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류경쟁력

Search Result 52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기획인터뷰-기술표준원 표준기술지원부 최형기 국장

  • Korea Logistics Association
    • LOGISTICS
    • /
    • s.21
    • /
    • pp.24-27
    • /
    • 2007
  •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은 물류설비의 표준화를 통하여 유닛로드 시스템의 조기 구축과 물류비 절감을 위하여 지난 2004년 7월부터 물류표준설비 인증제도를 도입하였다. 약 3년이 지난 지금 현재 106개 업체, 200여개의 설비 등이 물류표준화 설비인증을 부여받았다. 각 기업들이 물류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자연스럽게 설비인증에 대한 관심도도 높아진 것이라 할 수 있다. 그 결과 우리나라 물류설비의 표준화에 대한 확산 보급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는 동시에 물류경영시스템 인증도 병행하여 물류흐름의 효율성을 제고시키고 이를 통한 물류비 절감으로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물류표준화 분야에서 꼭 필요한 "물류표준설비의 표준화 인증"과 "물류경영 시스템 인증"제도를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표준기술지원부 신기술인증지원팀이 담당하고 있다. 이 물류표준화를 위해 노력하는 기표원의 표준기술지원부를 이끌고 있는 인물이 바로 최형기 국장이다. 최 국장은 92년 기술표준원에 공업연구관으로 시작하여 지금은 물류표준화 분야의 최고의 권위자로서 국가물류비 절감을 통한 산업경쟁력 향상에 기여하고자 맡은 바 임무를 충실히 해 오고 있다.

  • PDF

글로벌 해상물류허브지수 개발 및 평가에 관한 연구

  • 김정아;신용존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124-126
    • /
    • 2023
  •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물류대란, 우크나이나 전쟁으로 시작된 글로벌 이슈가 부산을 비롯한 글로벌 선진 해운도시의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을 객관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평가도구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해운도시의 경쟁력과 잠재력을 평가하는 해운도시경쟁력지수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의 토대를 제공코자 한다.

  • PDF

참고자료 I-분야별 물류표준화 Road-Map

  • Korea Logistics Association
    • LOGISTICS
    • /
    • s.21
    • /
    • pp.80-85
    • /
    • 2007
  • 건설교통부는 물류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가물류비의 획기적 자감을 위한 '국가물류표준화추진계획'을 발표했다. 다음은 분야별로 세부추진계획을 살펴본다.

  • PDF

An Empirical Study for the Growth of the Logistics Industry of Jeon-buk Area (전라북도 물류산업육성을 위한 실태조사 연구)

  • Kim, Joong-Shik;Park, Hyoung-Chang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3 no.1
    • /
    • pp.163-193
    • /
    • 2007
  • Jeon-buk is well equipped for the growth of the logistics industry as it is the center of inland and marine traffic. However, it was not activated because of the infrastructure insufficiency. This paper surveyed the logistics industry facilities, interviewed people who are engaged in its business, researched into their business difficulties and the problem of the logistics industry of Jeon-buk. As a result of research, this paper makes an alternativ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e logistics industry of Jeon-buk area.

  • PDF

경유가격(輕油價格)과 물류투자(物流投資)의 관계(關係)에 대한 연구(硏究)

  • Kim, In-Je;Jo, Seong-Bong;Kim, Sang-Hyeo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6 no.1
    • /
    • pp.153-169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경유가격에 의한 시장왜곡의 한 측면으로서 우리나라 기업의 물류 투자가 상대적으로 낮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낮은 경유가격으로 상품의 원가는 당분간 낮게 유지될 수 있었을지 모르나 결국 물류투자의 수준을 낮추어 물류설비 수준을 적정이하로 만든 요인이 되며, 이는 다시 물류비용을 증가시키고 결국 원가상승(原價上昇) 요인으로 작용하여 국제경쟁력에 미치는 종합적 효과는 불분명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비단 경유가격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산업용 전력요금 등 여타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산업의 경쟁력과 물가안정을 위해서 특정재화의 가격을 낮게 유지하는 것은 결국 가격구조를 왜곡하게 되고 다른 부수적인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어 적정수준이 아닌 자원배분(資源配分)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산업정책(産業政策)의 일환으로 추진되어온 경유에 대한 가격규제는 보다 합리적인 자원배분(資源配分)을 위하고 장기적인 산업경쟁력(産業競爭力)을 고려하여 신중히 재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국내 항만배후단지 부가가치 물류활동 분석 연구

  • Kim, Eu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151-153
    • /
    • 2019
  • 우리나라 항만배후단지는 수출입 화주의 글로벌 SCM 지원 및 효율적 물류활동을 지원하고, 항만의 고부가가치화를 실현하기 위해 개발 및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물류센터를 운영하는 항만배후단지 입주기업들은 다양한 부가가치 물류활동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여전히 단순 보관기능 위주의 활동에 치중되어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항만배후단지 입주기업의 부가가치 물류활동 실태를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응답 입주기업의 44%가 단순 하역, 운송, 보관 기능만 수행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5개 이상 부가가치 물류활동을 수행하는 기업은 전체의 11%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포장, 분류, 라벨링 등 비교적 저수준의 부가가가치 물류활동이 전체 부가가치 물류활동의 약 60%로 나타났고, 2017년 기준 부가가치 환적화물의 처리 비중은 2.6%로 상당히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 항만배후단지 입주기업의 부가가치 물류활동 수준을 제고하고, 부가가치 환적화물 유치 강화 등을 위한 경쟁력 강화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