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제

Search Result 66,332, Processing Time 0.065 seconds

A Study on Item-Type Evaluation System of Highschool Mathematics in Web Environment (웹 환경에서의 고등학교 수학 교과의 문제 유형별 평가 시스템에 관한 연구)

  • 최정률;신용서;윤기천;이상철;최필진;한상민;박홍복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0.05a
    • /
    • pp.268-273
    • /
    • 2000
  • 기존의 웹 기반 학습 평가 시스템은 학습자의 선택 기회가 없는 상태에서 일방적으로 제시된 문제지로 평가하게 되거나, 문제 은행에서 임의로 추출한 문제도 단순히 무작위로나 난이도만을 고려하여 문제지를 구성하였고, 그 결과에 대한 성취도의 분석도 한 문제지에 대한 정오표 또는 점수로 단순하게 제시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지속적인 학습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제유형, 과목 및 단원 난이도, 문항 형태, 문항당 배점, 문항당 배당 시간등의 다양한 정보를 가진 유형별 문제 은행을 구축하였다. 학습자는 마치 문제집을 풀고 싶은 유형의 문제를 선택하듯이 문제 은행에서 문제를 자율적으로 구성하여 평가할 수 있는 유형별 문제지나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기준에 맞추어 자동 구성되는 종합 문제지로 다양하게 평가할 수 있다. 또한, 한문제지에 대한 결과뿐만 아니라 유형별, 월별 성취도 분석을 통하여 평가한 총점에 대한 획득한 점수의 누적 통계를 그래프로 일목요연하게 보여주어 한 학습자에 대한 지속적인 성취도 분석이 가능하도록 구축하였다.

  • PDF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Election and Consensus in Asynchronous Distributed Systems (비동기적 분산 시스템하에서 선출 문제와 합의 문제의 관련성 연구)

  • Kim, Yoon;Yu, Sun-Jun;Kim, Cha-Young;Park, S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569-572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신뢰 할 수 없는 고장추적 장치로 구성 된 비동기적 분산 시스템 하에서 선출(election) 문제와 합의(consensus) 문제의 관련성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먼저 선출 문제는 합의 문제보다 더욱 어려운 문제임을 보인다. 합의 문제와는 대조적으로 선출 문제는 시스템 상에서 단 한 개의 노드가 죽은 경우에도 신뢰 할 수 없는 고장 추적 장치를 이용하여 선출 문제를 해결 할 수 없다. 보다 엄밀하게 표현하자면, 선출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가장 약한 고장 추적 장치는 완전한 고장 추적 장치이어야 하는 것으로, 이는 합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가장 약한 고장 추적 장치보다 확실히 강한 것이다. 선출 문제가 합의 문제보다 어렵다는 것을 보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축소(reduction) 프로토클을 이용 한다.

  • PDF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andard Criterion for Analyzing Problem-Based Learning Problems in Mathamatics (수학과 문제중심학습 문제 분석을 위한 기준표 개발 및 적용)

  • Huh, Nan;Kang, Ok-Ki
    • School Mathematics
    • /
    • v.11 no.1
    • /
    • pp.165-186
    • /
    • 2009
  • Problem-Based Learning has many implications on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the problem-Based Learning, students device their plans to solve the given problems and discuss with workers to find and share some ideas or mathematical contents needed to solve those problems. In this paper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Problem-Based Learning problem and tried o find out the standard criterion of problem analysis that were appropriate to Problem-Based Learning. We applied them to analyze problems in textbooks and problems that were developed for Problem-Based Learning. Using he result, the further research questions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PDF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Problem Posing (학생들의 문제 만들기의 특징에 대한 연구)

  • Shin, Maria;Na, Gwisoo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6 no.2
    • /
    • pp.269-293
    • /
    • 2012
  • This study is intended to figure out how the 6th grade students carry out newly added standards regard to the problem solving in the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in 2007 and 2009, which are 'finding useless information in a given problem', 'finding insufficient information in a given problem', and 'posing new problem by changing conditions of the given problem.'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200 elementary students' problem posing. We constructed and used the survey sheet which consisted of 6 items relevant to 'finding useless information in a given problem', 'finding insufficient information in a given problem', and 'posing new problem by changing conditions of the given problem.'

  • PDF

A Case Study on Mathematical Problem Posing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예비수학교사 교육에서 수학적 문제제기 수업 사례)

  • Han, Hyesook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21 no.1
    • /
    • pp.63-89
    • /
    • 2018
  •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developed a course integrated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ctivities in order to enhanc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bility to carry out problem posing activities in mathematics classroom, and examined the change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about problem posing through the course. The problem posing course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three stages: education on the theories regarding problem posing; activities with problem posing;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blem posing task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interviews, and class journals data analysis, the problem posing experiences provided in this study were very effective in improving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posing strategies and the benefit of problem posing activities to student learning. Particularly, the experience in various problem posing activities and the implementation experience of problem posing provided in the course played a key role in the improvement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problem posing and PCK.

Problem Structuring in IT Policy: Boundary Analysis of IT Policy Problems (경계분석을 통한 정책문제 정의에 관한 연구 - 언론보도에 나타난 IT 정책문제 탐색을 중심으로 -)

  • Park, Chisung;Nam, Ki Bum
    • 한국정책학회보
    • /
    • v.21 no.4
    • /
    • pp.199-228
    • /
    • 2012
  • Policy problems are complex due to diverse participants and their relations in the policy processes. Defining the right problem in the first place is important because Type III error is likely to happen without removing rival hypothesis in defining the problem. This study applies Boundary Analysis suggested by Dunn to structure IT policy problems in Korea. The time frame of the study focuses on 5 years of Lee Administration and data are collected from four newspapers. Using content analysis, the study, first, elaborates total 2,614 policy problems from 1,908 stakeholders. After removing duplicating problems, 369 problems from 323 stakeholders are identified as a boundary of IT policy problem. Among others, failures in government policies are weighted as the most serious problems in IT policy field. However, many significant problems raised by stakeholders dated back to more than a decade, and those are intrinsic problems, which initially caused by market distortions in the IT industry. Therefore, we should be cautious not to overemphasize the most conspicuous problem as the only problem in the policy field when we interpret results of problem structur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Effective and Ineffective Problem Solver's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Activity (효율적인 문제해결자와 비효율적인 문제해결자의 기술적 문제해결 활동 비교 분석)

  • Kim, Tae-Hoon;Rho, Tae-Cheon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0 no.3
    • /
    • pp.93-10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which are related with effective solution of technological problems. For this, an effective problem solver and an ineffective problem solver have been compared in terms of the problem solving activity with a population of students who are enrolled in College of Engineering, C University in Daejeon. As a result, this paper can be concluded as follows: An effective problem solver differs from an ineffective problem solver in terms of time consumed during problem solution modeling a problem solution identifying a problem cause and frequency and time consumed during evaluating a result.

The Analysis of Problem Posing Cases of Pre-Service Primary Teacher (초등 예비교사의 수학적 문제제기 사례 분석)

  • Lee, Dong-Hwa
    • School Mathematics
    • /
    • v.19 no.1
    • /
    • pp.1-18
    • /
    • 2017
  • In this study we analyse the features of process of problem posing and explore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knowledge of primary preservice teachers as result of their engagement in problem posing activity.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preservice teachers' class discussions. Analysis of the data shows that preservice teachers developed their ability to understand connections among mathematical concepts.

A Design of Learner-oriented Item Bank System Considering Type of Content (문제 유형을 고려한 학습자 중심의 문제은행 시스템 설계)

  • Oh, Won-Wook;Kim, Y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558-561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웹기반 문제은행의 발전된 모형으로 문제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맞춤형 문제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본 시스템의 최종 목표는 능동적, 자기 주도적 학습을 실현할 수 있는 맞춤형 이러닝을 통해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 향상에 있다. 교수자 및 개발자 중심의 이러닝 서비스가 아닌 학습자의 학습 결과에 능동적으로 반영하고 유연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문제 유형에 따른 적합한 다음 단계의 문제를 제공함으로써 이러닝의 효율을 극대화 한다. 기존의 고정 출제 또는 무작위 출제 방식에서 탈피하여 개별 학습자의 오답과 문제 유형을 고려하여 문제의 키워드, 선택된 보기의 키워드, 유동적 난이도에 따른 문제 추출 방식을 설계하였다. 이 모델은 보조 학습의 수단으로 문제은행 시스템을 학습자 중심에 근접하여, 융통적이고 효과적으로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Expert-novice differences of mental representation and problem solving strategy in mechanics problems (물리 문제에 있어서 전문가-초보자 간의 내적표상과 해결방안의 차이)

  • Park, Yun-B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8 no.2
    • /
    • pp.43-52
    • /
    • 1988
  • 과학교육에서의 문제해결력의 강조는 그 긴 역사를 가지고 있으나, 인지 심리학에서의 정보처리 모형을 사용한 문제해결과정의 분석이 사용되면서 그 교수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하나의 탐색연구로써 학습자들이 물리문제를 해결하려는 과정에서 그 문제를 자기나름으로 이해하여 만든 내적표상과 동원한 해결방안이 문제해결에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내보려고 한다. 물리전공 박사과정 학생 3명을 전문가로, 고등학생 2명과 대학 1년생 4명, 모두 6명을 초보자로 삼아 역학내용을 다룬 세 문제를 소리내어 푸는 과정을 개인별로 녹음하여 그 문제해결과정들을 분석하였으며, 학생들의 사고수준을 알기위해 사고 수준검사가 실시 되었다. 주로 질적 분석을 사용했으나 그 결론을 뒷받침하기위해 비모수통계방법이 사용되었다. (유의수준 . 10) 밝혀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내적표상은 피험자와 문제에 따라 각각 달랐다. 초보자들은 모두 한가지 표상을 세 문제에 걸쳐 계속 사용한데 반해, 2명의 전문가는 문제에 따라 다른 표상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표상의 형태에 따라 문제해결결과가 달랐다. 즉,일-에너지 표상형태를 사용한 피험자가 더 나은 결과를 얻는것으로 나타났다. 2) 문제해결방안에 있어서는 전문가들은 세문제에 걸쳐 계속하여 지식-개발 방안을 사용하였으나 초보자들은 문제에 따라 다른 방안들을 동원하였다. 지식-개발 방안을 사용한 경우가 다른 것들에 비해 더 나은 결과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사고 수준검사(하위검사 또는 전체)의 접수와 문제해결과정 변인들-특히 내적표상의 형태, 문제해결방안의 종류, 목표확인 그리고 문제 해결력-간에는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그외 속도와 가속도 개념의 혼동, 마찰력 개념의 부정확 등이 공통적으로 범하는 실수였다. 본 연구가 과학교육 실제에 주는 함의로는 내적표상, 문제해결방안의 훈련을 통한 문제해결력의 향상을 들 수 있겠으며 이를 위한 세부연구가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