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리 화학적 특성

Search Result 2,850, Processing Time 0.04 seconds

물리적 박리법과 화학기상증착 성장법에 의한 그래핀의 특성 비교

  • Sin, Jong-U;Jeong, Dae-Yul;O, Jung-Geon;Bong, Jae-Hun;Choe, Seong-Y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648-648
    • /
    • 2013
  • 물리적, 열적, 광학적, 그리고 전기적으로 우수한 특성을 가져 학계의 관심을 받는, 2차원 탄소 물질인 그래핀을 준비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초창기 그래핀 연구방법에 사용됐던 흑연 플레이크와 스카치테이프를 이용한 기계적 박리법, 흑연의산화와 환원을이용한 화학적 합성법, 구리나 니켈과 같은 전이금속을 촉매로 이용한 화학기상증착을 이용한 합성법 등이 있고 각각은 그 방법에 따른 장단점이 있다. 본 포스터에서는 이 중 물리적 박리법과 화학기 상증착 성장법을 이용해 얻은 그래핀의 물리적, 전기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 PDF

An analysis of erosional properties in Shihwa Lake : Local and spatial variation (시화호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특성 해석 : 지엽적.공간적 변화)

  • Ryu, Hong-Ryul;Hwang, Kyu-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581-585
    • /
    • 2007
  • 본 연구는 시화호 표층에 분포하는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특성을 정량적으로 산정하고 산정된 침식특성의 지엽적 변화 및 타 지역 침식특성 결과와의 비교/분석을 통한 공간적 변화 해석을 목적으로 환형수조를 이용한 침식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퇴적물 자체의 물리 화학적 특성 및 해수 특성이 침식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화호 점착성 퇴적물에 대한 물리 화학적 특성 및 해수 특성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었다. 침식실험은 균일저면 조건에서 3개 지점에 대해 지점별로 $5{\sim}7$회씩 총 17회의 실험이 수행되었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되어지는 시화호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특성 매개변수들은 시화호 해역에서의 수층 탁도 분포 및 세굴/퇴적량 산정 등을 위한 수치모형실험 시에 기초 입력 자료로 크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Seasonal variation of settling velocities of Cohesive Sediments from Han estuary (한강 하구 점착성 퇴적물 침강속도의 계절적 변화에 관한 연구)

  • Hwang, Kyu-Nam;Seo, Young-Deok;Jung, Eui-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166-2169
    • /
    • 2008
  • 한강 하구 점착성 퇴적물의 침강속도를 정량적으로 산정하고, 산정된 침강속도의 계절적 변화 해석을 목적으로 침강수주를 이용한 침강 실험이 수행되었다. 침강실험은 1개 정점에서 3계절에 채취된 퇴적물 표본 시료에 대해 계절별로 $5{\sim}6$회씩 총 16회의 실험이 수행되었으며, 또한 퇴적물 자체의 물리 화학적 특성 및 해수 특성에 따른 침강속도의 정성적 변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한강 하구 점착성 퇴적물에 대한 물리 화학적 특성 및 해수 특성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되는 한강 하구 점착성 퇴적물 침강속도의 정량적 결과는 향후 한강 하구에 대한 체계적 관리 및 기능 회복을 위한 기술 개발시에 크게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면의 침식과 퇴적에 따른 하상변동 해석, 수질 및 퇴적물 오염 절감을 위한 대책 방안 수립 등 다양한 목적으로 크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Overview of Gas Hydrates as a Future Energy Source and Their Physical/Chemical Properties (미래 에너지로서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개관 및 물리/화학적 특성)

  • Cha, Minjun;Min, Kyo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 /
    • v.55 no.6
    • /
    • pp.670-687
    • /
    • 2018
  • This paper reviews the structures,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rigins and global distribution, amount of energy resources, production technologies, and environmental impacts of gas hydrates to understand the gas hydrates as future energy sources. Hydrate structures should be studied to clarify the fundamentals of natural gas hydrates, hydrate distributions, and amount of energy sources in hydrates. Phase equilibria, dissociation enthalpy, thermal conductivity, specific heat, thermal diffusivity, and fluid permeability of gas hydrate systems are important parameters for the the efficient recovery of natural gas from hydrate reservoirs. Depressurization, thermal stimulation, inhibitor injection, and chemical exchange methods can be considered as future technologies to recover the energy sources from natural gas hydrates, but so far depressurization is the only method to have been applied in test productions of both onshore and offshore hydrates. Finally, we discuss the hypotheses of environmental impacts of gas hydrates and their contribution to global warming due to hydrate dissociation.

A study on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luvial Habitat (하천 생물서식처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An, Tae-Ung;Choe, Lee-Song;O,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437-441
    • /
    • 2009
  • 1990년대 이후 하천환경에 대한 관심은 치수적 과점에서 이수적 관점, 환경적 관점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하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1990년대 말부터 자연형 하천개발이라는 이름으로 확산되어 우리나라의 하천환경을 크게 변모시켜 나가고 있다. 실제로 자연형 하천은 우리 주변의 하천경관 및 수질을 많이 개선하는 효과를 거두어 왔으나, 하천의 보전 및 복원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개발이 없는 상태에서 경쟁적으로 시행되어 비효율성, 비생태성, 비안전성의 문제를 노출시키고 있다. 특히 하천의 다양한 물리적 인자와 복합되어 형성되는 하도서식처 환경들에 대한 이해의 부족은 하천에 서식하는 다양한 생태계의 순환과정 및 연계성을 단절시키고 근본적인 하천환경복원을 어렵게 한다. 최근에 하천환경 복원사업의 근본 목표는 그 하천 고유의 하천경관이나 생태계 등의 특성을 회복(Rehabilitation)시키거나 복원(Restoration)시키는 것으로, 평여울, 급여울, 폐쇄형 하도습지, 웅덩이 등과 같은 하도서식처로서의 물리적 자연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성하여 원활한 생태환경이 자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그러나 하천 생태계는 물리적 환경에 의해서만 지배되는 것은 아니며, 하천생태계가 원활하게 조성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적정한 수질이 유지되는 것 또한 중요하다. 물론 자연생태계의 순환과정이 원활해진다면, 하천의 자정능력 향상을 가져오게 되고 그로 인하여 수질도 생태환경에 적합하게 유지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이치이다. 결국 자연적으로 조성된 하천에서의 물리적 서식처 환경이 수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은 앞으로 하천환경 복원사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환경인 하도서식처 환경을 조사하고 그에 따른 화학적 특성을 평가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하천복원에 있어서 물리적 서식처 조성과 수질의 상호 연계성 및 복원기술의 타당성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SW (Municipal Solid Waste) from Dwelling Site and Landfill Site - A Case Study of the Chungju City - (생활폐기물의 발생원과 최종 매립장에서 물리화학적 특성 비교 분석 - 충주시를 중심으로 -)

  • Cho, Byungyeol;Yeon, Ikjun;Lee, Byungchan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0 no.3
    • /
    • pp.47-52
    • /
    • 2009
  • The comparative analysis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nicipal solid waste from dwelling site and landfill site were performed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of waste management in Chungju city. It was analysed and evaluated the bulk density, physical component, three major component, chemical component, and heating value of MSW. The physical components depended on the sampling site in dwelling site and landfill site. But, by the ultimate analysis, the chemical composition was almost similar to result for municipal solid waste from dwelling site and landfill si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physical components according to sampling site for the MBT to introduce for combustible municipal solid waste pre-treatment, but it needs the chemical composition from landfill site to design the incinerator. The physical composition showed that the combustible and the noncombustible occupied 87.4% and 12.6% respectively. In case of three component analysis, the moisture, the combustible, and the ash were 27.6, 60.5, 11.9% respectively. The chemical composition through the element analysis were C (50.1%), H (6%), O (39.5%), N (1.9%), S (0.5%), and Cl (1.3%).

  • PDF

Evaluation of Cellulosic Fiber해s Biodegradation (셀룰로오스 섬유의 생분해성 평가)

  • 강연경;박정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123-126
    • /
    • 2002
  • 섬유와 같은 고분자 물질의 생분해성은 그 분자의 화학적, 물리적 특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같은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섬유라고 해도 각각의 화학적 구조나 물리적 특성에 따라 분해 거동이 다를 수 있다. 면, 마,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은 모두 셀룰로오스계 섬유라는 공통점이 있으나 구조적 차이, 제조 공정의 차이, 그리고 분자의 화학 조성 등이 다르며, 함유되어있는 비셀룰로오스분의 종류 및 구성비가 다르다. (중략)

  • PDF

Study on Spatial Characteristics of Physicochemical Components of Spring Water in Mts. Geumjeong and Baekyang Area Using Kriging (크리깅 기법을 이용한 금정산-백양산 일대 용천수의 물리화학적 성분의 공간적 분포 특성 연구)

  • 함세영;정재열;류상민;강래수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2 no.4
    • /
    • pp.439-457
    • /
    • 2002
  • Sping waters at 60 sites and groundwaters at 6 wells in Mts. Geumjeong and Baekyang area were investigated for measuring nine physicochemical components (temperature, pH, Eh, EC, TDS, DO, salinity, alkalinity and discharge rate). The pH of spring waters ranges from 5.06 to 8.38, alkalinity from 7.93 to 102.21 mg/ㅣ, electrical conductance from 9.5 to $270{\;}\mu\textrm{s}/cm$, Eh from 64.2 to 685.9 mV, DO from 4.57 to 12.13 mg/l, and the discharge rate from 4.26 to 182.2 ml/s. General statistics was carried out to analyz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hose components. To compare the components with one another, regression analyses were carried out. And the components of spring waters were compared to those of groundwaters. Kriging was used to estimate the spatial variation of DO, pH, Eh, EC, alkalinity and discharge rate in the study area. The kriged isopleth maps were made using normalized kriged values to find anomalies of the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to compare anomalies of different components.

Microstructure and properties of HQEE-based PU (HQEE-based PU의 미세구조 및 특성)

  • 이정상;이한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350-351
    • /
    • 2003
  • Polyurethane은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매우 다른 두 segment(hard/soft)로 이루어진 block copolymer로서 hard segment의 화학적 구조가 hard segment의 packing정도에 영향을 미쳐, PU의 미세상분리 현상을 결정하며 결과적으로 PU의 물리적 성질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1$. 본 연구에서는 hard segment의 packing을 향상시켜 PU은 열적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방향족환으로 구성되어 있어 aromatic diol의 일종인 hydroxyquinone-di-(beta-hydroxyl)ether(HQEE)를 chain extender로 사용하여 PU를 합성하였다. (중략)

  • PDF

Settling Characteristics of Saemankeum fine-Cohesiv Sediments : Effect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새만금 미세점착성 퇴적물의 침강특성 : 퇴적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의 영향)

  • Hwang, Gyu-Nam;Jo, Yong-S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5 no.5
    • /
    • pp.475-484
    • /
    • 2002
  • A series of settling tes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y tests on Saemankeum fine-cohesive sediments has been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ettling properties and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which are represented as grain size distribution, mineralogical composition, and percentage of organic contents. Experimental results of physico-chemical property tests show that Saemankeum sediments are relatively large in average grain size(52${\mu}{\textrm}{m}$), and contain very small organic materials(2%), and are dominantly composed of Quarts in mineralogical aspect which has relatively low cohesion. Thus, Saemankeum sediments might be specified as the sediments whose settling properties are more influenced by the gravity than the cohesion. This characteristics of Saemankeum sediments are found to lead to relatively small settling velocity in flocculated settling region in which increasing cohesion results in increasing settling velocity, while relatively large settling velocity in hindered settling region in which settling velocity decreases with increasing cohe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