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수지 모형

Search Result 31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and human activities on the surface water balance with global water resource models (기후변화 및 인간활동 영향으로 인한 글로벌 지면 물수지 변화)

  • Lee, Sang Hyeon;Ho, Hyunjoo;Kim, Ye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08-308
    • /
    • 2018
  • 전 지구적으로 댐 건설과 가정, 공업 및 농업 용수의 사용 등 인간의 영향으로 유출량, 지하수, 토양수분 등의 다양한 수문요소가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인간의 영향은 기후변화의 영향과 함께 수문요소에 주요한 동인으로 이의 영향을 이해하고 전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Inter-Sectoral Impact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를 통해 이용 가능한 여러 글로벌 수자원 모형의 결과를 분석하여 기후변화 및 인간활동의 영향의 상대적 중요성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GFDL, HadGEM, IPSL, MIROC5에서 도출된 기후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구동된 글로벌 수자원 모형결과를 살펴보고자 하며, 글로벌 수자원 모형은 CLM, H08, JULES 등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증발산량, 토양수분, 유출 등의 시간 및 공간적 변화, 기후변화 및 인간 활동의 영향이 주요한 역할을 하는 지역 혹은 유역을 확인하는데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 PDF

Improving reliability of reservoir hydrological data followed by periodic evaluation (주기별 평가에 의한 저수지 수문자료 신뢰도 개선)

  • Jaekyoung Noh;Jaenam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06-106
    • /
    • 2023
  • 저수지 수문자료는 강우량, 유입량, 저수량, 방류량이다. 이 중에서 관측되고 있는 것은 저수량과 일부 수로방류량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모의에 의해 유입량을 고정시키면, 물수지에 의해 방류량을 계산할 수 있다. 그러나 저수량 오차로 모의 유입량과 계산 방류량의 신뢰도는 반드시 확인돼야 한다. 신뢰도가 낮으면 모의 유출량과 계산 방류량을 조정하며 신뢰도를 높여야 한다. 신뢰도는 평가주기가 짧을수록 보장된다. 여기서는 유역면적 218.80km2, 유효저수량 3,494만m3, 수혜면적 5,117ha인 탑정지에 대해 2020년 1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 1시간 단위로 1달, 10일, 3일, 2일 간격의 주기로 저수지 운영자료를 생산하고, 그 신뢰도를 평가하여 평가주기가 짧을수록 오차가 감소되는 것을 관찰코자 했다. 1시간 간격의 유입량은 ONE 모형으로 모의했고, 저수지 물수지 모형을 구축하여 모의 유입량에 저수량 변화를 더해 방류량을 계산했다. 또한 저수지 물수지에 의해 저수위를 모의했으며, 관측 저수위와의 오차제곱근(RMSE)으로 신뢰도를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달 간격으로 신뢰도를 평가한 경우 RMSE는 132.466m, 10일 간격은 46.922m, 3일 간격은 0.520m, 2일 간격은 0.349m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부터 저수지 수문자료의 평가주기를 짧게 할수록 신뢰도는 개선된다고 말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는 과거 자료에 대해 1년 동안 1시간 간격으로 유입량을 모의하고 방류량을 계산한 결과를 고정시키고, 평가주기를 달리하며 수위오차를 분석한 결과이다. 만약 평가주기별로 유입량과 방류량을 실제 상황에 적합하게 조정하면, 그 신뢰도는 훨씬 더 개선될 것이다. 현재 저수지 수위만을 관리하고 있는 현장의 상황에서 이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매우 크다. 첨언하면 AI 시대의 핵심은 자료다. AI의 먹이는 자료다. 다시 말해 자료 없는 AI는 시체와 같다. 자료는 기본이고 진실이다. 자료 없는 결과는 가짜다. 또한 위의 결과는 자료는 상시 관찰돼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1년에 한 번 수문자료를 평가하는 제도로는 고품질의 자료를 생산할 수 없다. 무엇보다 자료는 상시 관찰하는 제도가 정착돼야 하며, 그 때 비로소 AI와 공존과 협력으로 물관리 기술의 혁신을 이룰 것이라 확신한다.

  • PDF

Long-Term Water Budget and Exchange Characteristics in Masan Bay (마산만의 장기간 물수지 및 해수교환 특성)

  • 조홍연;채장원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9 no.2
    • /
    • pp.74-85
    • /
    • 1997
  • Accurate analysis of water budget and seawater exchange characteristics is essential for the improvement and management of the degraded water quality in Masan Bay. In this study, water budget is simulated for the four divided coastal zones on the monthly base, and watershed runoff discharges which are important as input parameters are estimated using the runoff coefficient(=0.7).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 The runoff-contribution rate due to water supply discharge is increased from 10% in 1978 to the equivalent amount at present. The reduction quantity due to the wastewater interception is about 25% of total inflow discharges, and the net effects of both precipitation and evaporation is about 10%. As the hydraulic detention time in Masan Bay is estimated about 3 months, water exchange rate is to be very low. From the analysis of the salinity variation on account of water mixing, it appears no temporal correlation between monthly average precipitation and salinity, whereas only regional correlation is apparent.

  • PDF

Water supply reliability analysis of Sand dam (샌드댐의 물공급 신뢰도 분석)

  • Chung, Il-Moon;Lee, Jeongwoo;Kim, Mi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7-27
    • /
    • 2020
  • 샌드댐은 주로 건조지역에서 홍수시 유량을 차단시켜 유송토사와 함께 유입된 물을 장기간 보관함으로써 모래와 물이 함께 저장되며 모래속에 저장된 물을 취수하는 방식의 특수한 저류 구조물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적용된 바 없으나 상수도 미급수 지역인 계곡부에서 물을 모래안에 저장하게 되면 증발로부터 오래 견딜 수 있는 장점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계곡부 샌드댐의 실제 가뭄시 물공급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대상지역은 춘천 서상리로 물공급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유역수문모형 SWAT-K와 저수지 유출추적을 결합한 모의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였다. 샌드댐의 제원을 다양하게 고려하여 최적 설계 인자를 도출하기 위해 폭, 높이, 길이 등 구조물의 제원을 다양하게 변경하며 물공급 신뢰도 95 %를 만족할 수 있는지 평가하였다. 일반적인 댐의 이수안전도 평가시에는 분석 단위기간을 5일, 10일로 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유역면적이 작은 관계로 분석 단위기간을 1일로 설정하였다. 총 9년간의 분석을 수행하였고, 5 %에 해당하는 연간 약 18일의 물공급 부족이 발생하는 신뢰도를 기준으로 일 취수량 20-50 ㎥을 적용하였을 때의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여 샌드댐과 기존 취수보의 규모에 따른 물공급 능력을 평가하였다.

  • PDF

Evaluation of the Effective Storage of Existing Agricultural Reservoir (기존 농업용 저수지에서의 유효저수량의 평가)

  • Ahn, Tae-Jin;Cho, Dong-Ho;Lee, Sang-Ho;Choi, Gye-Woon;Yoon, Yong-Nam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5
    • /
    • pp.353-361
    • /
    • 2004
  • Effective storage in agricultural reservoir has been determined through the reservoir simulation operation based on the water budget analysis. Since each watershed has the native property for runoff, considering the runoff yielding from the basin is feasible to the determination of reservoir effective storage. In this study the stochastic linear programming model considering mainly runoff from watershed has been also formulated to analyze the effective storage of the exiting reservoir. The linear decision rule coupled with chance-constrained model in the linear programming model contributes to reduce the size of linear program model without considering the period of analysis. The Geum-Gang reservoir located in Ansung have been adopted to evaluate the effective storage. It has been shown that the effective storage based on the linear programming model is greater than that based on the water budget analysis. It has been also desired that once the effective storage is obtained through the linear programming model, operation of the reservoir should be performed to check the designed capacity.

Water Resources Management based on K-WEAPq (K-WEAPq를 통한 유역관리)

  • Choi, Si-Jung;Seo, Jae-Seung;Moon, Jang-Won;Lee, Dong-Ryul;Kang, Se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982-1986
    • /
    • 2007
  • 유역관리를 위해서는 수량뿐만 아니라 수질에 대한 분석이 동반되어야 한다. 최근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SEI-US(Stockholm Environment Institute-US Center)가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는 통합수자원평가계획모형으로서 K-WEAPq(Korea-Water Evaluation And Planning System linked Qual2K)는 기존의 K-WEAP 모형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보다 정확하고 다양한 오염원에 대한 하천수질모의를 하기 위해 Qual2K 모형을 연계시킨 모형으로써 유역관리를 위한 수량-수질 연계모의가 가능한 모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K-WEAPq 모형을 이용하여 낙동강 유역의 물수지 및 수질을 동시에 분석하였다. 낙동강 권역의 물수지 분석을 위해 월별 모의를 수행하였으며 각각의 중권역별 배출부하량을 산출하여 Qual2K와의 연계시스템을 통해 하천수질모의를 수행하였다. 낙동강뿐만 아니라 11개의 지류들에 대한 수질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본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구축하여 오염총량제와 같은 여러가지 정책에 대한 수질 개선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한강권역의 지류 하천에 대한 하천유지유량을 설정하였을 경우 예상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 PDF

Evaluation of Agricultural Water Supply Capacity Using MODSIM (MODSIM을 이용한 농업용수 공급능력 평가)

  • Ahn, So-Ra;Kwon, Hyung-Joong;Park, Geun-Ae;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442-144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물수지 모형인 MODSIM을 이용하여 36개년(1967-2002) 동안의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여 농업용수 공급능력을 평가하였다. 금강권역을 21개의 중권역으로 분할하고 농업용 수리시설(저수지, 양수장, 보, 집수암거, 관정)을 고려한 물수지 네트워크를 구성하였다(Fig.1). 농업용 수리시설의 공급량 및 운영 자료도 추가로 고려하였다. 물수지 분석 결과, 과거 가뭄발생 기간에 농업용수 부족량이 다른 기간에 비해 많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대표적인 가뭄 년인 1994, 1995, 2001년의 부족량은 745.8$(10^6m^3)$, 661.1$(10^6m^3)$, 696.8$(10^6m^3)$로 분석되었다. 또한 36개년 동안의 소유역 평균 용수공급능력은 생 공용수의 경우 99.1%, 농업용수의 경우 84.4%로 비교적 낮은 공급능력을 보였으며, 1994, 1995, 2001년의 농업용수 공급능력은 74.8%, 79.2%, 77.9%로 소유역 평균보다 낮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농업용 수리시설물의 기여도 평가를 수행한 결과 양수장과 보의 기여율은 32.5%, 집수암거와 관정의 기여율은 4.0%로 분석되었으며, 집수암거와 관정은 양수장과 보에 비해서 상당히 적은 기여율을 갖지만 농업가뭄 해소에 어느 정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ssessment of water supply stability in Yeongsan river basin by water transfer control from Seomjin river basin coupling SWAT and MODSIM (SWAT-MODSIM 모형을 이용한 섬진강 도수유량 변화에 따른 영산강 유역의 용수공급 안정성 평가)

  • Kim, Sehoon;Lee, Jiwan;Kim, Yongwon;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41-41
    • /
    • 2020
  • 국토해양부의 수자원장기종합계획보고서(2011)에 따르면 영산강 유역(3,371.4 ㎢)의 경우, 연평균 이용 가능한 수자원 총량이 우리나라의 3.9%으로 약 30억㎥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내륙 5대 권역별 중 가장 적은 수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섬진강 유역(4,896.5 ㎢)으로부터 용수를 공급받고 있다. 이러한 물 부족은 이상가뭄의 발생 시 제한급수와 수질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역 수문 모형인 SWAT과 유역간 물공급 및 분배 모형인 MODSIM을 이용하여 섬진강 유역(4,896.5 ㎢)의 도수에 따른 영산강 유역(3,371.4 ㎢)의 물 공급 능력 평가를 수행하였다. 먼저 하천유역 네트워크 물수지 모형인 MODSIM 모형은 농업용 수리시설을 고려하여 영산강 유역 8개의 중권역으로 구분하였으며, 모형의 유역별 유입량(공급량) 자료는 SWAT 모형의 소유역별 유출 결과를 사용하였다. SWAT 모형의 검·보정은 13년(2005~2017) 동안의 유역 내 1개 수위관측소(마륵 관측소)와 5년 5개월(2012년 8월~2017년 12월) 동안의 2개 보지점(승촌보, 죽산보)의 일별 유입량 및 저수량 자료를 이용하였다. 마륵 수위관측소 유출량 검·보정 결과 Nash-Sutcliffe의 모형효율계수(NSE)와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는 0.69, 0.79이며, 2개의 보에서는 NSE 및 R2는 0.68~0.70, 0.75~0.83으로 검·보정되었다. 이후 MODSIM 모형을 이용하여 37개년(1981~2017) 동안의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가뭄에 취약한 지역을 파악하고 용수별(생·공·농업용수) 공급량 및 부족량을 정량적으로 검토하는 연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 Analysis of Groudwater Budget in a Water Curtain Cultivation Site (청원 수막재배 지역의 물수지 특성 분석)

  • Chang, Sun Woo;Chung, Il-Mo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5 no.6
    • /
    • pp.1259-1267
    • /
    • 2015
  • In Korea, rural groundwater development faces new challenge, which have not been experienced so far. The problem is a groundwater depletion by the water curtain cultivation (WCC) during winter seas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groundwater depletion using three-dimensional finite difference groundwater flow program, MODFLOW to verify the water budget of the shallow aquifer of Cheongweon area. Interdisciplinary research, which has become a worldwide trend, has been adopted in studying groundwater modeling in field scale. In particular, the method of groundwater recharge estimation adopted precise modeling techniques, SWAT to groundwater flow modeling. Based on qualified field data, the model calibrated and validated its reliabil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imulate various stream-aquifer interactions according to groundwater pumping with artificial boundaries, such as weirs and drainage system. We also analyzed a seasonal variation of cumulative water budget of the site to quantify the groundwater depletion and recovery in the pumping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