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리 화학적 특성

Search Result 2,851, Processing Time 0.04 seconds

Effect of Membrane Materials on Membrane Fouling and Membrane Washing (막의 재질에 따른 막오염 특성 및 물리·화학적 세척의 영향)

  • Shim, Hyun-Sool;Jung, Chul-Woo;Son, Hee-Jong;Sohn, In-Shik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5 no.5
    • /
    • pp.500-505
    • /
    • 2007
  •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1) identify the membrane fouling potential due to different fractions of NOM (2) correl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OM and membranes with the adsorption of humic substances on membrane (4) find out the effect of membrane physical and chemical washing according to membrane material. The static adsorption test and adsorption test showed that hydrophobic organics adsorbed much more quickly than hydrophilic organics. In case of the effect of membrane properties on the adsorption of organic fractions, the adsorption rate ratio(a) of hydrophobic membrane (0.016, 0.077) was greater than that of hydrophilic membrane (0.010, 0.033) regardless of the kind of organic fractions. This suggests that the UF membrane fouling were occurred mainly by internal pore size decreasing due to adsorption of organic into pore surface for hydrophobic membrane, and by sieving of organics and forming a gel layer on the membrane surface for hydrophilic membrane. In conclusion, the decrease in the pore volume, which was caused by the organic adsorption into the internal pore, was greater with the hydrophobic membrane than with the hydrophilic membrane. In case of the effect of membrane properties on permeate flux, the rate of flux decline for the hydrophobic membrane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for the hydrophilic membrane.

분리막공정에서 물질이동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

  • 박영규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4.10a
    • /
    • pp.46-55
    • /
    • 1994
  • 오늘날 막분리공정의 응용은 다른 분리공정에 비해 경제성과 편리성으로 비교우위에 있어 점차로 사용규모면에 있어서 증대되고 있다. 예를 들면, 바닷물을 음용수로 전환하거나 식품이나 의약공업에서 고분자화합물을 정제, 농축, 분리할 뿐만아니라 신장에서 불순물을 제거에 이르기까지 확대발전되어오고 있으며 화공약품의 분리회수, 초순수화나 환경산업의 폐수처리, 가스의 분리와 회수등의 응용에 이르기까지 쓰임새가 다양하며, 앞으로의 응용범위는 새로운 기능의 분리막개발과 함께 점점 확대되고 있다. 이와같은 막분리공정상 물질전달의 기본적특성인 추진력과 물리적인 성질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것은 막분리공정을 설계제작하는데 필요하다. 막내에서 물질전달은 분리코져하는 물질의 확산, 전기장에의한 대류속도, 농도, 압력, 흡착 그리고 온도구배 등 물질이동현상을 조절하는 인자들 뿐만아니라 막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과 분리대상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등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막내에서의 추진력들은 서로 상호 보완적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새로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추진력에 따른 막물질이동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저자가 경험한 결과들을 토대로 총론형식으로 열거하였다.

  • PD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effects of various growing media on the growth of pepper seedling (배양토의 물리.화학적 성질과 배양토 종류가 고추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 박권우;이정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3.05a
    • /
    • pp.7-8
    • /
    • 1993
  • 과채류의 생산에 있어서 육묘는 매우 중요하다. 육묘 시 묘의 생육에 미치는 요인은 다양하나 그 중 배양토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가 된다. 배양토는 보수성이 좋고 균질, 무균이어야 할 뿐만 아니라 운송성, 이식성 등이 고려되어야 하며, 이·화학적 성질의 균일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현재 외국에서 배양토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peatmoss(원예용상토), TKS, vermiculite, perlite 및 이들 인조 배양토에 밭흙ㆍ모래를 배합했을 시 물리ㆍ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이들 배양토가 고추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중략)

  • PDF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Soil in China (황사토양입자의 물리ㆍ화학적 특성)

  • 신선아;고준석;한진석;최덕일;여상진;박순웅;김신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179-180
    • /
    • 2003
  • 황사가 발생하는 중국 지역의 토양 특성은 우리나라로 이동되어온 황사성분의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황사토양입자의 특성과 지역적 차이에 대한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대표적인 황사 발생원으로 알려져 있는 중국 내륙의 황토지역과 북부 사막지역을 포함하는 총 37개의 토양 시료를 중국에서 채취하였으며, 채취한 각 토양시료의 분석을 통해 황사토양입자의 물리ㆍ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균열암반 대수층에서의 방사성 핵종원소 거동예측을 위한 이론적/실험적 고찰

  • 이승구;이길용;조수영;김용제;윤윤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406-409
    • /
    • 2004
  • 최근 Lee et al.$^{l-2)}$ 은 화강암질 편마암내 균열면의 방해석이 Eu의 변화에 큰 영향을 주며, 아울러 Eu 은 Am의 유사체로서 매우 적합한 원소라고 제안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1)희토류원소와 액티나이드 원소의 이온반경, 배위수 등의 상호비교와 2) 응집력(cohesive energy)의 유사성과 물리적/화학적 특성 그리고 3) 희토류원소 지구화학의 최근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고준위 방사성 핵종원소인 Am의 지질매체내 거동을 예측하기 위한 유사체(analog)로서 Eu이 매우 유용한 역할을 해준다는 가설2)을 검증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서, 핵종원소의 지질매체별 흡착특성을 밝혀내기 위해 금번 실험에서는 희토류원소 암상별 분포의 특성을 고려하여 4종류(화강암질 편마암류 2종, meta-basalts, 응회암)의 시료를 선별하였다. 방사화학적 흡탈착 실험의 핵종동위원소로서는 152Eu와 241Am을 선택하였다. 이는 본 연구팀의 연구결과, Eu과 Am의 밀접한 물리적/화학적 상관관계 그리고 지질환경내에서의 거동특성을 고려한 것이다. 실험결과 양 동위원소의 지질매체와의 흡착 반응 특성을 비교해 볼 때,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서로간에 매우 유사한 양상의 증감을 보여주면서 변화함을 알 수가 있었다. 이 결과는 희토류원소가 액티나이드 원소의 지질환경내 거동예측을 위한 유사체로서 매우 훌륭한 도구라는 것을 입증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PDF

김치의 유산균 생태

  • 한홍의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7 no.3
    • /
    • pp.68-75
    • /
    • 1991
  • 김치란 상품의 가치를 유지하기 위하여서는 지금까지 시도된 물리, 화학적 방법만으로는 성공적이 될 수 없다. 그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는 고유한 우리 김치의 풍미를 만들어내는 주된 유산균은 어떤 종이며 그 특성이 무엇인가가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시행착오적인 물리, 화학적 처리 방법의 도입으로 인하여 고유의 윤산균이 증식하지 못한다면 김치의 고유성을 상실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김치의 산패와 연부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서 군집제어적으로 일어나며 그 고유성과 풍미를 유지하기 위하여 새로운 도태압의 개념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김치의 미생물생태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으므로 본 절에서는 필자의 연구실에서 진행되고 있는 배추김치의 미생물에 대한 연구내용을 요약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전기 화학적 방법으로 성장한 SnO2 나노구조의 광학적 및 전기적 특성

  • Lee, Dae-Uk;Yun, Dong-Yeol;K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368.2-368.2
    • /
    • 2014
  • $SnO_2$을 이용한 반도체는 기체 센서, 트랜지스터, 태양전지와 같은 여러 분야에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SnO_2$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는 높은 화학적 안정성과 독특한 물리 화학적 특성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부피에 대한 높은 표면적 비율을 가지고 있다. 우수한 $SnO_2$나노구조를 얻기 위해서 전자관 박막증착, 졸겔법, 물리적 증기증착, 열증착과 같은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었다. 다양한 합성 방법들 중에서 전기화학 증착법은 높은 성장율, 대면적 공정, 낮은 가격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SnO_2$ 구조의 성장조건에 따른 체계적인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indium-tin-oxide (ITO)로 코팅된 유리 기판 위에 전기화학 증착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성장 조건에 따라 성장된 $SnO_2$나노구조들의 물리적 특성들을 관찰하였다. ITO 유리 기판 위에 성장된 $SnO_2$나노구조는 음극의 전구체와 전류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성되는 산소 분자의 환원에 의해 형성된다. $SnO_2$나노구조의 모양은 전기화학 증착의 성장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 $SnO_2$나노구조를 관찰하기 위해 시간에 따른 전압-전류, X-ray광전자분광법, 주사형전자현미경, X-ray회절분석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ITO 유리 기판 위에 성장한 $SnO_2$ 소자에 서로 다른 인가 전압을 가해 주었을 때에 따른 전류밀도를 측정하였다. 일정한 인가전압에서 $SnO_2$나노구조의 X-ray광전자분광법 측정 을 통해 화학적 결합과 X-ray회절분석법 통한 $SnO_2$ 성장 방향을 관찰하였다. 주사형전자현미경 측정을 통하여 $SnO_2$의 표면을 관찰하였다

  • PDF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elamine resin microcapsules by in-istu polymerization. (In-situ 중합법에 의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및 특성분석)

  • 백남중;박연흠;김영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16-319
    • /
    • 2001
  • 기능성 섬유는 원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능성 물질을 섬유 또는 직물상에 물리적 혹은 화학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성 물질들이 물리적 혹은 화학적으로 불안정하거나 섬유에 대한 친화력이 약할 경우에는 기능성 물질들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가공기술로 극복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