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화사

Search Result 3,00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인터뷰: 고정일 동서문화사 대표 -"전쟁은 무슨 일이 있어도 절대 안돼" 출판과 인쇄는 문화운동의 중심지

  • Im, Nam-Suk
    • 프린팅코리아
    • /
    • v.10 no.6
    • /
    • pp.92-95
    • /
    • 2011
  • 오는 6월 25일은 한국전쟁이 발발한지 61년이 되는 날이다. 6.25를 겪은 세대이자 '불과 얼음'이라는 6.25전쟁을 소재로 한 소설을 발표한 고산 고정일 동서문화사 대표를 만났다. 고정일 대표는 나이 16세에 출판사를 창업하여 55년을 한결같이 책만들기에만 힘써왔다. 오늘도 다른 사람의 책을 만들고 있으며, 이와 함께 자신의 소설과 동화를 지으며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다.

  • PDF

비즈니스 인사이드 - 성신문화사 신사옥 준공식

  • Im, Nam-Suk
    • 프린팅코리아
    • /
    • v.13 no.2
    • /
    • pp.86-87
    • /
    • 2014
  • 성신문화사(대표 윤영철, www.북라벨.com)는 지난 1월 10일 오후 5시 신사옥 준공식을 갖고 2014년 청마의 해를 힘차게 달리겠다고 다짐했다. 준공식에는 성신문화사의 임직원을 비롯해 거래처 고객 등이 참가했으며, 사업 대박과 임직원의 무사고를 기원하는 고사식이 함께 열렸다.

  • PDF

어촌지역 외국인 근로자 및 다문화 가구의 지속적인 증가에 따른 갈등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남해군 미조권역 중심으로-

  • 박종윤;안웅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286-289
    • /
    • 2022
  • 농어촌지역의 인구감소로 인한 인력난 해소를 위하여 국가적으로 농·어가당 외국인 고영허용 인원을 확대하고 농가의 경우 계절 근로제도 대상 적용 작물 제한을 없애는 등 인력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외국인 근로자와 국제결혼 증가로 인하여 국내 체류 외국인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코로나 19 이전 2019년 12월 말에 체류 외국인이 252만 명으로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4.9%에 해당하며, 통상 학계에서는 외국인 비율이 5%를 넘으면 다문화사회로 분류한다. 지속적인 외국인 근로자 및 다문화 가구의 증가에 따라 지역사회에서 갈등이 발생하고 있으며, 다문화사회로 분류된 상황에서 외국인 근로자 및 다문화 가구를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인식하고 갈등을 적극적으로 해결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해군 미조권역의 사례를 바탕으로 외국인 근로자 및 다문화 가구와 원주민과의 갈등관리를 위한 시설물 및 프로그램 계획, 현안갈등과 잠재적갈등 관리 방안을 제안하여 어촌지역 다문화사회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실질적인 연구 수행의 의의가 있다.

  • PDF

지역건축탐방(15) - 신도시(하)

  • Dong, Jeong-Geun
    • Korean Architects
    • /
    • no.2 s.370
    • /
    • pp.43-43
    • /
    • 2000
  • 신도시는 수도권 주택문제 해결을 위하여 1980년대부터 건설되어 왔다. 행정기관의 분산정책과 함께 개발된 과천 신도시와, 주택 200만호 건설을 위하여 급조된 분당, 일산 등 신도시들이 건설되면서 건설업계는 한동안 호황과 함께 자재, 인력 부족이라는 몸살을 앓기도 하였다. 고층 고밀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구성된 신도시는 주택 보급률 향상에는 도움을 주었지만 주거의 질에 대한 문제의 심각성을 부각시키기도 하였다. 또한 가장 빠른 기간에 거대한 신도시 건설은 세계 도시사에 신기록으로 남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건설배경이나 건설과정의 어려움을 잊고 이제는 위성도시로 자리잡아 가면서 나름대로의 지역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대부분 수도권에 위치한 신도시의 주민은 수도권 주변에서 떠돌다 모여들었고, 서울을 생활기반으로 삼고 있다. 낯선 곳에 낯선 사람들이 모여 새로운 도시설계 기법으로 설계된 낯선 도시에서 만나 살아가는 그들은 그들 나름대로의 새로운 도시 문화를 구축하고 있다. 그들은 급변하는 우리 현실에서 신도시에 대한 적용을 어떻게 하고 있는가? 신도시, 그곳에도 지역성은 있는가? 각 지역별로 새롭게 형성된 신 문화지형은 어떠한 모습으로 형성되고 있는가? 그리고 그곳에서 새롭게 자라나고 있는 도시건축문화는 무엇인가?라는 의문은 건설후 지금까지 그리고 앞으로 건설이 완성될 때까지, 또 계속 팽창되어 가는 신도시에 던져질 화두이다. 지역건축탐방은 인천을 시작으로 전국을 돌아 이제 신도시와 북한 편으로 마감을 하게되었다. 이 연제를 계기로 지역건축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고조되었고, 또 지역건축에 관심이 있었던 건축사(가)나 학자들의 모임이 활성화 되기도 하였다. 지역성에 대한 문제는 지역주민의 꾸준한 관심에서 출발되고 그 지역을 만들어나가는 건축사(가)들의 의식속에서 자라나게 된다. 또한 지역건축의 활성화는 지역문화형성의 밑거름이 되고 나아가 우리문화의 원천이 될 것이다. 지역성에 대한 문제는 앞으로 더욱 논의가 되어야할 영원한 과제이다. 신도시 편은 1999년 12월호 상편에 이어 이번호에 하편을 게재한다.

  • PDF

지역건축탐방(15) - 신도시(상)

  • Dong, Jeong-Geun
    • Korean Architects
    • /
    • no.12 s.368
    • /
    • pp.61-78
    • /
    • 1999
  • 신도시는 수도권 주택문제 해결을 위하여 1980년대부터 건설되어 왔다. 행정기관의 분산정책과 함께 개발된 과천 신도시와, 주택 200만호 건설을 위하여 급조된 분당, 일산 등 신도시들이 건설되면서 건설업계는 한동안 호황과 함께 자재, 인력 부족이라는 몸살을 앓기도 하였다. 고층 고밀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구성된 신도시는 주택 보급률 향상에는 도움을 주었지만 주거의 질에 대한 문제의 심각성을 부각시키기도 하였다. 또한 가장 빠른 기간에 거대한 신도시 건설은 세계 도시사에 신기록으로 남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건설배경이나 건설과정의 어려움을 잊고 이제는 위성도시로 자리잡아 가면서 나름대로의 지역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대부분 수도권에 위치한 신도시의 주민은 수도권 주변에서 떠돌다 모여들었고, 서울을 생활기반으로 삼고 있다. 낯선 곳에 낯선 사람들이 모여 새로운 도시설계 기법으로 설계된 낯선 도시에서 만나 살아가는 그들은 그들 나름대로의 새로운 도시 문화를 구축하고 있다. 그들은 급변하는 우리 현실에서 신도시에 대한 적용을 어떻게 하고 있는가? 신도시, 그곳에도 지역성은 있는가? 각 지역별로 새롭게 형성된 신 문화지형은 어떠한 모습으로 형성되고 있는가? 그리고 그곳에서 새롭게 자라나고 있는 도시건축문화는 무엇인가? 라는 의문은 건설 후 지금까지 그리고 앞으로 건설이 완성될 때까지, 또 계속 팽창되어 가는 신도시에 던져질 화두이다. 지역건축탐방은 인천을 시작으로 전국을 돌아 이제 신도시와 북한 편으로 마감을 하게 되었다. 이 연제를 계기로 지역건축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고조되었고, 또 지역건축에 관심이 있었던 건축사(가)나 학자들의 모임이 활성화 되기도 하였다. 지역성에 대한 문제는 지역주민의 꾸준한 관심에서 출발되고 그 지역을 만들어나가는 건축사(가)들의 의식속에서 자라나게 된다. 또한 지역건축의 활성화는 지역문화형성의 밑거름이 되고 나아가 우리문화의 원천이 될 것이다. 지역성에 대한 문제는 앞으로 더욱 논의가 되어야할 영원한 과제이다. 신도시 편은 이번호에 상편을 싣고, 하편은 2000년 2월호에 게제될 예정이다.

  • PDF

A Recipient of Korea Architecture Grand Prize ;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Prize (대담시리즈 ④ - 한국건축문화대상 역대수상자 대담 "한국건축문화대상의 의미와 가치")

  • 대한건축사협회
    • Korean Architects
    • /
    • s.546
    • /
    • pp.30-37
    • /
    • 2014
  • 최근 들어 한국 건축계에서는 크고 작은 건축상이 시상되는 매우 고무적인 동향을 보이고 있다. 그중에서도 "한국건축문화대상"은 대한건축사협회가 1971년부터 단독 개최해 오던 "한국건축전"을 1994년부터 국토교통부 및 (주)서울경제신문과 공동 주최하여 시행하고 있는 건축분야 최고의 권위를 대표하는 시상으로 현재까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에 23년의 역사를 이어온 한국건축문화대상의 본질적 의미와 가치를 다시 한 번 되새겨 보고자 역대 대상 수상자 중 현재까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건축사 몇 분을 모시고 수상과 그 이후에 대한 여러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우리 건축계가 앞으로 나아가는 데 보탬이 되는 지침돌이 되길 바란다.

  • PDF

'95한국건축문화대상 수상작 발표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10 s.318
    • /
    • pp.134-139
    • /
    • 1995
  • 본 협회와 건설부 그리고 서울경제신문사가 공동주최한 21세기 신건축 문화 창달을 위한 국내최대 규모의 건축문화행사인 '95한국건축문화대상 작품심사가 발표되었다. 그동안 우리 협회가 개최해온 '한국 건축 전'과 지난 92년부터 서울경제신문사와 건설부가 공동개최해 온 '한국건축문화 대상'을 통합, 개최하게 된 이번 행사는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환경과 조화, 인간중시'를 슬로건으로 내세워 국내건축계에서 활동 중인 건축사, 시공자, 건축주는 물론 우리 건축의 미래를 이끌어나갈 신인과 학생이 참가하였다. 총 76개 작품이 출품된 준공건축물 부문에서는 대상 1점과 본상 4점 등 23개 작품이 수상작으로 선정되었으며, 계획 건축물부문에서는 신인부분 16점과 학생부문 179점이 출품되어 엄정한 심사를 거쳐 최우수상 및 우수상, 장려상, 입선을 각각 선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