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성특징

Search Result 21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가교포리에티렌의 물성과 가교기술

  • 김봉협
    • 전기의세계
    • /
    • v.24 no.6
    • /
    • pp.50-55
    • /
    • 1975
  • PE(polyethlene)가 절연재료로서 지니는 특징은 (1)전기절연성이 크고 내전압이 높다. (2)무극성분자 구조이기 때문에 특히 고주파유전특성이 우수하다. (3)내수, 내습성이 있다. (4)경량이며 비교적 기계적 특성이 좋고 가격도 저렴한 편이다. 등등이라 하겠다. (1)(3)(4)등과 같은 특징을 중시하여 전력 cable의 절연피복으로 사용되었으며 (2)의 특징에 유의하여서는 통신선의 피복재로 애용되고 있다. 그러나 PE의 단점은 일반 타수지와 마찬가지로 부열성이 약한 점이다 .실로 저밀도 PE는 110.deg.C, 고밀도 PE의 경우는 125.deg.C부근에서 녹아 흐르기 시작한다. 이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분자쇄간을 가교시켜 3차원적 망상 구조로 만들어 고온에서의 분자쇄유동을 억제함으로 내열성을 높이는 기술이 개발되어 왔으며 이를 위한 가교방법은 방사선조사에 의한 물리적 방법과 과산화물을 사용하는 화학적 방법으로 대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교된 PE는 다만 열 특성만이 향상될 뿐더러, 전기적, 기계적 특성에도 변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여기에서 실용적 견지에 입각하여 가교포리에티렌의 물성 및 이것을 중심으로한 가교 방법 일반에 대한 개요를 소개하고저 한다.

  • PDF

입자 분산 PIB용액에 대한 막대상승 및 유변학적 물성

  • 임성택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9 no.1
    • /
    • pp.40-46
    • /
    • 1997
  • 폴리이소부틸렌(PIB)/폴리부텐(PB) 고분자 용액에 분산된 입자의 영향을 살펴보기위 해 제조된 kaolinite/PIB/PB 용액에 대한 Weissenberg 효과와 유변학적 물성을 조사하였다. Kaolinite 분산 PIB/PB 고분자 용액도 2차 유체로 간주될수 있음이 발견되었으며 느린 변형 속도에서 2차유체로 간주되는 입자 분산 고분자 용액에 대한 막대상승 실험에서 얻는 고분 자 용액의 탄성 발현에 의한 상승높이에 비례하는 막대오름상수 $\beta$값으로부터 유변학적 특 서치들을 구할수 있었다. 이러한 막대오름상수 $\beta$값은 PIB/PB 및 kaolinite/PIB/PB계에서 용매 점도, 입자 농도와 PIB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반면 온도에는 반비례함을 보이는 데 고분자 용융체에서와는 달리 입자 분산고분자 용액의 경우 입자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탄성도 증가하는 특징적 거동을 관찰하였다. 한편 Physica MC-120과 RMS 800 Rheometer 를 사용하여 PIB 고분자 용액의 유변학적 물성들을 측정하였으며 2차 유체 구성방정식에 근거하여 얻어지는 유변학적 특성치들과 비교하였다.

  • PDF

Study on equivalent material property of Tetra Chiral Honeycomb structure using finite element method (유한 요소 해석을 이용한 Tetra Chiral Honeycomb 구조의 등가 물성치에 대한 연구)

  • Park, Jung-Hoon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6.03a
    • /
    • pp.190-194
    • /
    • 2016
  • 자연에서 안정적이고 경제성이 높은 구조로 벌집 구조가 많이 언급이 된다. 이러한 벌집 구조의 특징으로 인해 많은 공학자들이 그 구조를 모방하여 적용하고 있다. 벌집 구조에도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지만 그 중 음의 푸아송 비(Poisson's ratio)를 갖는 Chiral Honeycomb 구조가 많이 연구되고 있다. 푸아송 비는 물질이나 구조의 고유한 물성치로 종, 횡 방향의 변형율로 나타내며 이 값으로 외부 조건으로부터의 변형을 예측 할 수 있게 된다. 흔히 푸아송 비는 양의 값을 가지지만 Chiral Honeycomb 구조는 음의 푸아송 비를 가져 기존의 구조와는 다른 기계적 성질을 가지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Chiral Honeycomb 구조 중에서도 4개의 관절(ligament)를 가지는 Tetra Chiral Honeycomb 구조에 대해 EDISON용 CASADsovler 프로그램을 통해 유한 요소 해석을 수행하여 등가 물성치를 구해 보았으며 기존 실험의 값들과 비교를 통해 해석을 위해 필요한 적절한 대표 체적에 대해 확인해 보았다.

  • PDF

특허조사에서 온라인 검색의 역할

  • Kim, Su-Cheon
    • Digital Contents
    • /
    • no.2 s.57
    • /
    • pp.55-57
    • /
    • 1998
  • 검색이란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막대한 데이터로부터 필요로하는 데이터를 찾아내는 조사로서, 통신회선을 이용하여 리얼타임으로 결과를 인출하는 것이 온라인 검색이다.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으로는 학술문헌, 신문기사, 물성 데이터, 통계 데이터, 기업 데이터 등 여러 분야에 대한 자료를 포함하며 특허도 이에 포함된다. 본 자료는 특허 조사에서 온라인 검색의 역할과 특징에 대하여 이야기 하고자 한다. 특허에는 특허와 실용신안 그리고 이들의 공개, 공고, 등록의 여러 형태가 존재하나, 여기서는 이를 총칭하여 특허라는 용어로 사용하고자 한다.

  • PDF

The Fabrication and Applications of Piezoelectric Acousitc Transducer Devices (압전세라믹 발음체 디바이스의 제조와 응용)

  • 임형문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 /
    • v.2 no.2
    • /
    • pp.1-8
    • /
    • 1995
  • 전자세라믹 부품으로 널리 사용되는 압전세라믹 발음체 디바이스의 응용과 그종류 를 분류하였고 특징, 구조와 작동원리 압전체로 사용되는 재료의 조성, 전극재료, 금속진동 판의 종류와 물성 압전반응체의 제조공정, 음향설계와 향후의 전망에 대하여 해설하였다.

국내산 장석에 대한 산업광물로서의 광물특성 평가

  • No, Jin-Hwan;Choe, Jin-Beom
    • Mineral and Industry
    • /
    • v.17 no.1
    • /
    • pp.1-15
    • /
    • 2004
  • 장석은 복잡다단한 광물학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그 물질적 이해와 용도 측면에서의 단순성 때문에 관련 산업 부문에서 부가가치 향상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10위권 내의 생산 수준을 유지하는 국내산 장석의 광석 유형은 그 관물상과 산출상태에 따라 페그마타이트상 장석, 반화강암질 및 우백질 화강암상의 장석으로 구분 될 수 있다. 현재 국내에서 개발되고 있는 장석들로는 일반적으로 반화강암질 유형의 광석이 가장 흔하다. 이 유형의 광체들은 흔히 알바이트화 작용이나 K-부화를 수반하는 열수변질 작용을 받은 양상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광물특성 상으로는 K-장석에 속하는 광체들이 Na-장석 유형들 보다 상대적으로 흔하고 대체적으로 그 부존 규모도 큰 것으로 나타난다. 장석의 부가가치 향상을 위해서는 그 품위를 화학조성에만 의존하지 말고 광물조성 단위로 이해하는 방식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이 광물자원의 요업적 용도 특성상, 광물특성 평가에서 가장 주요한 기준이 되는 사항은 화학조성, 특히 알칼리 조성, $AI_{2}O_{3}$ 함량 및 철분의 함유도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렇지만 앞으로 그 수요가 확장될 전망이 있는 충진재 용도로 사용될 경우에는 이 같은 화학적 특징보다는 장석광물의 조성과 제반 물성적 특성에 그 품질이 의존될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따라 장석 광석의 화학조성과 물성은 기본적으로 장석의 광물상과 조성에 의존된다는 지식기반 하에서, 장석의 품위는 물론 품질 특성 평가에 있어서도 화학조성에만 의존하지 말고 그 광물상과 광물특성도 고려해서 평가하는 지혜가 요구된다.

  • PDF

Physical Properties of Major Bedrocks in Chungju-Goesan Area as Aggregates (충주-괴산일대에서 산출되는 주요 기반암의 골재로서의 물성특징)

  • Byoung-Woon You;Jaehyung Yu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5 no.6
    • /
    • pp.649-659
    • /
    • 2022
  • This study examined the granite, quartzite, phyllite, schist, and gneiss as aggregate resources among the original rock distributed in the Chungju-Goesan area. The granite distributed in the study area is mainly composed of Jurassic biotite granite, and the quartzite layer is from the Daehyangsan quartzite Formation distributed on the upper part of the Gyemyeongsan Formation and the Hyangsan-ri dolomitic limestone Formation. In addition, phyllite is pophyrytic phyllite-schist from the Hwanggangri Formation of the Okcheon group, schist is chlorite schist, from the Munjuri Formation of the Okcheon group, and gneiss is porphyroblastic gneiss which is the upper part of the Seochangri Formation. Aggregate quality evaluation factors of these rocks included fineness modulus, absorption, unit weight, absolute dry density, solid content, porosity, resistance to abrasion, and soundness. In the case of granite, it was found to be partially unsatisfactory in terms of unit weight, solid content, porosity, and resistance to abrasion. Gneiss was found to be out of the standard values in resistance to abrasion and schist in porosity and solid content. As for the overall quality of aggregate resources, it was analyzed that quartzite, gneiss, and phyllite showed excellent quality. Aggregate quality tests are performed simply for each rock, but the rock may vary depending on the morphology of the mineral. Therefore, when analyzing and utilizing the quality evaluation of aggregate resources, it will be possible to use them more efficiently if the rock-mineralological research is performed together.

Lithology Determination by Log Analysis from a Borehole-PABH1 in the Pungam Sedimentary Basin (풍암퇴적분지 내 시추공 PABH1에서의 물리검층에 의한 암상의 판정)

  • 김영화;장승익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8 no.2
    • /
    • pp.163-173
    • /
    • 1998
  • Suite of log analysis techniques consisting of geophysical well log, geological core log, and physical core log have been made to understand the well log responses and to determine the lithology of a test borehole-PABH1 located in Pungam sedimentary basin, Sosok, Hongchon-gun, Kangwon Province. Geological core logging has been precisely made over the cores taken between 64 and 124 meters, and 11 groups of rock types were deduced. Using the core samples divided by 11 groups, geophysical property measurements consisting of resistivity, natural gamma and density were made. Each rock group in the area is shown to have its characteristic physical response from geophysical well log and geophysical core logs. The outstanding physical responses particularly shown from siltstone, coarse sandstone to conglomerate, and granitic gneiss in the area were effectively used as keybeds in correlating the geophysical well logs to the result of geological core logs.

  • PDF

A Dual Triangular Pyramidal Indentation Technique Based on FEA Solutions for Material Property Evaluation (유한요소해에 기초한 이중 삼각뿔 압입 물성평가법)

  • Kim, Min-Soo;Hyun, Hong-Chul;Lee, Jin-Haeng;Lee, Hyung-Yil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6 no.1
    • /
    • pp.17-28
    • /
    • 2012
  • In this study, we suggest a method for material property evaluation by dual-triangular pyramidal indenters using the reverse analysis. First, we demonstrated that load-displacement curves of conical and triangular pyramidal indenters are different for the same material. For this reason, an independent research on the triangular pyramidal indenter is needed. From FE indentation analyses on various materials, we then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material properties, indentation parameters and load-displacement curves. From this, we established property evaluation formula using dual-triangular pyramidal indenters having two different half-included-angles. The approach provides the values of elastic modulus, yield strength and strain-hardening exponent within an average error of 3% for various materials.

Sensory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Jeungpyun made with various Additives (첨가재료에 따른 증편의 관능적.물성적 특성)

  • 최영희;전화숙;강미영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12 no.2
    • /
    • pp.200-206
    • /
    • 199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ditives on Jeungpyun (fermented and steamed rice cake) Preparation. Soy bean flour, whole milk Powder, skim milk Powder, egg yolk, egg white, and mugwort were added in the Preparation of Jeungpyun. The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in loaf volume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addfd egg yolk, egg white and mugwort. In sensory evaluation, the hardness of Jeungpyun containing of soy bean flour, milk Powder, and egg were lower than control The Jeungpyun containing mugwort was more bitter and harder than the control. The rheological properties measured by texturomete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Jeungpyun added with different kinds of additives. The hardness was significantly lower in Jeungpyun containing whole milk Powder and soy bean flour and springiness was higher in mugwort Jeungpyun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4$^{\circ}C$ storage, retrogradation of Jeungpyun assessed from hardness measured by texturometer was delayed by addition of soy bean flour and whole milk powd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