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자 기호

Search Result 11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gABC: A Text Entry Framework using Gamepad (gABC: 게임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Min, Kyung-Ha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7 no.3
    • /
    • pp.67-76
    • /
    • 2007
  • As the performance of game consoles is so highly progressed that services such as internet browsing become available on the consoles, the need for text input schemes on game consoles is rapidly raised. In this paper, we present a text input method of alphabet characters and several symbols using a gamepad, which is a widely used input device for most game consoles. Just like other text input methods using gamepad, our method allows users to enter texts by manipulating the gamepad with a user interfac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nsole. A key idea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user interface that is similar to the $4{\times}3$ keypad on mobile phones. The motivation of this idea is a principle that the experience of using a text input tool can be transferred to another tool that has similar interface. Another motivation is that the keyboard-based interface is too complex to be easily manipulated by simple input from a keypad, which is four orthogonal directions and several fire signals. Since most of keys on keypad of $4{\times}3$ keys are represented by a combination of two orthogonal directions, users feel easier in entering texts using keypad-based interface. We prove this argument in this paper by a user test of ten subjects. After about two experiment sessions, subjects reach 13 WPM in average, which proves that the proposed text input method enables much faster text input than the existing keyboard-based text input methods.

  • PDF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tructure of the Record and the Methods of Content Designation of the MARC (MARC 레코드의 구조(構造)와 내용표지법(內容標識法)에 관한 비교(比較) 및 분석(分析))

  • Oh, Dong-Keun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22 no.2
    • /
    • pp.29-46
    • /
    • 1991
  • This study intends to compare the structure of the record and the methods of content designation of the MARC formats based on UNIMARC, USMARC, KOMARC, CHINESE MARC and JAPAN MARC. The structure of the formats takes the similar form to base on ISO 2709. The methods of content designation of the fixed fields is analyzed into 6 categories. And of the content designators, JAPAN MARC does not use indicator.

  • PDF

Smart Book Finder Based on Indoor Positioning Technology (실내 측위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 북 파인더)

  • Lee, Byeong-gyu;Seo, Hyun-Bin;Chi, Seong-Hwan;Han, So-Jeong;Kim, Joo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308-311
    • /
    • 2019
  • 사람들이 도서관에 비치된 컴퓨터를 통해 원하는 도서가 있는지 검색하는 데에는 시간이 얼마 걸리지 않지만, 그 도서의 위치를 찾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데 그 이유 중 하나는 바로청구 기호이다. 각종 숫자와 문자로 이루어진 청구기호는 이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암호로 보일 뿐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간단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원하는 도서를 쉽게 검색하고 그 위치를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서가에 부착된 LED 를 통해 도서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북 파인더를 구현하였다.

Binary Tree Line Calculator (이진 트리 라인 계산기)

  • Ra, Gyungjun;Lee, Deok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fall
    • /
    • pp.149-151
    • /
    • 2021
  • 최근 Kotlin, Swift 와 같은 목표 기능에대해 최적화된 다양한 고급 컴퓨터 언어들이 출범함에 따라 이에대한 중요도와 이해력이 필요하다. 그에따라 고급 컴퓨터 언어 제작의 프로토타입 제작에 의의를 두고, 전세계 사람들에게 통용되는 사칙연산에 기반한 수학기호 코드 언어를 해석하는 프로그램을 구현한다. 단순한 계산기라기보다는. 수학기호 문자를 컴파일하여 프로세스로 변환하는 컴파일러로 접근하고 특성파악, 구상, 구현 과정을거쳐 본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고급 컴퓨터 언어에 대한 저자의 이해를 서술한다.

  • PDF

A Study of Cutter's Expansive Classification (Cutter의 전개분류법에 대한 연구)

  • Kwak, Chul-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0 no.3
    • /
    • pp.249-265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utter's Expansive Classification. The four elements about classification evaluation were applied to analyze it. Results show that first, from philosophy and religion class to literature class, the order of main classes is logical and evolutionary. Second, the notation is a pure notation including author mark. Third, the classification is expansive from first classification to seventh classification. Science classes were expanded in the second classification comparing to the first classification. From the third classification, all classes were expanded. Fourth, it was applied by the local list to indicate places emphasizing connection of geographical space.

시장측면에서 본 초고속 정보통신망

  • 최수혁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1994.09a
    • /
    • pp.183-198
    • /
    • 1994
  • $\circledcirc$ 초고속정보통신망이란\ulcorner $\square$ 음성, 기호 및 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실어보내는 정보고속도로 $\square$ 기존 통신망으로는 한계에 직면하고 있는 정보전달속도와 영상전송서비스를 강화시키는 새로운 고속화, 대용랑화된 통신망 $\square$ 초고속, 대용량, 쌍방항의 음성, 문자ㆍ도형, 영상을 포함한 복합서비스를 전송하는 모든 유무선망의 집합체 $\square$ 전화, 컴퓨터, TV가 통합된 "완전한 멀티미디어서비스" 개발 및 공급을 촉진하는 새로운 기반구조(중략)

  • PDF

포인트 / XML 기반의 수식 및 표현 및 처리 : MathML

  • Jo, Hyeon-Ju
    • Digital Contents
    • /
    • no.12 s.91
    • /
    • pp.74-79
    • /
    • 2000
  • 데이터베이스에서 기초정보로 포함되는 여러가지 수학 기호와 수식은 일반 문자들과는 다른 독특한 처리 방법을 필요로 한다. 워드프로세서에 포함되어 있는 수식 편집기가 이런 기능을 처리하는 대표적 예인데, 과학기술분야에서는 이전부터 TeX과 Tex의 매크로 패키지인 LaTeX의 규칙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한글의 수식편집기에도 사용되는 eqn, SGML계열의 수식 DTD등 수식표현을 위한 문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과학기술분야의 출판물이나 학술지 제공 서비스는 웹상으로 옮겨가는 추세이며,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간의 데이터 교환 언어로 XML이 부상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Avater Markup Language (아바타 생성 마크업 언어 연구)

  • 염창근;박경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421-424
    • /
    • 2000
  • XML 의 응용 예로 3DML은 VRML의 차기 사양인 X3D 와 비교될만한 언어이다. XML에 기반하여 3차워 공간 데이터를 마치 미로를 만들 듯 기호화 된 문자들로 하나의 평면 (Level)을 구성하면 그에 해당되는 물체들로 이루어 진 가상공간이 만들어진다. 하지만, 고정된 가상공간만을 저작할수 있으며 다중 사용자환경을 지원하지 않는다. 본 논문은 아바타를 통해서 가상공간을 탐험할 수 있도록 XML의 한 응용된 언어로써 AML을 설계하고 인식할수 있는 뷰어를 통해 아바타의 애니메이션을 수행 방법을 기술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Chatting System with Pen Mouse Environment (펜 입력 환경을 위한 채팅 시스템 개발)

  • 서원일;강승일;김기식;이은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532-53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펜 입력기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핸드라이팅 기반의 채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두 사람의 사용자가 참여하는 채팅 세션에서 핸드라이팅 형태의 입력을 그대로 보여주는 편집기 환경을 개발하여 화이트보드 형태의 공동작업 시스템과는 다른 형태의 응용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러한 방식의 편집기는 키보드가 사용되기 어려운 환경이나, 폰트가 지원되지 않는 언어 및 기호의 표현, 그리고 문자 인식이 가능하지 않은 환경에서 문서의 편집을 가능해 PDA와 같은 이동 단말 환경에서 유용한 공동 작업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