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제의 진상 파악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문제 직시가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이야기 방식'에 기초한 보고 형태 - (The Effect of Facing What Is True in Counseling - Reporting Style Based on Narrative Methods -)

  • 장성숙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5권4호
    • /
    • pp.529-546
    • /
    • 2009
  • 한국적 상담의 한 모형으로 제안된 현실역동 상담접근의 특성 및 다양한 상담이론이 근거하고 있는 주요 범주를 소개한다. 그리고는 갈등문제를 일으킨 실체에 대한 정확한 이해 즉, 현실역동 상담에서 제 1의 특성으로 삼고 있는 문제의 진상에 대한 파악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질적 연구의 한 방안인 "이야기 방식'으로서 부각시키고자 한다. '이야기 방식'은 상담자의 진술적 보고로서 상담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축어록 방식과 성격을 달리한다. 이야기 방식은 해석학적 모델에 근거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의도한 정보 및 의미 전달에 매우 유용하다. 본 연구에 소개된 사례의 내담자는 가족 간의 불화로 2년 이상 개인상담을 받는 동안 진전을 보이지 않다가 집단상담에 와서 문제의 실체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곧 바로 호전을 보인 사람이다.

  • PDF

친일문제 연구서, 증언집 등 발간. 진정한 광복의 의미 되새겨

  • 박남정
    • 출판저널
    • /
    • 통권219호
    • /
    • pp.2-3
    • /
    • 1997
  • 광복 52돌을 맞았지만 아직도 일제에 의한 강제징용.징병.정신대 피해자들의 진상파악과 보상은 이뤄지지 않았다 최근 친일 문제를 다룬 자료집과 연구서, 일제에 희생당한 위안부들의 철저한 증언집이 나와 끝나지 않은 일제청산의 문제를 환기시키고 있다.

  • PDF

'사악한 퍼소나' 제안을 위한 소비자 간 부정적 상호작용 연구 (A Study of Negative Interaction Between Customers for Proposing 'Evil Persona')

  • 최영채;연명흠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223-238
    • /
    • 2017
  • 최근 관광, 여가산업 등의 발달로 인해 서비스에서 소비자의 집단적 이용 형태가 늘어나고, 소비자 대 소비자 상호작용(Customer-to- customer Interaction)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 환경에서 소비자의 이기적 행동으로 인해 다른 소비자가 서비스 실패를 경험하는 상황을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흔히 '진상 손님'으로 표현되는 이러한 소비자는 낮은 빈도로 발생하지만, 발생함과 동시에 서비스 현장의 많은 소비자에게 부정적 서비스 경험을 전파하는 치명적인 서비스 실패 사례이다. 기존 서비스 디자인 도구들은 이러한 사례를 충분히 조명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발전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위의 문제를 고려하여 작성한 '사악한 퍼소나'를 활용하여 프로젝트를 수행한 경험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퍼소나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문헌조사와 일련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소비자 간 부정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환경 요인을 파악할 수 있었고, 또한 많은 부정적 행동 사례가 수집되어 분류를 통해 서비스 환경 요인에 따른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프로그래밍 언어들 간의 인지적인 거리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Measurement of the Perceived Distances among Programming Languages)

  • 이충권;유상진;진상민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95-104
    • /
    • 2012
  • 컴퓨터관련 교육기관들은 시대의 변천에 따라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들을 교육시켜 왔으나 많은 학생들은 컴퓨터 활용의 측면에서는 능숙하지만 프로그래밍은 배우기 어려운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 프로그래밍에 대한 거부감은 컴퓨터관련 전공에 대한 기피현상으로 이어졌고, 전 세계적으로 프로그래머 인력의 부족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설정이다.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 언어들에 대해서 프로그래머들이 지각하고 있는 언어들 간의 유사성올 조사함으로써 각 언어의 상대적인 위치를 파악하고, 좌표평면 상에 나타내어 각 차원이 의미하는 바를 추정하고 규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