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화공간

검색결과 2,431건 처리시간 0.034초

복합문화시설로서 도서관의 라키비움 도입전략 연구 (Study on Larchiveum Introduction Strategy of Library as a Multi Cultural Facilities)

  • 곽승진;이정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39-35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문화시설로서 도서관의 라키비움 도입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복합문화시설로서 도서관의 공간구성과 프로그램의 문제는 라키비움, 메이커 스페이스 관점에서 논의되고 있으며, 디지털 라키비움 관점에서 유로피아나, GLAM, DPLA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되고 있다. 복합문화공간으로 최근의 메이커 운동을 반영한 라키비움 구축을 위한 전략으로 정보와 문화, 예술을 향유하는 라키비움 구축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탐구하고 이용자의 능동적 참여를 유도하는 메이커 스페이스, 자연과 건강, 호기심 지극 등의 키워드로 생태적 개념을 적용한 매력적인 공간의 구축 전략을 제시하였다. 라키비움 구축을 위한 절차와 방안은 크게 공간구성과 서비스 및 프로그램, 운영 규정 3가지로 구분하고, 12개의 세부사항으로 정리하여 미래형 도서관으로서의 라키비움 구축 절차와 방안을 도출하였다.

대학도서관 공간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Method of Spaces on the University Libraries)

  • 정재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33-352
    • /
    • 2012
  • 최근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복합문화공간을 표방하며 신축 및 리모델링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즉, 디지털 및 멀티미디어기기 활용공간, 스터디룸 등의 열람공간, 영화감상실 및 전시실 등과 같은 문화적 기능수행 공간, 그리고 커뮤니케이션과 휴게공간의 확충 및 제공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공간의 확보 및 제공에 치중하는 것과는 달리 오프라인 서비스와 적절히 연계되지 못하고 있으며 사서의 역할에 대한 변화와 위치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새로운 도서관 공간을 구상하고 제공하는데 있어 대학도서관의 학문적 성격을 감안하여 '복합문화공간'이 아닌 '복합학습공간'을 지향할 필요가 있으며, 대학도서관의 목적에 대한 이해와 함께 이용자의 요구, 장서의 활용방안 그리고 사서의 역할 및 배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문화재 보존을 위한 정밀 3차원 모니터링 (The Precision 3D Monitoring to Preserve the Cultural Properties)

  • 임영빈;이국무;배상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5-74
    • /
    • 1999
  • 문화재의 정밀 수치자료와 분석체계의 구축은 대상물의 보존과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보다 효율적으로 문화재를 관리하기 위한 수치자료의 획득과 분석시스템의 구축에 관한 것이다. 분청사기 매병에 대해 소프트카피 사진측량기법을 적용하여 정밀 3차원 수치자료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공간분석과 모니터링을 수행하므로써 문화재 보존을 위한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해양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한 도시어항 공간환경마스터플랜 수립에 관한 연구 -부산 암남항 어촌뉴딜300사업을 중심으로-

  • ;엄민호;안웅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83-285
    • /
    • 2022
  • 도시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나, 도시어항은 도시화에 비해 쇠퇴되고 있다. 도시어항 어민들의 어업활동은 축소되고 있으며, 어항의 새로운 변화와 활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어촌계의 고령화, 어항구역 및 인접 대지의 토지활용 등 실질적인 한계점은 어항의 발전을 저해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암남항 해녀와 낚시 콘텐츠를 활용한 해양문화콘텐츠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2022년 암남항 어촌뉴딜300사업 시행에 앞서, 암남항의 해양문화콘텐츠를 개발하고 도시어항 공간환경마스터플랜을 수립함으로서 암남항의 새로운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실질적인 연구 수행의 의의가 있다.

  • PDF

글로컬라이제이션 시대의 문화변동과 지역발전: 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Cultural Change and Regional Development in the age of Glocalization: Focused on Cultural Contents)

  • 이병민;이원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15-230
    • /
    • 2014
  • 본 논문은 지역의 역사적인 맥락을 중심으로 인지문화경제의 발전으로 이어지는 궤적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공간적 변화 및 문화 사회적 변동을 '글로컬라이제이션'이라는 주제로 관찰하고 함의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때 특히 최근 창조경제에서 중요한 '문화콘텐츠'분야에 집중하고자 한다. 오늘날 대두되고 있는 '창조성'은 이미 오래전부터 공간 경제 사회문화적인 변화의 관련성과 깊은 연관을 맺어왔다고 할 수 있으며, 이것이 '인지문화경제'라고 하는 새로운 경제체제로 변화하기 시작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경제지리와 지역발전에 깊은 영향을 미치게 되며, 특히, 지역발전을 주도하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 따른 문화변동의 특징은 재현과 이미지의 해석 등 추상적인 담론에서, 지역단위에서 실제적으로 일어나는 프로젝트로 등으로 대변하게 되며 보다 구체적인 특징을 지니게 된다. 더 나아가 글로컬라이제이션 시대의 지역발전의 가능성은 한류와 같은 문화콘텐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SNS 등과 같은 현대 미디어의 환경은 서로 소통하는 공간의 기능뿐만 아니라 로컬 단위의 콘텐츠를 전 세계로 확대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하면서 공간을 확대시키고 있다. 향후 글로컬 콘텐츠의 보다 높은 가능성을 위해 공간과 지역의 연계 강조, 다양한 주체들의 유기적인 연계와 활성화, 로컬 단위의 발전성을 담보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 등의 주기적인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