
    • 2002
  • 약 170년 전 혁신적인 재료라 할 수 있는 포틀랜드 시멘트가 처음 선을 보인 이래 콘크리트는 그 기술과 활용성에 있어 꾸준히 발전하여 이제는 명실상부하게 구조물 건설의 주요 재료로서 자리를 차지함은 물론이고 사회 자본의 축적과 시민 생활 향상에 혁혁한 공헌을 하여 온 것이 사실이다. 콘크리트는 건설 재료로서 필요로 하는 구성 요건을 거의 모두 갖춘 재료이며, 특히 그중에서도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는 저렴한 재료비가 큰 몫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수경성에 따른 결함, 즉 경화시 발생되는 발열 반응이나 작업성을 위해 첨가된 잉여의 물이 대기 중에 증발되면서 나타나는 수축 현상 때문에 균열이 발생되는 점등은 아직도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콘크리트는 균질의 다른 건설 재료와는 달리 여러 재료가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생성된 복합 재료이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완전하게 해결하기는 어렵겠지만 콘크리트가 갖고 있는 특성을 어느 정도 숙지하면 발생되는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는 있을 것이다.(중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