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서범주화

Search Result 75,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 Study on Information Resource Evaluation for Text Categorization (문서범주화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정보원 평가에 관한 연구)

  • Chung, Eun-K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4 no.4
    • /
    • pp.305-32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information resources referenced by human indexers during indexing process are effective on Text Categorization. More specifically, information resources from bibliographic information as well as full text information were explored in the context of a typical scientific journal article data set. The experiment results pointed out that information resources such as citation, source title, and titl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full text. Whereas keyword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full text. The findings of this study identify that information resources referenced by human indexers can be considered good candidates for text categorization for automatic subject term assignment.

The Comparison of Neural Network and k-NN Algorithm for News Article Classification (신경망 또는 k-NN에 의한 신문 기사 분류와 그의 성능 비교)

  • 조태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363-365
    • /
    • 1998
  •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이란 텍스트형태의 문서들의 패턴 또는 관계를 추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새로운 정보를 가공하거나 기존의 정보를 변형하는 과정을 말한다. 텍스트 마이닝의 기능에는 문서 범주화(Document Categorization), 문서 군집화(Document Clustering), 그리고 문서 요약(Document Summarization)이 이에 해당된다. 문서 범주화란 문서에게 사전에 정의한 범주를 부여하는 과정을 말하고, 문서 군집화란 문서들을 계층적 구조로 형성하는 과정을 말하고, 문서 요약이란 문서의 전체 내용을 대표할 수 있는 내용의 일부만을 추출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 논문에서는 문서 범주화만을 다룰 것이며 그 대상으로는 신문기사로 설정하였다. 그의 범주는 4가지로 정치, 경제, 스포츠, 그리고 정보통신으로 설정하였다. 문서 범주화는 문서 분류(Document Classification)라고도 하며 문서에 범주를 자동으로 부여하여 기존에 인위적으로 부여함으로써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목적이다. 문서 범주화에 대하여 k-NN(k-Nearest Neighbor)와 신경망을 이용하였으며, 신경망을 이용한 경우가 k-NN을 이용한 경우보다 성능이 우수하였다.

  • PDF

Automatic Text Categorization based on Semi-Supervised Learning (준지도 학습 기반의 자동 문서 범주화)

  • Ko, Young-Joong;Seo, Jung-Yu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5 no.5
    • /
    • pp.325-334
    • /
    • 2008
  • The goal of text categorization is to classify documents into a certain number of pre-defined categories. The previous studies in this area have used a large number of labeled training documents for supervised learning. One problem is that it is difficult to create the labeled training documents. While it is easy to collect the unlabeled documents, it is not so easy to manually categorize them for creating training docum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text categorization method based on semi-supervised learning. The proposed method uses only unlabeled documents and keywords of each category, and it automatically constructs training data from them. Then a text classifier learns with them and classifies text documents. The proposed method shows a similar degree of performance,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supervised teaming methods. Therefore, this method can be used in the areas where low-cost text categorization is needed. It can also be used for creating labeled training documents.

A Categorization Model Based On Information Structure of HTML Documents (구조 정보를 이용한 웹 문서 범주화 모형)

  • 조이영;최상희;정영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0.08a
    • /
    • pp.147-152
    • /
    • 2000
  • 본 연구는 다양한 웹 문서를 효과적으로 범주화 할 수 있는 모형을 구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웹 문서가 가지고 있는 구조 정보인 링크(link)와 문서 단계(level)를 활용하여 문서 유형을 식별한 후, 각 유형별로 범주화 과정을 달리 적용하여 범주화 성능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 PDF

Automatic Text Categorization Using Term Information of Anchor Text (Anchor Text의 단어 정보를 이용한 자동 문서 범주화)

  • Heo, Hee-keun;Han, Gi-deok;Jung, Sung-won;Lim, Sung-shin;Kwon, Hyuk-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665-668
    • /
    • 2004
  • 최근의 웹 문서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 사운드 등 다른 여러 형태로 표현되고 있어서 텍스트의 비중이 낮아지고 있다. 그래서 문서 내에서 일정량 이상의 단어 추출이 어려운 문서들에 대해서 기존의 단어 정보만을 이용한 문서 범주화 방법은 좋은 성능을 기대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논문은 Anchor Text 단어 정보의 자질 적합성 판단에 의한 새로운 자동 문서 범주화 모델을 제안한다. 문서 범주화 모델로는 베이지언 확률 모델을 이용하였으며, 카이제곱 통계량을 사용하여 자질을 선정하였다. 문서 내에서 추출된 단어 자질들이 해당 문서를 판단하는데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문서의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연결된 문서의 단어 자질과 Anchor Text의 단어 자질을 반영함으로써 성능을 향상시킨다.

  • PDF

A Text Categorization Method Improved by Removing Noisy Training Documents (오류 학습 문서 제거를 통한 문서 범주화 기법의 성능 향상)

  • Han, Hyoung-Dong;Ko, Young-Joong;Seo, Jung-Yu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2 no.9
    • /
    • pp.912-919
    • /
    • 2005
  • When we apply binary classification to multi-class classification for text categorization, we use the One-Against-All method generally, However, this One-Against-All method has a problem. That is, documents of a negative set are not labeled by human. Thus, they can include many noisy documents in the training data. In this paper, we propose that the Sliding Window technique and the EM algorithm are applied to binary text classifica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We here improve binary text classification through extracting noise documents from the training data by the Sliding Window technique and re-assigning categories of these documents using the EM algorithm.

Improving performance of Binary Text Classification Using the EM algorithm (EM 알고리즘을 이용한 이진 분류 문서 범주화의 성능 향상)

  • 한형동;고영중;서정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790-792
    • /
    • 2004
  • 문서 범주화에서 이진분류를 다중 분류에 적용할 때, 일반적으로 One-Against-All 방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 One-Against-All 방법은 한가지 문제점을 가진다. 즉, positive 집합의 문서들은 사람이 직접 범주를 할당한 것이지만, negative 집합의 문서들은 사람이 직접 범주를 할당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오류 문서들이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Sliding Window기법과 EM 알고리즘을 이진 분류 기반의 문서 범주화에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먼저 Sliding Window 기법을 이용하여 학습 데이터로부터 오류 문서들을 추출하고 이 문서들을 EM 알고리즘을 사용해서 다시 범주를 할당함으로써 이진 분류 기반의 문서 범주화 기법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 PDF

A Naive Bayes Classifier for Category Disambiguation of Features (자질의 범주 모호성 해소를 위한 Naive Bayes 분류기 설계)

  • 유현숙;정영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364-366
    • /
    • 2001
  • 문서 범주화는 전자 정보환경에서 매우 유용한 정보처리 도구로서, 다양한 문서 범주화 기법 및 성능향상을 위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은 문서 범주화의 대상이 되는 단어 자질 공간의 차원축소 문제에만 집중되었을 뿐, 학습단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다범주 단어 자질의 범주 모호성은 고려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다범주 자질의 범주 모호성을 해소함으로써 문서 범주화의 성능향상을 유도하는 범주 모호성 해소 가중치 W를 제시하고 이를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실험에서는 Naive Bayes 분류기와 가중치 W를 적용한 Naive Bayes-W 분류기를 직접 구축하여 문서 범주화의 성능향상 여부를 비교하는데 사용하였다. 도출된 실험결과를 통해, 가중치 W는 현재의 분류기가 가지고 있는 자질 표현의 범주 모호성이라는 단점을 보완하고 분류기의 성능향상을 유도함으로써 정보검색시스템의 검색효율을 높이는 데 활용될 수 있음일 증명되었다.

  • PDF

Automatic Text Categorization by Term Weighting and Inverted Category Frequency (용어 가중치와 역범주 빈도에 의한 자동문서 범주화)

  • Lee, Kyung-Chan;Kang, Seung-Shi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3.10d
    • /
    • pp.14-17
    • /
    • 2003
  • 문서의 확률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문서를 분류하는 문서 범주화 기법의 대표적인 방법이 나이브 베이지언 확률 모델이다. 이 방법의 기본 형식은 출현 용어의 확률 계산 방법이다. 하지만 실제 문서 범주화 과정에서 출현하지 않는 용어들도 성능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출현 용어들에 대한 빈도 이외의 역범주 빈도나 용어가중치를 적용하여 문서 범주화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나이브 베이지언 확률 모델에 출현 용어와 출현하지 않는 용어들에 대한 smoothing 기법을 적용하여 실험하였다. 성능 평가를 위해 뉴스그룹 문서들을 이용하였으며, 역범주 빈도와 가중치를 적용했을 때 나이브 베이지언 확률 모델에 비해 약 7% 정도 성능 개선 효과가 있었다.

  • PDF

Automatic Document Categorization by the Importance of Features (자질 중요도 계산 기법에 의한 자동문서 범주화)

  • 이경찬;강승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537-539
    • /
    • 2003
  • 문서 범주화를 위해 자질을 선별하는 기법으로는 자질의 출현 빈도에 따라 범주를 대표하는 자질들을 선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출현 빈도에 의한 자질을 선별하는 통계적인 기법은 문서의 내용을 대표하는 용어들의 중요도를 간과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 문서 및 실험 문서에서 자질의 중요도에 의해 범주 대표어를 선별하는 문서 범주화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역범주 빈도 및 카이제곱 통계량에 의해 자질을 선별하는 방법과 비교-실험을 하였다. 문서 범주화 모델로는 나이브 베이지언 확률 모델을 이용하였으며, 성능 평가를 위해서 웹 디렉토리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자질 중요도에 의한 자질 선별 기법은 용어의 출현 빈도 및 카이제곱 통계량에 의해 자질을 선별한 방법보다 더 나은 성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