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의 증발현상

Search Result 131,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nalysis of Water Balance by Surface-Groundwater Interaction Using SWAT Model for Han River Basin, South Korea (SWAT 모형을 이용한 지표-지하수 상호작용에 의한 한강유역의 물수지 분석)

  • Ahn, So Ra;Joh, Hyung Kyung;Lee, Yong Gwan;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16-516
    • /
    • 2015
  • 본 연구는 한강유역($2,6018km^2$)을 대상으로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을 이용하여 지표수와 지하수의 상호작용에 의한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고, 수량측면의 유역 건전성을 평가하였다. 유역의 물수지 분석을 위해 한강유역을 표준유역 단위로 구분하고, 기상자료, 하천유량, 다목적댐(소양강댐, 충주댐, 횡성댐) 운영자료, 다기능보(강천보, 여주보, 이포보) 운영자료, 증발산량, 토양수분 자료를 수집하였다. SWAT 모형의 신뢰성 있는 유출량 보정을 위해 한강유역 내 위치하는 다목적댐 및 다기능보의 실측 방류량을 이용하여 댐 운영모의를 고려하였고, 실측 지하수위, 증발산, 토양수분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의 보정(2005~2009)과 검증(2010~2014)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토양수분으로부터 증발산이 발생하고 유출 및 지하수까지 영향을 미치는 물수지 현상을 잘 재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후 유역의 수량측면의 건전성 평가를 위한 수문요소로 하천 유출량, 증발산량, 침투, 침루, 기저유출, 토양수분, 지하수 함양량 등을 도출하고 유역의 물순환을 해석하여 유역의 건전성을 평가하였다.

  • PDF

A Research on the Conception Change Process of Secondary School Chemistry Major Teachers Related to the Evaporation Phenomena in the Air (대기 중의 증발 현상에 대한 중등학교 화학전공 교사들의 개념 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

  • Yang, Gee-Chang;Paik, Seoung-Hey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52 no.1
    • /
    • pp.84-95
    • /
    • 2008
  • In this study, preconceptions held by chemistry major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were searched in relation to explanations of water evaporation phenomena with phase equilibrium diagrams. 25 chemistry major science teachers were select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developed in this study and 6 among of them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follow-up interviews. Among these, 10 participants were selected for an evaluation of the change of their preconceptions through lessons developed in this study.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many teachers believed that the phase equilibrium diagram could not explain water evaporation phenomena. They also thought that there was no relation between vapor pressure and the vertical axis of the phase equilibrium diagram. However, after the lessons in earth science, they recognized that the vapor pressure curve of the phase equilibrium diagram could be explained by adopting a saturated vapor curve. Because they had known the process of application the conceptions of saturated situation, nonsaturated situation, process of equilibrium movement in saturated vapor curve. They could understand natural phenomena such as evaporation with the phase equilibrium diagram through a change in their conceptions as guided from science lessons integrating earth science and chemistry.

Development of Estimating Method for Areal Evapotranspiration using Satellite Data (인공위성 자료를 활용한 광역증발산량의 산정방법 개발)

  • Shin, Sha-Chul;An, Tae-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0 no.2
    • /
    • pp.71-81
    • /
    • 2007
  • One of the most important hydrologic components is evapotranspiration. It is a process by which water is evaporated from moist land surfaces and transpired into atmosphere by plants. There are many methods of estimating evapotranspiration rate and its potential such as the methods of soil-moisture sampling, lysimeter measurements, water balance, energy balance, groundwater fluctuations and evapotranspiration. But it is very difficult to estimate evapotranspiration in terms of regional discrete characteristics of topography and/or vegetation. The evapotranspiration is strongly affected by ground covering vegetation, and the degree of vegetation growth. In order to grasp vegetation condition over a vast study area,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ices) calculated from the data obtained from NOAA/AVHRR were utilized. Through multi-regression analysis, we developed a model equation to estimate the evapotranspiration using NDVIs and temperature data.

  • PDF

Estimation of Evapotranspiration with SEBAL Model in Miho River Basin (SEBAL Model을 이용한 미호천 유역의 증발산량 추정)

  • Na, Sang-Il;Park, Jo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125-1130
    • /
    • 2009
  • 우리나라 연간 총수자원 1240억$m^3$ 가운데 42%에 해당하는 517억$m^3$는 증발산을 통해서 하늘로 올라가고 나머지 58%인 723억$m^3$는 하천으로 흘러간다(국토해양부, 2008). 이와 같이 증발산량은 지구 표면에서 대기로의 수증기 이동 현상으로 강수와 더불어 대기의 물 순환 및 수분 이동의 파악에 매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기상청에서는 세계기상기구의 관측 기준에 따라 증발산량을 측정하고, 점추정 자료를 내삽법을 이용하여 유역면적 전체에 적용시키고 있다. 그러나 자연상태에서 증발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점추정 자료를 통해 유역면적 전체에 대한 증발산량을 추정하는 방법은 많은 오차를 가져올 수 있다(유진웅, 2003).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RS 기법에 의한 증발산량 추정 방법과 함께 위성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지표 및 대기 정보를 이용하여 광범위한 지역 내에서 공간적으로 불균일한 수분 분포를 추정하기 위하여 많은 알고리즘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증발산량을 추정하는 모형가운데 SEBAL(Surface Energy Balance Algorithm for Land) Model을 상용소프트웨어에서 구현하고 충청북도에 위치한 미호천 유역에 대해 모형을 적용하여 증발산량을 추정하였다. 위성자료로는 2006년 9월 22일의 Landsat 5 TM 영상을 사용하였으며, DEM은 USGS DEM, 기상자료로는 청주시 기상연보를 활용하였다.

  • PDF

The Application of Satellite Imagery in Droughts Analysis of Large Area (광역의 가뭄 분석을 위한 위성영상의 활용)

  • Jeong, Soo;Shin, Sha-Chul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4 no.2 s.36
    • /
    • pp.55-62
    • /
    • 2006
  • Droughts have been an important factor in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because she has been grouped into nations of lack of water. Satellite imagery can be applied to droughts monitoring because it can provide periodic data for large area for long time.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process to analyze droughts in large area using satellite imagery. We estimated evapotranspiration in large area using NDVI data acquired from satellite imagery. For satellite imagery, we dealt with MODIS data operated by NASA. The evapotranspiration estimated from satellite imagery was combined with precipitation data and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data to estimate water balances. Using water balances we could analyze droughts effectively in our object area.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increase the usability of satellite imagery, especially in droughts analysis.

  • PDF

Analytical Method for Moisture Vaporization of Concrete under High Temperature (고온조건에서 콘크리트의 수분증발 해석기법)

  • Lee, Tae-Gy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7
    • /
    • pp.538-545
    • /
    • 2017
  • Moisture evaporates, when concrete is exposed to fire, not only at concrete surface but also at inside the concrete to adjust the equilibrium and transfer properties of moisture. The equilibrium properties of moisture are described by means of water vapor sorption isotherms, which illustrate the hysteretical behavior of materials. In this paper, the prediction method of the moisture distribution inside the concrete members at fire is presented. Finite element method is employed to facilitate the moisture diffusion analysis for any position of member. And the moisture diffusivity model of high strength concrete by high temperature is proposed. To demonstrate the validity of this numerical procedure, the prediction by the proposed algorithm is compared with the test result of other researcher. The proposed algorithm shows a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including the vaporization effect inside the concrete.

Areal Distribution of Water Quantities Based on Vegetation Monitoring (식생정보를 이용한 광역적 수문량 추출)

  • 신사철;김성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Conference
    • /
    • 2001.06a
    • /
    • pp.34-37
    • /
    • 2001
  • 다양한 수문량 중에서 증발산은 지표로부터 수분이 기화되어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현상으로서 특정지역의 물수지를 생각할 때 대단히 중요한 양임에도 불구하고, 넓은 지역에 대한 분포량을 지표면 상황을 직접 고려하여 산정 가능한 방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정확한 증발산량의 파악이 불가능한 이상 서로 연관되어 있는 각 물수지항의 분포를 파악한다는 것은 대단히 어려움에 봉착하게 된다.(중략)

  • PDF

Validation about SMOS Soil Moisture Retrieval Algorithm (SMOS 위성의 토양수분 복원알고리즘 검증)

  • Han, Seung-Jae;Hur, Yoo-Mi;Jung, Sung-Won;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12-115
    • /
    • 2012
  • 현재 전 세계적으로 물 부족 현상이 대두되는 가운데 그 양상은 더욱 심해지고 있다. 이러한 물 부족 현상의 악화됨에 따라 수자원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효율적인 수자원의 관리를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물 순환 과정인 수문현상의 이해가 필요하다. 수문현상은 증발산, 강우, 침투, 유출 등의 일련의 과정을 말하는 것으로 이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문 인자들의 정확한 관측이 필요하다. 특히 지표와 대기간의 에너지 및 물의 교환에 대한 중요한 요소인 토양수분은 수문현상의 해석을 위해 필수적인 인자이다. 따라서 수문현상의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는 토양수분의 관측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많은 관측이 이루어져 왔다. 최근에는 원격탐사의 기술의 발달로 토양수분의 관측에 대해 시공간적인 장점을 가지는 인공위성을 이용하고 있다. 토양수분관측에 있어서 많은 위성들이 이용되고 있으나 대다수의 경우 발사시점이 오래되었으며, 현재 2009년 ESA (European Space Agency) 의 지구관측 미션의 일환으로 발사된 SMOS (Soil Moisture and Ocean Salinity) 가 이용기간이 남아있다. 단, SMOS는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및 유럽지역에 대해 RFI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의 전파방해로 우리나라의 경우 토양수분 Product의 직접적인 이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MOS의 Product인 밝기온도를 이용하여 복원알고리즘을 통해 토양수분을 복원하였다. 또한 복원된 알고리즘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 한반도의 지점관측된 토양수분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 알고리즘을 검증하였다.

  • PDF

Prediction of Moisture Migration of Concrete Including Internal Vaporization in Fire (화재시 내부증발을 고려한 콘크리트의 수분이동)

  • Lee, Tae-Gyu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3 no.5
    • /
    • pp.17-23
    • /
    • 2009
  • Moisture evaporates, when concrete is exposed to fire, not only at concrete surface but also at inside the concrete to adjust the equilibrium and transfer properties of moisture. The equilibrium properties of moisture are described by means of water vapor sorption isotherms, which illustrate the hysteretical behavior of materials. In this paper, the prediction method of the moisture distribution inside the concrete members at fire is presented. Finite element method is employed to facilitate the moisture diffusion analysis for any position of member. And the moisture diffusivity model of high strength concrete by high temperature is proposed. To demonstrate the validity of this numerical procedure, the prediction by the proposed algorithm is compared with the test result of other researcher. The proposed algorithm shows a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including the vaporization effect inside the concrete.

도시화에 수반되는 광주천 유역의 물수지 변화

  • 양해근;김종일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05a
    • /
    • pp.98-101
    • /
    • 2003
  • 도시수문학자인 Jens과 McPherson(1964)은 도시화 과정에서 나타난 수문현상의 변화를 다음과 같이 기술하였다. 먼저, 도시화 초기단계에서는 산발적으로 소규모의 택지가 조성되기 시작하고, 그 영향으로 지표를 덮고 있는 식생들이 제거되어, 증발산량이 감소하고, 지표유출이 증가하기 시작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