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맥인식성

Search Result 70, Processing Time 0.207 seconds

A Study on Context Environment and Model State for Robustness Acoustic Models (강건한 음향모델을 위한 모델의 상태와 문맥환경에 관한 연구)

  • 최재영;오세진;황도삼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366-36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강건한 문맥의존 음향모델을 작성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문맥환경과 상태수의 변화에 따른 음향모델의 성능을 고찰하고자 한다. 음성은 시간함수로 표현되며 음절, 단어, 연속음성을 발성할때 자음과 모음에 따라 발성시간에 차이가 있으며 음성인식의 최소 인식단위로 널리 사용되는 음소의 앞과 뒤에 오는 문맥환경에 따라 인식성능에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간의 변화(상태수의 변화)와 상태분할 과정에서 문맥환경의 변화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의 문맥의존 음향모델을 작성하였다. 모델학습은 음소결정트리 기반 SSS 알고리즘(Phonetic Decision Tree-based Successive State Splitting: PDT-555)을 이용하였다 PDT-SSS 알고리즘은 미지의 문맥정보를 해결하기 위해 문맥방향과 시간방향으로 목표 상태수에 도달할 때까지 상태분할을 수행하여 모델을 작성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 강건한 문맥의존 음향모델을 학습하기 위한 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국어공학센터의 452 단어를 대상으로 음소와 단어인식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음성의 시간변이에 따른 모델의 상태수와 각 음소의 문맥환경에 따라 인식성능의 변화를 고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음성인식 시스템의 강건한 문맥의존 음향모델을 작성하는데 유효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 MDA-Based Adaptive Context-Aware Service Using PARLAY X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PARLAY X를 이용하는 MDA기반의 적응성 있는 문맥인식 서비스)

  • Hong Sung June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2C no.3 s.99
    • /
    • pp.457-464
    • /
    • 2005
  • This paper describes an Adaptive Context-aware Service (ACS) using Model Driven Architecture (MDA)-based Service Creation Environment (SCE) on PARLAY X based service delivery platform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It can be expected that both the context-awareness and adaptation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will be deployed. But the existing context-aware middleware lacks in considering adaptation. Therefore,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support the architecture and the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of the network service for both the context-awareness and adaptation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ACS is to provide users with the adaptive network service to the changing context constraints as well as detecting the changing context. For instance, ACS can provide users with QoS in network according to the detected context, after detecting the context such as location and speed. The architecture of ACS is comprised of a Service Creation Environment (SCE), Adaptive Context Broker and PARLAY gateway. SCE is to use Context-based Constraint Language (CCL) for an expression of context-awareness and adaptation. Adaptive Context Broker is to make a role of the broker between SCE and PARLAY G/W. PARLAY G/W is to support API for PARLAY X-based service delivery platform.

Self-adaptation Service with Context-awareness on Active Network for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위한 액티브네트워크상의 문맥인식성을 고려한 자치 적응성 서비스)

  • Hong Sungjune;Han Sunyoung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31 no.6
    • /
    • pp.633-642
    • /
    • 2004
  • A self-adaptation with context-awareness is needed within network to meet costumed services according a user's changing constraints. But the existing network has many difficulty in adding new functions because of slow standardization of network and slow deployment of new services. To solve this problem, an active network can support the suitable environment to add new function such as self- adaptation.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Self Adaptation Service(SAS) using agent-based active network and the constraint-based Service Creation Environment(SCE) to support self-adaptation with context-awareness. SAS provides benefits to support the context-aware service and the fast deployment of new services.

Merging Context Information and Recognition Result for Robust Speech Recognition in Noisy Environments (잡음 환경에서의 강인한 음성인식을 위한 문맥 정보와 음성인식 결과의 융합)

  • Song, Won-Moon;Kim, Eun-Ju;Kim, My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733-735
    • /
    • 2005
  • 최근 음성인식 분야 에서는 잡음 환경에서 좀 더 신뢰도 높은 음성 인식 결과물 얻기 위하여 인식 결과 도출 단계에서 여러 가지 정보를 융합 하는 방법이나 인식결과를 후처리 하여 새로운 결과를 얻어 내는 방법들이 연구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 모바일 기기에서의 음성 인식 환경에서 사용자의 발화 패턴 정보를 가지는 문맥 정보를 활용함으로서 잡음 환경에서의 음성 정보 손실에 따른 인식률 하락을 보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사용자의 기기 사용 로그나 발화 로그 정보로부터 특정 명령어들의 순차적 발화 패턴을 마이닝하여 문맥 정보를 구성한다. 이 후 음성 발화시에 인식기의 최종 인식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진다고 판단될 때 앞서 얻어진 문맥 정보의 신뢰도를 인식기의 각 후보단어들의 인식률과 융합하여 새로운 인식 결과를 도출해 낸다. 이러한 과정에서 인식기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판단하는 기준을 실험을 통하여 결정 하였으며 신뢰성이 기준 이하일 경우의 융합 과정을 위하여 후보 단어 인식률과 문맥정보를 적절히 융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The open API for reconfiguration in 4G network (4G network에서 재구성성을 위한 개방형 API)

  • Hong Sung-June;Lee Young-So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0 no.6 s.38
    • /
    • pp.219-226
    • /
    • 2005
  • This paper describes the open API with integration of semantic web service with PARLAY X based open API in 4G mobile network. It can be expected that the intelligence such as the context-awareness, adaptation and personalization in 4G mobile network will be deployed. But the existing PARLAY based network lacks in considering context-awareness, adaptation and personalization. Therefore,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support the architecture and the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of the network service for the context-awareness, adaptation and Personalization in 4G mobile network The open API is to provide users with the adaptive network service to the changing context constraints as well as detecting the changing context and user's Preference. For instance, the open API can Provide users with QoS in network according to the detected context and user's preference, after detecting the context such as location and speed and user's preference.

  • PDF

A Study on the Korean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using Phonetic Decision Tree-based State Splitting (음소결정트리 상태분할을 이용한 한국어 연속음성인식에 관한 연구)

  • 오세진;황철준;김범국;정호열;정현열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1.06a
    • /
    • pp.277-28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연속음성인식 시스템의 성능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음소결정트리 상태분할과 한국어 음성학적 지식을 이용하여 문맥의존 음향모델의 작성방법을 검토하고. 한국어 연속음성인식에 적용을 소개한다. 음소결정트리 상태분할 알고리즘은 각 노드에서 한국어 음성학적 지식으로 구성된 음소 질의어 집합에 따라 2진 트리로 SSS(Successive State Splitting) 알고리즘에 의해 상태분할 하는 방법으로서 상태분할 후 각 상태를 네트워크로 연결한 구조를 HM-Net(Hidden Markow Network)이라 하며 문맥의존 음향모델로 표현된다. 작성한 문맥의존 음향모델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실의 항공편 예약 문장(YNU200)에 대해 연속음성인식 실험을 수행하였다. 인식실험 결과, 문맥의존 음향모델에 대한 화자독립 연속음성인식률이 기존의 단일 HMM 모델보다 평균적으로 1-pass의 경우 9.9%, 2-pass의 경우 4.1% 향상된 인식률을 보였다. 따라서 문맥의존 음향모델을 작성하는데 음소결정트리 상태분할과 한국어 음성학적 지식이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obust context-dependent acoustic models by considering the state splitting and the time variant of speech (음성의 시간변이와 상태분할을 고려한 강건한 문맥의존 음향모델에 관한 연구)

  • 오세진;김광동;노덕규;정현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229-231
    • /
    • 2003
  • 일반적으로 음성은 시간함수로 표현되며 음성인식에서 표준모델을 모델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음절 단어, 연속음성을 발성할 때 자음과 모음에 따라 발성시간에 차이가 있으며 이를 잘 모델링하는 것 또한 음성인식에서는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건한 음향모델을 학습하기 위해 시간의 변화와 상태분할과정에서의 모델의 변화를 고려하여 다양한 구조의 초기모델을 작성하였다. 각 초기모델에 의한 HM-Net 문맥의존 음향모델은 음소결정트리 기반 SSS 알고리즘(PDT-SSS)을 이용하였다. PDT-SSS 알고리즘은 미지의 문맥정보를 해결하기 위해 문맥방향과 시간방향으로 목표 상태수에 도달할 때까지 상태분할을 수행하여 모델을 작성하는 방법이다. 음성의 시간변이를 고려한 강건한 문맥의존 음향모델을 작성하기 위해 설정한 각 모델의 구조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국어공학센터의 452 단어를 대상으로 음소와 단어인식 실험을 수행한 결과. 음소인식의 경우 상태수 2000개에서 2상태 구조의 모델에 비해 4상태 구조가 약 11.4% 향상된 인식성능과 39.2초의 인식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 또한 단어인식의 경우 상태수 2000개에서 1상태 구조의 모델에 비해 4상태 구조가 약 5% 향상된 인식성능과 4상태 구조에서 한 단어를 인식하는데 평균 0.8초가 소요되었다. 따라서 강건한 문맥의존 음향모델을 작성하기 위해 수행한 초기모델의 구조에 관한 연구가 향후 음성인식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유효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Definition and Evaluation of Korean Phone-Like Units using Hidden Markov Network (HM-Net을 이용한 한국어 유사음소 단위의 재 정의와 평가)

  • Lim Young-Chun;Oh Se-Jin;Jung Ho-Youl;Chung Hyun-Yeol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183-186
    • /
    • 2002
  • 최근 음성인식의 인식 단위로서 문맥의존 음향 모델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는 음소의 음향학적 특징, 즉 선행 및 후행음소에 의한 중심 음소의 변이음 모델이 문맥독립 모델보다 좀 더 정확하게 모델링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강건한 문맥의존 음향 모델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모델 파라미터의 병합(tying)과 미지의 문맥(unseen context)의 처리를 위한 좀더 정교한 해결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점을 고려하여 음향학적 특징과 언어학적 특징을 결합하여 상태 분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SSS(Successive State Splitting) 알고리즘의 문맥 방향 상태 분할에 음소결정트리를 접목한 HM-Net(Hidden Markov Network) 구조 결정법을 도입하였다. 또한 HM-Net은 연속적인 상태 분할에 의해 한국어에서 많이 발생하는 변이음들을 효과적으로 모델링 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실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48 유사음소 단위에서 문맥의존 음향 모델 작성에 불필요한 변이음을 제거하여 39 유사음소 단위를 재 정의하였다. 도입한 방법과 새로 정의한 유사음소 단위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고립 단어, 4연속 숫자음, 연속 음성인식에 대해 인식 실험을 수행한 결과, 모든 실험에서 재 정의한 39 유사음소 단위가 문맥종속형 HM-Net 음향모델을 이용한 한국어 음성인식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연속 음성인식 실험의 경우, 기존의 48 유사음소 단위보다 평균 $15.08\%$의 인식률 향상이 있었다.

  • PDF

Efficient context dependent process modeling using state tying and decision tree-based method (상태 공유와 결정트리 방법을 이용한 효율적인 문맥 종속 프로세스 모델링)

  • Ahn, Chan-Shik;Oh, Sang-Yeob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3 no.3
    • /
    • pp.369-377
    • /
    • 2010
  • In vocabulary recognition systems based on HMM(Hidden Markov Model)s, training process unseen model bring on show a low recognition rate. If recognition vocabulary modify and make an addition then recreated modeling of executed database collected and training sequence on account of bring on additional expenses and take more time. This study suggest efficient context dependent process modeling method using decision tree-based state tying. On study suggest method is reduce recreated of model and it's offered that robustness and accuracy of context dependent acoustic modeling. Also reduce amount of model and offered training process unseen model as concerns context dependent a likely phoneme model has been used unseen model solve the matter. System performance as a result of represent vocabulary dependence recognition rate of 98.01%, vocabulary independence recognition rate of 97.38%.

Performance Improvement of Speech Recognition Using Context and Usage Pattern Information (문맥 및 사용 패턴 정보를 이용한 음성인식의 성능 개선)

  • Song, Won-Moon;Kim, Myung-Won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3B no.5 s.108
    • /
    • pp.553-560
    • /
    • 2006
  • Speech recognition has recently been investigated to produce more reliable recognition results in a noisy environment, by integrating diverse sources of information into the result derivation-level or producing new results through post-processing the prior recognition resul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which uses the user's usage patterns and the context information in speech command recognition for personal mobile devices to improve the recognition accuracy in a noisy environment. Sequential usage (or speech) patterns prior to the current command spoken are used to adjust the base recognition results. For the context information, we use the relevance between the current function of the device in use and the spoken command. Our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achieves about 50% of error correction rate over the base recognition system. It demonstrates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