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공급 소외지역

Search Result 10,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Simulation of multiple intake sources for sand dam in Chuncheon (춘천 샌드댐을 위한 다중 유입원 모의실험)

  • Kim, Il Hwan;Kim, Min-Gyu;Chang, Sun Woo;Chung, Il-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48-448
    • /
    • 2022
  • 기후변화와 산업의 발달로 필요한 수자원의 양은 증가하고 있지만 수자원의 양은 줄고 있어 가뭄 피해에 대해서 더욱 취약해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물 공급 소외 지역 중 산간지역은 계곡수 등을 이용한 소규모 용수 공급 시설을 이용하고 있다. 산간지역은 지형적 특성상 수자원의 저류가 힘들어 가뭄 피해에 더욱 취약하다. 산간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수자원 공급방안 중 지형의 경사를 이용하여 샌드댐을 설치하여 수자원을 확보하는 방안은 이에 대한 하나의 대안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지역인 춘천시 물로리 현장을 모사한 샌드댐 물리 모형을 구축하였다. 샌드댐 물리 모형의 구축은 현장의 경사에 대비하여 1/15 규모로 축소하였으며, 현장의 유하 순서와 동일하게 구성하였다. 춘천 물로리 현장에서는 기존 취수원에서 샌드댐으로 유입되는 수량과 배후 지하수에서 유입되는 수량으로 나누어 샌드댐 모의를 진행하였다. 샌드댐을 이용한 산간지역의 물공급과 운영 방안을 통해 물 공급 소외지역에서 활용가능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 PDF

Evaluation of water supply contribution of Sand dam (샌드댐을 통한 물공급 기여도 평가)

  • Chung, Il-Moon;Yifru, Bisrat;Lee, Jeongwoo;Kim, Mi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14-414
    • /
    • 2021
  • 유역 상류의 지표수는 급경사로 인해 빠른 흐름을 나타냄으로써 유역의 저류기능은 하류부에 비해 부족한 형편이다. 또한 광역상수도의 공급이 불가능한 지역이 많아 소규모 급수시설을 이용하여 물공급에 대처하고 있다. 샌드댐은 이와 같은 물공급 소외지역의 저류기능을 높이기 위해 활용될 수 있으며 주된 특성은 증발에 의한 손실 방지와 겨울철 결빙에 따른 대처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춘천 물로리 지역을 중심으로 샌드댐의 공급기여도를 평가하기 위해 SWAT-MODLFOW모형을 이용한 수문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연구 지역의 수문성분 중 상당한 양의 측방 흐름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월평균 지하수 함양 분포는 유역의 제한된 지역에서만 발생했고, 토양 유형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전체 지하수 함양량의 약 85 %는 지역의 여름과 봄철에 발생했고 연평균 함양률은 강수량의 약 6 %내외로 저조하였다. 하천과 대수층은 연결성을 나타냈으며 유역 출구 부근에서 하천유출량이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대수층과 샌드댐 저류지에서 이용 가능한 물의 양은 수위저하를 야기하지 않으면서 약 30m3/일의 물을 공급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현재 이 지역의 물 공급 수요는 15.4m3/일임을 감안하면 샌드댐 설치후 이 지역의 공급은 비교적 안정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stablishment of monitoring system and droughts response plan between uppermost stream and intake station (상류부 하천-취수원 연계 모니터링 및 가뭄 대응방안 구축)

  • Shin, Jieun;Kim, Ji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44-344
    • /
    • 2021
  •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현상으로 인해 극심한 이상 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물 공급 소외지역의 경우 가뭄으로 인해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으며, 특히 마을상수도 및 소규모수도시설에 의존하는 최상류부 유역의 취수원은 상대적으로 가뭄에 취약하다. 본 연구의 대상 지역은 강원도 춘천시 물로천의 제1지류 유역으로 주민들이 하천 계곡수를 생활용수의 주 공급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해당지역은 갈수기에 생활용수 부족 문제를 겪고 있는 지역으로 가뭄 대응을 위한 구조적 대책으로 다단식 Sand댐을 설치할 예정이다. 현장조사 결과 물로천의 물은 취수조로 일부 유입되며, 자갈 등을 이용하여 부유물 등이 필터링되어 물탱크로 흘러내리며 중력에 의해 각 가정으로 자연 유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역의 하천, 취수조, 물탱크 3개 지점에 압력식 자동 수위 관측기를 설치하였으며, 2시간 간격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 매달 유속 측정을 통해 수위-유량 관계 곡선식을 바탕으로 유량을 산정하였다. 도출된 일별 유량 자료와 SWAT 모형의 매개변수 검·보정한 후 이를 장기간으로 확장 적용하여 약 10년간의 장기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일별 장기 유출량 자료를 통해 평균 유량 감수곡선과 감수곡선식을 도출하였고, 무강우에 따른 최대 공급가능일수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취수원 연계 모니터링 및 하천 유량에 따른 공급가능일수 등을 제시하여 가뭄 취약지역의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가뭄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최종적으로 추후 Sand댐 건설 전후 비교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소규모수도시설의 가뭄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체계 및 대응 방안을 구축하였다.

  • PDF

Preliminary Analysis on Improvement of Water Supply Capacity of Sand Dam (샌드댐 설치에 따른 물공급 개선 효과 예비 분석)

  • Chung, Il-Moon;Lee, Jeongw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1 no.1
    • /
    • pp.29-37
    • /
    • 2021
  • It is important to introduce a local adaptive water supply system for upper mountainous regions, which provide a margin of water supply. This can be done through the process of securing a water source, planning for optimal use, and combining it with a water source that can be linked. In particular, in a mountainous region located at the uppermost part of the watershed, an approach should be found to utilize the groundwater discharge supplied through valley water and lateral discharge. This study sought to improve the water supply system using sand dams in drought-prone areas in Chuncheon, in Gangwon Province. Our approach involved virtually installing a sand storage tank under the existing water source to perform modeling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water intake and calculating the amount of water that can be taken from the sand dam. When the sand dam was applied at a size four times larger than the existing water source, it was found that the groundwater drainag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changes in water surface slope and hydraulic conductivity.

Development of groundwater level monitoring and forecasting technique for drought early warning (가뭄 예·경보를 위한 지하수위 모니터링 및 예측기법 개발)

  • Lee, Jeongju;Kim, Taeho;Chun, Genil;Kim, Hye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3-13
    • /
    • 2020
  • '20년 3월 현재 전국 3,502개 읍면동 중 73개 읍면동이 지하수를 상수원으로 급수 중이며, 48개 산업단지에서 지하수를 주 수원으로 사용 중이다. 또한 급수 소외지역의 물 공급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소규모수도시설 14,811개 중 12,073개(81.5%)는 지하수를 이용하고 있으며, 그 위치는 전국에 산재해 있다. 이처럼 지하수는 댐, 저수지 및 하천과 더불어 생·공용수의 중요한 수원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급수 소외지역의 주요 수원인 지하수위 현황을 이용한 가뭄 모니터링 및 전망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국가 지하수관측망 중 10년 이상 장기 관측 자료를 보유한 253개 관측소의 일단위 관측자료를 기반으로, 과거 관측수위 분포를 핵밀도함수로 추정하고 Quantile Function을 이용해 현재 수위의 높고 낮은 정도를 Percentile 값으로 산정하였다. 관측소별 지하수위 Percentile은 티센망을 이용해 167개 시군별로 공간평균하고 Percentile의 범위에 따른 가뭄등급을 설정하여 지하수 가뭄 정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지하수 가뭄을 전망하기 위해 강수와 지하수위의 거시적인 응답특성을 이용하였다. 관측소별로 추정된 핵밀도함수의 누적확률을 표준정규분포의 Quantile로 변환하여 표준지하수지수I(Standardized Groundwater level Index, SGI)를 산정하고, 시군별로 공간을 일치시킨 1~12개월 지속기간별 표준강수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와의 상관관계를 이용해 NARX(nonlinear autoregressive exogenous) 인공신경망 예측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기상청 정량전망 강수량을 이용해 전국의 1~3개월 후 지하수 가뭄을 빠르게 전망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생·공용수 분야 국가 가뭄 예·경보의 미급수지역 가뭄현황 및 전망에 활용중이다.

  • PDF

Measures to improve the legal system for commercialization of sand dams (샌드댐 상용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 Shim, Young-Gyoo;Chung, Il-Moon;Kim, Min-Gy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8
    • /
    • pp.635-643
    • /
    • 2022
  • Attempts are being made to use the sand dam as an alternative water resource securement facility by installing and operating sand dams in valleys, where water intake capacity is extremely limited, in areas with limited water supply in the upstream watershed of Korea. In the case of some countries in Africa, where sand dams are known to be most actively installed and used, it is difficult to find examples of establishing and applying a separate legal system for sand dams. A sand dam is a kind of groundwater dam, and in view of its concept, structural and technical form and characteristics, purpose, use, and function, it will be said that it has the legal character and status as a facility for securing groundwater resources specified in the current 「Ground Water Act」.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regulations on facilities for securing groundwater resources also supports this. Therefore, it is legal and realistic to promote and implement the sand dam project as one of th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projects for securing underground water resources based on the 「Ground Water Act」.

Analysis of the effect of long-term water supply improvement by the installation of sand dams in water scarce areas (물부족 지역에서 샌드댐 설치에 의한 장기 물공급 개선 효과 분석)

  • Chung, Il-Moon;Lee, Jeongwoo;Lee, Jeong Eun;Kim, Il-Hw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12
    • /
    • pp.999-1009
    • /
    • 2022
  • The Chuncheon Mullori area is an underprivileged area for water welfare that does not have a local water supply system. Here, water is supplied to the village by using a small-scale water supply facility that uses underground water and underground water as the source. To solve the problem of water shortage during drought and to prepare for the increasing water demand, a sand dam was installed near the valley river, and this facility has been operating since May 2022. In this study, in order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water supply when a sand dam is assumed during a drought in the past, groundwater runoff simulation results using MODFLOW were used to generate inflow data from 2011 to 2020, an unmeasured period. After performing SWAT-K basin hydrologic modeling for the watershed upstream of the existing water intake source and the sand dam, the groundwater runoff was calculated, and the relative ratio of the monthly groundwater runoff for the previous 10 years to the monthly groundwater runoff in 2021 was obtained. By applying this ratio to the 2021 inflow time series data, historical inflow data from 2011 to 2020 were genera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vailability of water supply during extreme drought in the past for three cases of demand 20 m3/day, 50 m3/day, and 100 m3/da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eliability of water supply increases with the installation of sand dams. In the case of 100 m3/day, it was analyzed that the reliability exceeded 90% only when the existing water intake source and the sand dam were operated in conjunction. All three operating conditions were evaluated to satisfy 50 m3/day or more of demand based on 95% reliability of water supply and 30 m3/day or more of demand based on 99% of reliability.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Water Supply and Demand Monitoring System and Drought Response Plan of Small-scale Water Facilities (소규모수도시설의 공급량-수요량 모니터링 체계 구축 및 가뭄 대응 방안 연구)

  • Choi, Jung-Ryel;Chung, Il-Moon;Jo, Hyun-Jae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9 no.4
    • /
    • pp.469-481
    • /
    • 2019
  • In addition to structural stabilization measure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Sand Dam, non-structural management measures such as reasonable water demand and supply volume management are needed to prevent limited water supply damage due to drought. In this study, water supply-demand monitoring system was established for drought response in Seosang-ri basin in Chuncheon, the main source of domestic water for small water facilities. The flow rate of the stream was measured for monitoring the supply volume, and the daily flow rate was calculated by using it to calibrate the parameters of the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o monitor demand, the daily usage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nally calculated daily supply and demand amount was analyzed to identify the shortage of water.

Evaluation of water drainage according to hydraulic properties of filling material of sand dam in Mullori, Chuncheon (춘천 물로리 지역 샌드댐 채움재 수리특성에 따른 배수량 평가)

  • Chung, Il-Moon;Lee, Jeongwoo;Kim, Min-Gyu;Kim, Il-Hw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11
    • /
    • pp.923-929
    • /
    • 2022
  • The Chuncheon Mullori area is an underprivileged area of water welfare where local water supply is not supplied, and it is supplying water to the villages with small water supply facilities using lateral flow and groundwater as water sources. This is an area with poor water supply conditions, such as relying on water trucks due to water shortages during the recent severe drought.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water shortage during drought and to prepare for the increasing water demand, a sand dam was installed along the valley, and this facility has been operating since May 2022. In this study, repeated simulation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the filler material and the storage coefficient value for the inflow condition for about two years from mid-March 2020 to mid-March 2022. For each case, the amount of discharge through the perforated drain pipe was calculated. Overall, as the hydraulic conductivity increased, the amount of discharge and its ratio increased. However, when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the second floor was relatively low, the amount of discharge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as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the third floor increased. This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fact that the water level was kept low due to the rapid drainage compared to the net inflow into the third floor because the water permeability of the third floor and the drainage coefficient of the drain pipe were large. As a result of simulating the flow of the open channel in the upper part of the sand dam as a hypothetical groundwater layer with very high hydraulic conductivity, the decrease in discharge rate was slower than the increase in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the hypothetical layer, but it was clearly shown that the discharge volume decreased relatively as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the virtual layer in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