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수지 모형

Search Result 31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Quantifying Uncertainty for the Water Balance Analysis (물수지 분석을 위한 불확실성 정량화 방안)

  • Lee, Seung Uk;Kim, Young-Oh;Lee, Dong 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277-281
    • /
    • 2004
  •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는 물의 과부족 또는 가용한 물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물수지 분석을 실시한다. 물수지 분석은 미래 예측되는 용수수요량과 공급가능량을 비교하는 단순한 과정이지만, 분석 과정에 포함되어 있는 자료와 모형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물수지 분석을 실시한 각종 보고서마다 서로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 국민의 신뢰를 얻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Monte Carlo simulation 기법 중 Latin Hypercube Sampling에 기반한 확률적 모사로 물수지의 불확실성을 표현하고, 이를 기존에서 제시한 단일 물부족량과 비교하여 불확실성의 범위와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입력변수들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산정하여 수자원계획 수립시 투자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 PDF

Simulation of pumping effect in a watershed by using SWAT-MODFLOW model (SWAT-MODFLOW 모형을 이용한 유역내 양수효과 모의)

  • Kim, Nam-Won;Won, Yoo-Seung;Chung, Il-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819-823
    • /
    • 2006
  • 본 연구는 SWAT-MODFLOW에 포함된 양수모듈 (MODFLOW의 well package와 SWAT의 결합)을 경안천 유역에 시험적으로 적용한 것이다. SWAT-MODFLOW 모형에서 SWAT 모형의 대수층과 MODFLOW 모형의 Well Package의 연계는 함양우물과 배출우물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이 중 얕은 대수층에서의 배출우물에 관한 적용을 수행하였다. 물이동의 목적지는 하천, 저수지일 수도 유역외일 수도 있는데 양수된 물이 유역 밖으로 소비되는 경우로 국한하였다. 이를 위해서 소유역내 MODFLOW의 셀에 배출정을 위치시키고 두 가지 경우의 양수량에 대해 지하수위 변화와 물수지 변화를 살펴보았다. 양수 후 일정기간이 지난 시점에서 양수정 영향권내 유역 단면(남-북방향)에서의 지하수위 변화를 살펴본 바 개선된 양수모듈은 유역내 물이동을 효과적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지하수 유출량의 감소분은 하천으로 옮겨져 지표수 증가분으로 계산되고 있음을 물수지 변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Hydrological cycle analysis of the small mountainous catchment (산지 소하천 유역의 물순환 해석)

  • Kim, Dong Phil;Hwang, Seok Hwan;Jung, Su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676-680
    • /
    • 2004
  • 산지 소하천인 설마천 시험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강우량, 유출량, 지하수이용량, 지하수위 변화에 의한 유역 저류량 등의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민간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설마천 시험유역의 유역의 물순환 구조는 자연계의 유입과 유출이 지배적이며, 이들의 수문성분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수문성분들의 관측 및 해석이 필요하며, 각 수문성분들의 물수지 분석을 통하여 정량적인 합의 결과를 가시적으로 확보함이 매우 중요하다. 신뢰도와 정확성에 근거한 관측자료를 이용한 물순환 해석결과는 수문성분들의 총체적 표현이라 할 수 있는 모형(model)의 중요 입력자료이며, 모형의 분석결과를 검증할 수 있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설마천 시험유역에 기 설치된 수문모니터링 자료로 물순환 해석을 수행하는 데는 부족함이 있다. 따라서, 추가적인 수문관측 및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수문모니터링이 이루어진다면 보다 구체적인 물순환 관계를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Grid-Based KlneMatic Wave STOrmRunoff Model (KIMSTORM)(I) - Theory and Model - (격자기반의 운동파 강우유출모형 개발(I) - 이론 및 모형 -)

  • Kim, Seong-J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1 no.3
    • /
    • pp.303-308
    • /
    • 1998
  • A grid-based KInematic were STOrm Runoff Model (KIMSTORM) with predicts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saturalted orerland flow, subsurface flow and stream flow in a watershed was developed. The model adopts the single overland flowpath algorithm and simulates surface and/or subsurface water depth at each grid element by using grid-based water balance of hydrologic components. The model which is programmed by C-language uses ASCII-formatted map data supported by the irregular gridded map of the GRASS(Geographic Resources Analysis Support System) GIS and generates the spatial distribution maps of discharge, flow depth and soil moisture within the watershed.

  • PDF

Development of a cellular automata-based water cycle and inundation analysis technology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 물순환 및 침수 해석 기반 기술 개발)

  • Choi, Hyeon Jin;Noh, Seong Jin;Lee, Eun Hyung;Kim, Sang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36-436
    • /
    • 2022
  • 셀룰러 오토마타(Cellular Automata; CA)는 격자(cell)에 대해 사전 정의된 규칙을 바탕으로 이웃 격자 간 상호작용을 해석하여 복잡한 동력학적 현상을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이산형(discrete) 모의 기법이다. CA 기법은 격자 구조에 수치표고 자료 및 토양수분 정보 등을 직접 매칭 후 상호관계를 해석하기 때문에 공간정보를 최대한 활용하여 불균질성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시 유출해석에 있어서 높은 정확도와 빠른 계산속도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CA 기반 고해상도 물순환·침수 연계 해석 framework 개발 방향 및 CA 기반 prototype 모형의 사면유출 적용 사례를 소개한다. 개발 중인 CA 모형에서는 격자별 침수 깊이, 침투, 토양수분 저류, 지표 유출 등의 물순환 요소를 모의할 수 있다. 기존의 집중형(lumped) 모형은 지표-지표하 유출에 대한 routing algorithm이 없고 각 셀의 물수지 모형 내 파라미터가 많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개발 중인 CA 모형에서는 cell state 내 fast reservoir와 slow reservoir를 통해 지표-지표하 상태를 구현하고 단순화된 물수지 모형 및 흐름 방향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실제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중 피크 형태의 지표 유출을 모사한다. 최적의 지표수 흐름 방향 알고리즘 선정을 위해 3개의 다중 흐름 방향 알고리즘(D4, D8, 4+4N)을 정량적으로 비교·분석한다. 이번 발표에서는 CA 모형을 소규모 산지 사면과 도심지 등 다양한 규모의 테스트베드에 적용하여 모형의 장단점을 평가한다.

  • PDF

Assessment of Forest Vegetation Effect on Water Balance in a Watershed (산림식생에 따른 유역 물수지 영향 평가)

  • Kim, Chu- Gyum;Kim, Nam-W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9
    • /
    • pp.737-744
    • /
    • 2004
  •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effect of forest vegetation on the long-term water balance in a watershed, semi-distributed and physically based parameter model, SWAT was applied to the Bocheong watershed, and the variation of hydrological components such as evapotranspiration, surface flow, lateral flow, base flow, and total runoff was investigated with coniferous and deciduous forests, respectively. First, SWAT model was modified to simulate the actual plant growth pattern of coniferous trees which have the uniform value of leaf area index all the seasons of the year. The modified model was applied to the watershed that is assumed to have only one land cover in the whole watershed, and the variation of the water balance components was investigated for each land cover. It was found that coniferous forest affected the increase in evapotranspiration and decrease in runoff more than deciduous forest. However, the age and the density of stand, the loca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and meteorological conditions including the tree species should be also considered to examine the effect more quantitatively and to reduce the uncertainties in simulated output from the hydrological model.

Assessment of Agricultural Water Supply Capacity Using MODSIM-DSS Coupled with SWAT (SWAT과 MODSIM-DSS 모형을 연계한 금강유역의 농업용수 공급능력 평가)

  • Ahn, So Ra;Park, Geun Ae;Kim, Seong Jo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2
    • /
    • pp.507-519
    • /
    • 2013
  • This study is to evaluate agricultural water supply capacity in Geum river basin (9,865 $km^2$), one of the 5 big river basin of South Korea using MODSIM-DSS (MODified SIMyld-Decision Support System) model. The model is a generalized river basin decision support system and network flow model developed at Colorado State University designed specifically to meet the growing demands and pressures on river basin management. The model was established by dividing the basin into 14 subbasins and the irrigation facilities viz. agricultural reservoirs, pumping stations, diversions, culverts and groundwater wells were grouped and networked within each subbasin and networked between subbasins including municipal and industrial water supplies. To prepare the inflows to agricultural reservoirs and multipurpose dams, the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was calibrated using 6 years (2005-2010) observed dam inflow and storage data. By MODSIM run for 8 years from 2004 to 2011, the agricultural water shortage had occurred during the drought years of 2006, 2008, and 2009. The agricultural water shortage could be calculated as 282 $10^6m^3$, 286 $10^6m^3$, and 329 $10^6m^3$ respectively.

Variation of evapotranspiration and runoff with vegetation change in a watershed (유역내 식생변화에 따른 증발산 및 유출 변화)

  • Kim, Nam Won;Kim, Chul Gy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183-118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유역내 식생변화에 따른 장기적인 측면에서의 유역 물수지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보청천 유역을 내상유역으로 선정하고, 준분포형 매개변수 모형인 SWAT 모형을 적용하여, 다양한 식생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증발산, 지표수, 지하수, 유출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침엽수, 활엽수, 밭, 초지의 식생별 물수지 영향과, 침엽수에서 다른 식생으로의 변화에 따른 유역 물수지 영향을 비교해 본 결과, 산림식생의 강우 차단의 영향으로 증발산 증가, 유출 감소의 영향을 뚜렷하게 파악할 수 있었으며, 특히 침엽수가 활엽수에 비해 증발산 증가 및 유출 감소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밭의 경우에는 이와 반대로 강우 차단 효과가 미흡하여 다른 식생에 비해 증발산의 감소 및 유출의 증가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Water Management System for Rational Water Use (합리적인 하천수 사용을 위한 물관리시스템 개발)

  • Cha, Jun-Ho;Won, Yoo-Seoung;Ha, Tae-Min;Cho, Yong-Si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98.2-98.2
    • /
    • 2010
  • 합리적인 하천수 사용을 유도하고 하천유량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하천정보 모니터링, 장기유출, 물수지모형을 통합하고, 이수관련 시스템을 연계하여 유역별 물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구축된 물관리시스템을 통해 일단위 하천수 모니터링, 하천수 사용체계, 물수급 및 단기전망이 가능하므로 상류 유량공급시설의 운영을 위한 의사결정, 물부족 전망 및 갈수예보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향후 시범운영단계를 거쳐 시스템이 현업에 정착되면 하천유량 관리자, 하천수 사용자 및 일반인 등 사용자별 요구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