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무접합

Search Result 122,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Soft tissue responses to differential shapes of the implant abutment (임플란트 지대주 모양에 따른 주위 연조직 반응에 관한 연구)

  • Ahn, Soo-Yong;Han, Chong-Hyun;Heo, Seong-Joo;Kim, Tae-Il;Seol, Yang-Jo;Lee, Yong-Moo;Ku, Young;Lee, Hae-Jun;Chung, Chong-Pyoung;Han, Soo-Boo;Rhyu, In-Chul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6 no.1
    • /
    • pp.167-177
    • /
    • 2006
  • 연구배경 임플란트에 관한 전통적인 연구들은 주로 임플란트 매식체와 골조직간의 결합에 중점을 두어왔다. 최근 임플란트의 심미적 관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임플란트 주위 연조직의 재건 및 유지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번 연구는 임플란트 주위 연조직이 임플란트 지대주의 모양에 따라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재료 2 마리의 성견을 대상으로, 먼저 하악의 모든 소구치를 발치하고, 3개월의 치유 기간 후에 각 4분악에 실험에 사용된 3개의 다른 모양의 지대주를 가진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1) 위로 벌어진 모양의 지대주 (2) 안쪽으로 오목하게 좁아진 지대주 (3) 평행한 모양의 지대주. 식립 순서는 무작위로 하였으며, 3개월 후 실험동물을 희생하고 조직 표본을 얻었다. 조직 표본은 광학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고, 상피, 결합조직, 전체 연조직의 수직적 거리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이번 연구에서 임플란트 주위의 연조직을 측정한 결과, 접합 상피는 1.21 ${\pm}$ 0.47 mm, 결합조직은 1.16 ${\pm}$ 0.39 mm, 전체 연조직 두께는 2.37 ${\pm}$ 0.47 mm로 이전의 연구들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지대주 주위의 연조직 중 결합조직이 많은 부위에서는 여러 주행 방향의 교원 섬유들이 관찰되었다. 그 중에서 결합조직이 차단막으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원형으로 주행하는 교원 섬유들이 모든 지대주 모양에서 관찰되었다. 특히 오목하게 좁아진 모양을 가진 지대주에서는 오목하게 파인 부분으로 많은 원형으로 주행하는 교원 섬유들이 관찰되었다. 오목한 모양의 지대주는 다른 모양의 지대주에 비해서 측면 방향의 연조직 두께가 두꺼웠다. 특히 위로 벌어진 모양의 지대주에 비해서 두꺼운 연조직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내부에 많은 결합조직 교원 섬유들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이번 연구에서 오목한 모양의 지대주가 연조직을 두껍게 유지하고, 많은 원형으로 주행하는 교원 섬유들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오목한 여태의 지대주가 연조직 유지에 더 유리하고, 따라서 심미적인 부위에서 연조직의 퇴축을 예방하는데 더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Development of Vegetable Soybeans Thresher(II) - Threshing and sorting characteristic - (풋콩 탈협기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II) - 탈협 및 선별 특성 -)

  • 김태한;임학규;이정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539-547
    • /
    • 2002
  • 본 연구는 풋콩 탈협기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풋콩 탈협기의 급치를 교환할 수 있고, 급동의 주속도와 송풍팬의 회전속도 및 공기 흡입구의 개구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실험장치를 제작하고, 급치의 종류가 풋콩의 탈협 및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송풍팬의 회전속도와 흡입 공기구의 개구비 변화 따른 선별 성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급치의 종류에 따른 풋콩의 미 탈협율은 철선 급치가 최대 1.6%, 최소 0.0%,평균 0.7%로서 가장 낮게 나타났고, 그 다음이 경도 60의 고무제 급치로서 최대 2.0%, 최소 0.0% 평균 1.1%, 경도 80의 고무제 급치는 최대 2.5%, 최소 0.0% 평균 1.7% 순으로 높아졌다. 또한 풋콩의 미탈협율은 급동 원주속도가 18m/s에서 55m/s로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이는 급동의 원주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급치의 선단이 풋콩 꼬투리에 가하는 타격력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2. 급치의 종류에 따른 풋콩의 손상율은 경도 80의 고무제 급치는 최대 5.2%, 최소 1.3%, 평균 2.8%로서 가장 낮게 나타났고, 그 다음이 경도 60의 고무제 급치로서 최대 5.7%, 최소 2.4% 평균 3.8%, 철선 급치는 최대 6.3%, 최소 2.6% 평균 4.2% 순으로 높아졌다. 또한 풋콩의 손상율은 급동 원주속도가 증가할수록 풋콩 꼬투리의 손상율은 증가하였다. 이 또한 급등의 원주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급치의 선단이 풋콩 꼬투리에 가하는 타격력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3. 공기흡입구의 개구면적을 증가시킬수록 선별율은 높게 나타났으나 개구비가 60%이상에서는 선별율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송풍팬의 원주속도를 높일수록 선별율은 높게 나타났다.도 콤바인이 직선구간 및 선회구간을 주행하며 수확작업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곡선구간에서는 최대오차가 65.5 cm로 매우 크게 나타나, 콤바인을 무인 자율주행으로 수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포장은 이론적인 완전한 직선보다는 작은 굴곡이 있는 곡선의 형태가 이루어져 있으므로 주행 오차를 감소하기 위해서는 기계시각을 이용하면 보다 정밀한 조향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포장에서 DGPS 신호,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한 콤바인의 무인주행 장치는 무인 수확작업을 위한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일부의 센서의 기능을 개선하면 만족한 성능을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dislocations form local defect arrangements at the grooves permitting the substantial reduction in defect density over the remainder of the interfacial area.한 최대의 감자 재배지역을 형성하였다. 제주도는 산지지형과 따뜻한 기온으로 2기작이 가능하고, 감자가공 공장설립과 교통발달에 따른 육지 시장과의 접근이 용이해졌기 때문에 남한에서 2번째로 큰 감자재배지역이 되었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그람양성균에서 효과적이었으며, 농도별 항균력시험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저해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첨가농도를 달리하여 미생물의 생육도를 측정한 결과, fraction II磎꼭\ulcorner경우 그람양성균에 대해 500 ppm 이상에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min/+}$계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마우스에 AIN-76A 정제사료만을 투여한 대조군은 1.40$\pm$

  • PDF

A case of idiopathic renal hypouricemia (신성 저요산혈증 1례)

  • Han, Moon Hee;Park, Sang Uk;Kim, Deok-Soo;Shim, Jae Won;Shim, Jung Yeon;Jung, Hye Lym;Park, Moon S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50 no.5
    • /
    • pp.489-492
    • /
    • 2007
  • Idiopathic renal hypouricemia is a disorder characterized by impaired urate handling in the renal tubules. This disease usually produces no symptoms, but hematuria, uric acid nephrolithiasis or acute renal failure may develop. A defect in the SLC22A12 gene, which encodes the human urate transporter, is the known major cause of this disorder. We describe a 10-month-old boy with idiopathic renal hypouricemia. He was diagnosed with transient pseudohypoaldosteronism at admission, but hypouricemia was accidentally found through follow-up study. By gene analysis, his diagnosis was confirmed to idiopathic renal hypouricemia. In addition, we report a mutation in the human urate transporter 1 (hURAT1) gene identified in his family.

Effect of Plastic Bagging Cultivation of Summer Squash (Cucurbita moschata) on Improvement of Quality and Extension of Storage Period (플라스틱 봉지재배가 애호박 품질 향상과 저장 연장에 미치는 효과)

  • Park, Kyoung-Sub;Huh, Yun-Chan;Lee, Hye-Eun;Park, Dong-Kum;Kwon, Joon-Kook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9 no.4
    • /
    • pp.372-376
    • /
    • 2010
  • In recent years, the bagging cultivation of summer squash (Cucurbita moschata) is applied for surface protection during harvest and extension of storage period. In this study, the effect of plastic bagging cultivation of summer squash on improvement of quality and extension of storage period was investigated. The yield and the length of fruit didn't have no difference between bagging and control treatment but the bagging treatment significantly made more regular size and light weight of fruits, and increased the number of fruits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their growth. The bagging treatment decreased weight loss and fruit softening during the their storage. Therefore it showed effective means for quality improvement and storage extension of summer squash.

Structural Behavior of Steel Brace Strengthened with Non-welded Buckling Restraint Casing (무용접 좌굴방지재로 보강한 철골 가새의 구조거동)

  • Kim, Sun Hee;Moon, Ji Young;Choi, Sung M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27 no.2
    • /
    • pp.207-217
    • /
    • 2015
  • A concentrically braced steel frame is a very efficient structural system because it requires relatively smaller amount of materials to resist lateral forces. However, primarily developed as a structural system to resist wind loads based on an assumption that the structure behaves elastically, a concentrically braced frame possibly experiences the deterioration in energy dissipation after brace buckling and the brittle failure of braces and connections when earthquake loads cause inelastic behavior. Consequently, plastic deformation is concentrated in the floor where brace buckling occurs first, which can lead to the rupture of the structure. This study suggests reinforcing H-shaped braces with non-welded cold-formed stiffeners to restrain flexure and buckling and resist tensile force and compressive force equally.

표면변형에 따른 실리콘 태양전지의 전력변환효율 변화

  • Lee, Se-Won;O, Si-Deok;Sin, Hyeon-Uk;Jeong, Je-Myeong;Kim, Tae-Hwan;Sin, Jae-Cheol;Kim, Hy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387-387
    • /
    • 2012
  • 결정 Si 및 비정질 Si 태양전지는 환경친화적이며 안정적인 물질로 전력변환 및 에너지 저장 장치에 중요하기 때문에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고효율 Si 태양전지를 제작하여 상용화하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공기와 비교하여 높은 굴절률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반사를 줄이기 위해서 필요한 무반사 코팅층(Anti-reflective coating; ARC)은 주로 SiO2 와 SiNx 와 같은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하지만 이들 ARC 증착은 PECVD와 같은 진공장비를 사용하므로 제작 비용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나노선 또는 나노 팁과 같은 sub-wavelength 구조를 표면에 만들어 반사율을 줄이는 작업을 통해 ARC 공정비용을 감소하고 효율을 증진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CdS 양자점을 태양전지 표면에 형성함으로 ARC로 해결할 수 없는 단파장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줄이는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비정질의 경우 원기둥 형태의 태양전지 형태와 더불어 지름 방향으로의 PN 접합 나노로드 배열을 만들어 흡수면을 증가하여 효율을 증가한 연구도 진행되었다. 태양전지 표면의 형태를 V-groove 형태로 형성하여 입사하는 태양전지의 광밀도를 증가하는 이론적 결과도 발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Si 태양전지의 표면변형에 따른 태양전지의 전력변환효율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태양전지 표면의 texture 지름을 $3{\sim}15{\mu}m$, 간격을 $5{\sim}20{\mu}m$로 변화하고, 태양전지 표면의 나노 패턴을 2~10 nm 로 변화하여 반사율과 전력변환효율을 비교하였다. 나노와 마이크로 패턴은 각각 polystyrene nanosphere 와 photo mask를 이용하여 제작하였으며 PN junction Si 태양전지는 spin on dopant 방식으로 제작하여 성능을 조사하였다.

  • PDF

Differential Display of mRNA in the Preimplantation Mouse Embryos by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역전사 연쇄중합반응에 의한 착상전 생쥐난자에서의 상이한 mRNA의 발현조사에 의한 새로운 유전자의 크로닝법)

  • 김진회;박흠대;이훈택;정길생
    • Korean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
    • v.18 no.3
    • /
    • pp.199-206
    • /
    • 1994
  • We present here a new PCR-based cloning technique that allows the different PCR products during mouse embryogenesis. Recently, mRNA differential display described by Liang & Pardee (Science 257, 1992) and re-confirmed by Zimermann & Schultz (PNAS 91,1994). This method will detect the appropriate changes in the temporal patterns of expression or in the transition from maternal control to zygotic control as well as the functional difference of embryo with polyspermy or monospermy, the difference of expression between successfully hatched blastocyst and blastocyst failed to hatching, response to agents, and cell cycle regulation. By this methods, we have cloned an eDNA, which showed mouse 2 cell specific expression. Genomic DNA digested with EcoRI showed approximately 15 kb and then showed higher expression in fetal liver rather than adult liver. Furthermore, this gene is likely to have 2 mRNA by alternative splicing.

  • PDF

Photogrammetry 기법을 활용한 MSC 설치면의 정밀 측정

  • Woo, Sung-Hyun;Kim, Hong-Bae;Moon, Sang-Mu;Im, Jong-Min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 no.1
    • /
    • pp.126-133
    • /
    • 2004
  • Photogrammetry, as its name implies, is a 3-dimensional coordinate measuring technique that uses photographs as the fundamental medium for metrology. In the last few years the accuracy of photogrammetry has increased dramatically thanks to the rapid advance of digital camera manufacturing technique. This paper discusses photogrammetric measurement of the interface surface of MSC(Multi-Spectral Camera), which is a main payload of KOMPSAT-2. Total 24 paper targets on the objective surfaces and two scale bars calibrated with high accuracy were used for measurement, and multiple images were taken from 11 different camera angles by using a spacecraft rotation dolly. As a result of analysis, 3D coordinates of each targeted point were obtained and the flatness value based on the selected reference plane wa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e pre-determined requirement. The technique acquired by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for the 3D precise measurement of ultra-light weight and inflatable space structures such as a satellite antenna and a solar array.

  • PDF

Implementation of Diplexer using Heterogeneous Dielectric Multilayer Organic Substrate (이종 유전율의 다층 유기물 기판을 이용한 diplexer 구현)

  • Lee, Jae-Yong;Moon, Byung-Moo;Park, Se-Hoon;Yoo, Chan-Sei;Lee, Woo-Sung;Kim, Jun-Chul;Kang, Nam-Kee;Park, Jo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7.06a
    • /
    • pp.36-3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SoP-L(System on Package-Laminates) 기술을 이용하여 이종의 유전율을 가진 유기물 적층 기반의 수동소자를 이용한 GSM/DCS 대역 분리용 diplexer를 설계, 제작하였고 그 특성을 고찰하였다. SoP-L 기술은 LTCC기술과 같은 타 SoP 기술과 비교해서 이종의 물질을 접합하는데 용이하고 공정비용이 저렴하다. 이러한 장점을 이용하여 캐때시터는 유전율 40의 고유전율 재료를 사이에 두고 구성하였고, 인덕터 부문에는 유전율 4률 적용, 정방혈 스파이럴 구조로 두 개 층으로 구성하여 소형화를 이룰 수 있었다. 제작 시에 구리와 유기물을 적층, patterning 하였고, 수직 via hole 을 형성하고 구리의 무전해, 전해 도금 과정을 거쳐 각 소자를 연결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제작된 diplexer의 GSM 저역 통과 필터는 0.52 dB이하의 삽입손실과 20 dB 이상의 반사손실을 가지고 DCS 통과 대역 부근에 notch 가 존재하도록 설계함으로써 DCS 통과 대역에서 17 dB 이상의 저지특성을 나타내었다. DCS 고역 통과 필터는 1.2 dB 이하의 삽입손실과 16 dB 이상의 반사손실을 가지며 GSM 통과 대역 부근에 notch를 가지도록 설계하여 GSM 통과대역에서 32 dB 이상의 저지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Optimization of Optical Coupling Properties of Active-Passive Butt Joint Structure in InP-Based Ridge Waveguide (InP계 리지 도파로 구조에서 활성층-수동층 버트 조인트의 광결합 효율 최적화 연구)

  • Song, Yeon Su;Myeong, Gi-Hwan;Kim, In;Yu, Joon Sang;Ryu, Sang-Wan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 /
    • v.27 no.4
    • /
    • pp.47-54
    • /
    • 2020
  • Integration of active and passive waveguides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photonic integrated circuit and its elements. Butt joint is one of the important technologies to accomplish it with significant advantages. However, it suffers from high optical loss at the butt joint junction and need of accurate process control to align both waveguides. In this study, we used beam propagation method to simulate an integrated device composed of a laser diode and spot size converter (SSC). Two SSCs with different mode properties were combined with laser waveguide and optical coupling efficiency was simulated. The SSC with larger near field mode showed lower coupling efficiency, however its far field pattern was narrower and more symmetric. Tapered passive waveguide was utilized for enhancing the coupling efficiency and tolerance of waveguide offset at the butt joint without degrading the far field pattern. With this technique, high optical coupling efficiency of 89.6% with narrow far field divergence angle of 16°×16° was obta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