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진 플랫폼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8초

이미지 기반 AI 피부 진단 기술과 문진을 결합한 통합 피부진단 기능에 관한 고찰 (Image-Based Skin Diagnosis Using AI Technology Combine with Survey System for Review of Integrated Skin Diagnosis Function)

  • 박학권;임영환;박혁곤;황중원;이상란;조은상;림빈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463-468
    • /
    • 2022
  • COVID-19의 장기화는 다양한 산업의 패러다임에 새로운 시도와 변화를 주고 있다. 고객이 직접 피우에 닿고 사용하는 제품을 판매하는 산업에서는 그 현상이 날로 가중된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고자 최근 Cosmetics 업계에서 다양한 언택트(비대면) 서비스들을 선보이고 있다. 기존 전통 오프라인 채널에서부터 다양한 온라인 채널 확보를 통하여 고객들의 수요와 참여를 끌어내고자 한다. 대표적으로 기존에는 온라인 문진 서비스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맞춤 제품을 추천하는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한계에 도달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정형화된 문진 서비스와 한걸음 더 나아가 AI 기술을 이용한 이미지 기반 피부진단 기능을 결합하는 새로운 방식의 피부진단 서비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사용자는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몇 가지 항목에 대한 진단을 받게 되고 최종 피부타입을 도출하기 위하여 부족한 진단 항목은 기존에 제안한 피부진단 서비스를 활용하였다. 이런 방식은 기존에 제공되고 있는 문진 서비스보다 재미 요소를 더할 뿐만 아니라 기술 트린드인 AI를 결합하여 더욱 고객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고 가시적이고 정확도가 있는 지속적인 서비스를 만들어 내고자 함에 있다.

피부 상태 문진을 활용한 개인화 맞춤형 화장품 추천에 관한 연구 (Product Recommendation Using Survey And Skin Type)

  • 박학권;임영환;림빈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435-439
    • /
    • 2022
  • 최근 코로나19시대를 맞으며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표적으로 편리함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성향이 맞물려 여러 서비스 분야에서 비대면(언택트) 서비스가 트렌드 물결을 타고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Cosmetics 업계에서도 비대면 서비스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Cosmetics 업계에서는 고객의 피부정보 기반 개인 맞춤형 서비스는 제공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대인의 성향에 맞게 단순 비대면 서비스를 넘어 수집된 개인의 피부 정보 기반으로 개인 맞춤형 제품을 추천해주는 문진 서비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사용자는 온라인에서 제공되는 문진 서비스를 이용하여 응답한 내용에 따라 고객의 피부타입을 정교하게 찾아주고 피부타입에 맞는 화장품을 제공함으로써 고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고 이로 인하여 고객에게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선순환을 만들어 내고자 한다.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한방 관리 안드로이드 앱 개발 (A Development on Android App. for Oriental Medical Management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 이민호;이제율;현상현;이남권;양동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23-326
    • /
    • 2014
  • IT 기술의 발전으로 'U-Health'를 기반으로 하는 건강관리 앱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U-Health'는 무선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질병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원격진료 서비스로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들에게 제공된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활용하여 근골격계 환자가 의사의 도움 없이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텍스트 문진과 이미지 문진을 통해 의사의 진단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건강관리 앱을 소개한다. 그리고 예약 및 진료 정보 등 병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스마트기기 상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병원 시스템과 연동하였다.

DTV 포털 서비스 (Design and Development Issues in the DTV Portal Service)

  • 박종열;문진영;오연주;백의현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1권5호통권101호
    • /
    • pp.40-49
    • /
    • 2006
  • TV 포털은 TV와 인터넷 포털 사이트를 결합한 개념으로, 이용자는 TV를 보다가도 리모콘 버튼만 누르면 바로 포털 사이트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생활정보, 교육, 음악, 영화, 뉴스, 쇼핑, 게임 등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고 콘텐츠 제공업자들은 TV 포털을 통해 자신들의 콘텐츠를 제공한다. TV 포털은 인터넷 포털의 내용을 그대로 TV 화면에 보여주지 못하기 때문에 TV라는 플랫폼에 맞게 인터페이스를 단순화시키고 화면을 재설정하는 콘텐츠 가공을 한다. 본 고에서는 DTV 포털이 가지는 기술적인 의미와 인터넷 포털과 비교하여 현재 DTV 포털이 가지고 있는 기술적인 문제에 대해서 정리한다.

생산기반기술 디지털화를 위한 지식공유형 플랫폼 개발: 전자패키지 표면실장기술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Knowledge Sharing Platform for Digitization of Surface Mount Technology)

  • 배성민;손수현;권상현;이효수;허영무;강문진;유세훈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5
    • /
    • 2011
  • In this paper, we introduce knowledge sharing platform for production technology. Surface mount technology (SMT) is one of the important production technologies to fabricate electronic devices. The production technology of the SMT, however, has been propagated from an experienced worker to an inexperienced worker in a manufacturing field. The objective of the knowledge sharing platform is to convert the production experiences like a solder printing knowhow into quantitative values, to construct the database of the process technologies, and to share the technologies systematically via web portal service. In addition, the knowledge sharing platform contains the total production process of mobile products, the information of experts and facilities, and recent R&D output. In this manner, the knowledge sharing platform for production technology could strengthen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companies in Korea.

휴대폰 외장부품 제조기술 공유를 위한 웹기반 플랫폼 개발 (Development of Web-Based Platform System for Sharing Manufacturing Technologies on Housing Parts of Mobile Products)

  • 정태성;윤길상;허영무;이효수;강문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7권1호
    • /
    • pp.113-119
    • /
    • 2013
  • 뿌리기술로 불리는 생산기반기술은 국내 주력기간산업과 미래유망산업 관련 제품의 품질 및 생산성을 좌우하는 핵심기술로서 제조산업의 주류를 이루는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최적의 생산기반기술 관련 지식의 공유 및 확산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생산기반기술은 현장 경험과 숙련 정도에 의존도가 높은 공정기술이기 때문에 이를 지식의 형태로 표준화하여 시스템적으로 공유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모바일 핵심부품 중 하나인 휴대폰 외장부품 제조를 위해 공통적으로 필요한 부품 설계, 금형설계, 금형가공, 사출성형공정 최적화, 표면처리 등의 주요 기반기술의 표준화 및 정보화를 수행하였다. 또한, 이를 쉽게 축적, 공유하도록 하기 위하여 지식저작도구, 의미기반 데이터베이스, 웹 포털 서비스로 구성된 웹 기반 지식공유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특허 동시분류분석과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기술융합 분석 (Analyzing Technological Convergence for IoT Business Using Patent Co-classification Analysis and Text-mining)

  • 문진희;권의준;금영정
    • 기술혁신연구
    • /
    • 제25권3호
    • /
    • pp.1-24
    • /
    • 2017
  • 최근 기술융합의 핵심현상으로 사물인터넷이 대두되면서 사물인터넷의 기술트렌드 및 기술융합에 관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의 대부분이 사물인터넷 기술 동향에 대한 정성적 연구에 그치고 있어 기술융합의 구체적 양상을 파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허 데이터를 기술의 대용데이터로 간주하고, 동시 분류분석과 텍스트마이닝을 바탕으로 사물인터넷 융합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융합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사물인터넷의 융합을 일으키는 주요 기술군을 디바이스, 네트워크, 플랫폼, 서비스 네 가지로 정의한 후, "Internet of Things" 키워드를 중심으로 미국 특허청에서 수집된 923개 특허의 클래스를 네 가지 기술군에 할당하여 이들 간 관계를 파악하였다. 대부분의 클래스 및 키워드가 디바이스에 관련되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융합 현상을 디바이스 융합과 전체 융합으로 나누어 기술융합 양상을 파악하였다. 디바이스 중심의 사물인터넷 기술을 분석한 결과 센서 디바이스를 비롯한 헬스케어 디바이스, 냉장 및 냉동 장치, 에너지관리 디바이스, 로봇, 임베디드 등이 주요 융합 그룹으로 도출되었다. 전체 기술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사물인터넷 요소기술을 중심으로 스마트 헬스케어, 스마트 홈, 무인자동차 등 사물인터넷의 다양한 응용영역들이 기술융합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사물인터넷 기술융합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및 전략 수립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