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무작위대조시험연구

Search Result 6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The Assessment of Reporting Interventions i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f Acupuncture according to the STRICTA Recommendation (STRICTA 권고안에 따른 침 효과에 대한 무작위 대조군 임상 시험 논문의 개업 보고에 대한 평가)

  • Son, Chi-Hyoung;Cho, Sung-Il;Park, Hi-Joon;Moon, Sung-Il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v.23 no.2
    • /
    • pp.59-67
    • /
    • 2006
  • 목 적 : Pubmed에서 검색된 침의 효과에 대한 무작위 대조군 임상시험논문에서 STRICTA 권고안의 반영률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 방 법 : Pubmed에서 2003 년 7 월 1 일부터 2004 년 6 월 30 일까지 발간된 침 무작위 대조군 임상시험 논문을 검색 한 후 수작업으로 침의 효과에 대해 무작위 대조군 임상시험을 실시한 36 개의 논문을 채택하였다 .대상논문들의 저널, 대상 질병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Jadad scale 접수를 매기고 STRICT A 권고안의 반영률을 ‘STRICTA 접수’를 매겨서 알아보았다. 논문이 SCI, SCIE, 무등재된 저널 중 어디에 실려 있는가에 따라 ANOVA 를 사용하여 Jadad 점 수 및 STRICTA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단순상관 분석을 통해 STIRCT A 점수와 Jadad scale 접수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결 과 : Jadad scale 접수의 평균은 2.6점 이었으며 STRICTA 접수의 평균은 11.0점 이었다. 36편의 침 무작위 임상시험논문에서 다음의 6가지 항목 - 문현적 근거, 자침 깊이, 함께 처치한 내용, 시술자 배경, 참가자의 맹검여부. 대조군 선택을 정당화 할 수 있는 근거-의 기술율은 50% 미만이었다. SCI, SOE, 무둥재된 것에 따라 논문들의 Jadad 접수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STRICTA 점수 평균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STRICTA 점수와 Jadad scale 점수 간에는 아무런 관계가 없었다. 결 론 :36 편의 침 임상시험 논문은 STRICTA 권고안의 많은 부분을 받아들이고 있었으며 STRICTA 권고안을 받아들이는 정도는 Jadad 점수와는상관이 없었다.

  • PDF

Acupuncture, an Adjunct Therapy for Asthma: a Pilot Study Protocol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 (본 임상시험을 대비한 천식 침치료 무작위 대조군 예비 임상시험 프로토콜)

  • Choi, Jun-Yong;Oh, Dal-Seok;Roh, Young-Lae;Jung, Hee-Jae;Jung, Sung-Ki;Choi, Sun-Mi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v.25 no.3
    • /
    • pp.43-51
    • /
    • 2008
  • 배경 : 최근까지 이루어진 천식의 침치료 무작위 대조군 연구들에 의한 결과는 뚜렷한 효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요인의 하나로 적절한 피험자 수를 정하기 위한 예비 임상시험의 부재가 거론되고 있다. 따라서 천식에 대한 침치료의 본 임상시험에 앞서 이의 실행 가능성 및 규모를 예측하는 예비임상시험이 필요한 상황이다. 목적 : 예비임상시험을 통해 서양의학적 치료를 받고 있는 천식환자들에 대한 침치료의 부가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본 임상시험의 실현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함. 방법 : 본 시험은 무작위 단일 맹검 대조군 평행 설계 예비 임상시험이다. 1차 평가변수는 최대 호기량 검사기로 집에서 아침, 저녁으로 매일 측정한 수치로 구해진 최대 호기 유속 일중 변동률의 1주간 평균치 변화이며 2차 평가변수는 의료기관에서 시행하는 폐기능 검사, 기준시점 호흡곤란 지수, 호흡곤란 변화에 대한 지수, 천식환자들의 삶의 질 평가를 위한 설문 등이다. 피험자 수는 총 45명으로 선정 및 제외기준을 통해서 참여하게 되며 1주간의 최대 호기 유속 기저치 평가 기간을 거친 후 진짜침 처치 군, 가짜침 처치 군, 대기군 세 군에 각각 무작위로 15명씩 할당된다. 모든 피험자에게 기존의 천식관련 약물의 사용을 허용하며, 진짜침 처치군 및 가짜침 처치군은 주 3회 4주간 해당 처치를 받고 2주 후에 각 평가 항목에 대하여 추적, 관찰하게 된다. 대기군은 기존의 천식관리를 유지하면서 2주마다 방문하여 총 6주간 평가를 받고 진짜침 처치를 4주간 받게 된다. 고찰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초로 이루어지는 천식에 대한 침 무작위 대조군 예비 임상시험으로 향후 적절한 피험자 수와 실행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Randomized Controlled Trial for Preventing Stomatitis and Discomfort among Acute Leukemic Patients (급성백혈병 환자를 대상으로 구강함수제별 구내염 및 구강안위감에 대한 무작위대조시험연구)

  • Song, Chi-Eun;So, Hyang-Sook;Ju, Deok;Kim, Eun-Jeong
    • Asian Oncology Nursing
    • /
    • v.11 no.1
    • /
    • pp.33-40
    • /
    • 2011
  •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 of two oral care agents on preventing stomatitis and discomfort for acute leukemic patients. Methods: A total of forty patients was enrolled and randomly assigned to sodium bicarbonate or chlorhexidine group. WHO oral toxicity scale was used for measuring stomatitis and Beck's subjective oral discomfort scale for evaluating oral comfort. Data was collected from August 2009 to February 2010. The data was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and Mann-Whitney test. Results: Data analyzed was thirty five one. The incidence of stomatitis was 47.4%, 68.8% in sodium bicarbonate and chlohexidine group respectively. The onset of stomatitis was about the 10th and 9th day after chemotherapy initiation, and the duration was 8.0 and 8.67 day respectively. The severity of stomatitis was highest on the 21st day after chemotherapy initiation.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status of stomatitis and the levels of oral comfort during treatment periods. Conclusion: Nurses should routinely assess oral cavity and encourage patients to do oral care actively from second to third week after chemotherapy initiation. Also sodium bicarbonate agent can be recommended to for preventing stomatitis.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Intervention Study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Atomento solution & cream' in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 대한 위약 대조 시험법에 의한 'Atomento solution & cream'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단일기관,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위약대조, 비교 임상연구)

  • Hwang, Sun-Bok;Park, Sung-Min;Oh, Min-Jee;Kim, Hee-Taek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and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 /
    • v.22 no.2
    • /
    • pp.223-237
    • /
    • 2009
  • 본 임상연구는 임상연구 모집 공고를 통하여 모집된 대상자 중 Atopic Dermatitis Research Group (2005) 한국인 아토피 피부염 진단기준에 따라 아토피 피부염으로 판정되고 현재 약물(한약, 양약)치료나 외용제 치료를 하고 있지 않은 만 5$\sim$50세의 아토피 피부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피험자들을 이중맹검, 블록무작위배정하여 시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6주간의 시험기간 동안 육안적 평가, 혈액학적 검사, 피부측정 장비를 통한 기기적 평가를 시험 전후에 실시하여, 시험군에 사용된 제품이 대조군 사용된 제품에 비하여 얼마나 효과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으로 손상된 피부 장벽을 회복하는지 관찰하였다. 본 임상시험을 통해 'Atomento solution & cream'이 손상된 피부장벽을 회복시키고 피부 보습력을 증가시켜 아토피 피부염에 효과적이었으며, 인체에 이상반응이나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Efficacy and Safety of a Biodegradable Hyaluronic Acid Microneedle Patch for Dry Skin in Atopic Dermatitis : A Single-blinded, Split-bod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아토피피부염 피부건조 증상 개선에 대한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임상연구)

  • Ji-Hoon Song;Gi-Hyun Lee;Min-Yeong Jung;Jung-Hwa Choi;Soo-Yeon Park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and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 /
    • v.36 no.1
    • /
    • pp.78-95
    • /
    • 2023
  • 목적 : 마이크로니들 패치는 피부장벽의 주요 구성성분인 각질층을 관통할 수 있어 일반적인 경피를 통한 약물 전달 수단보다 더 효율적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본 임상연구는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피부 건조 증상에 대하여 용해성 히알루론산 마이크로니들 패치와 외용제를 병행하여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단일 기관, 연구자 주도, 평가자 눈가림, 인체 분할 연구로 설계된 무작위 배정 임상시험으로, 피부건조 증상이 있는 아토피피부염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임상연구를 수행하였다. 한 명의 피험자에서 2곳의 시험 병변을 선택한 후, 무작위 배정으로 각각 시험 병변과 대조 병변을 결정하여 2주 동안 매일 양측 병변에 모두 아로마 크림을 도포한 다음, 시험 병변에만 용해성 히알루론산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추가로 부착하였다. 결과 : 1차 유효성 평가지표인 local scoring atopic dermatitis(L-SCORAD) index는 치료 후에 시험 병변이 대조 병변보다 유의성 있게 호전되었다. 2차 유효성 평가지표 중 피부 건조감 VAS와 피부 수분 함유량도 시험 병변이 대조 병변보다 유의성 있는 개선을 보였다. Investigator's Global Assessment scale, 소양감 VAS, 경피수분손실량에 있어서는 시험 병변과 대조 병변 모두 치료 후에 유의성 있게 호전되었으나, 두 병변 간의 차이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이상 반응은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안전성도 확인되었다. 결론 : 용해성 히알루론산 마이크로니들 패치와 외용제 병행치료는 외용제만 사용하였을 때보다 L-SCORAD index 및 피부 건조감 VAS, 피부 수분 함유량에 있어서 아토피피부염의 증상을 유의성 있게 개선시켰다.

Effect of intravenous ascorbic acid administration on fatigue after laparoscopic myomectomy: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복강경 자궁근종절제술을 받은 여성에서 정맥 내 아스코르브산 투여가 피로에 미치는 영향: 무작위 배정 양측맹검 위약대조 임상시험)

  • Hwang, Woo Yeon;Kim, Kid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2
    • /
    • pp.434-439
    • /
    • 2021
  • We assessed the effects of intravenous (IV) ascorbic acid administration on fatigue in women undergoing laparoscopic myomectomy. We analyzed the secondary endpoint results of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Fifty patients undergoing laparoscopic myomectomy received IV ascorbic acid (2g) or placebo (randomly 1:1 ratio) intravenously during surgery. On day 2 post-surgery, we measured the level of fatigue using the Brief Fatigue Inventory-Korean version. Forty-five women (experimental arm 23, control arm 22) were eligible for analysis after 5 women (experimental arm 2, control arm 3) were excluded due to withdrawal of consent, cancellation of surgery or non-measurement of the endpoints. The baseline and operative characteristics were similar between arms and the global fatigue score of the experimental arm (4.56 ± 2.63)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arm (5.21 ± 2.02, P = 0.351). However, the fatigue score of the experimental arm tended to b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arm in most domains. IV ascorbic acid administration did not significantly reduce the level of fatigue in women undergoing laparoscopic myomectomy as compared to placebo. More research is needed to better understand the effects of ascorbic acid on fatigue in surgical patients.

Effects of Dangui-jakyak-san on Common Carotid Artery Elasticity in Healthy Subjects ; A Randomized controlled crossover study (당귀작약산이 정상인의 총경동맥 탄력도에 미치는 영향 : 무작위대조군 교차시험)

  • Kim, Soohyun;Seo, Yuna;Bae, In-hu;Cho, Ki-Ho;Moon, Sang-Kwan;Jung, Woo-Sang;Kwon, Seungwon;Jin, Chul
    • The Journal of the Society of Stroke on Korean Medicine
    • /
    • v.21 no.1
    • /
    • pp.21-32
    • /
    • 2020
  • ■ Objectives 당귀작약산 단회 복용으로 정상인의 총경동맥 탄력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Methods 본 연구는 정상인 남성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 무작위 대조군 교차시험연구다. 모든 대상자들은 임의로 당귀작약산 복용군과 비복용군인 대조군으로 나누어졌다. 1주일 간격으로 총 2회 방문하며, 첫 번째 방문 시에 당귀작약산 복용군은 당귀작약산 1포(2.5g)과 물을 제공받고, 대조군은 물만 제공받아 복용하였다. 두 번째 방문 시 첫 번째 방문과 반대로 당귀작약산을 복용했던 복용군은 물만 제공받고, 물만 복용했던 피험자들은 당귀작약산 1포와 물을 제공받았다. 물은 100 cc로 매번 동일하게 제공되었다. 모든 대상자들은 복용 직전과 복용 2시간, 4시간 후에 총경동맥 탄력도, 혈압, 총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와 맥박수를 측정하였다. ■ Results 총 20명의 정상인 남성이 모집되었으며, 시간에 따라 당귀작약산 복용 후의 총경동맥 탄력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상승한 것이 확인되었다. 내막-중막 두께, 혈압 및 맥압, 맥박은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 Conclusion 당귀작약산의 단회 복용으로 총경동맥 탄력도가 즉시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로써 당귀작약산이 동맥 경직도 완화 및 탄성의 개선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Herbal Medicine for Liver Cancer: A Protocol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간암에 대한 한약치료: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의 프로토콜)

  • Kwon, Seungwon;Song, Ga Yeon;Yang, Seung-Bo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 /
    • v.43 no.4
    • /
    • pp.559-566
    • /
    • 2022
  • Introduction: The aim of this systematic review is to provide evidence confirming the efficacy and safety of herbal medicines used in the treatment of liver cancer. Methods: The review will include randomized clinical trials that compared herbal medicines used as treatments for liver cancer with other therapies, such as placebos and Western medicine. Only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ill be included in this review, and all types of herbal medicine will be evaluated. Eleven electronic databases will be searched from the inception date: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MEDLINE, EMBASE, AMED, CINAHL, one Chinese database (CNKI), and five Korean databases (OASIS, DBpia, RISS, KISS, and NDSL). The selection of studies, data extraction, and management will be performed independently by four researchers. Methodological quality, including the risk of bias, will be assessed using the Cochrane risk-of-bias assessment tool. Results: The review of current evidence for the effectiveness of herbal medicine for liver cancer will be summarized and quantitatively analyzed. Conclusions: Our systematic review will provide evidence of the efficacy of herbal medicines as treatments for liver cancer. This evidence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practitioners and patients in the fields of oncology and complementary medicine.

Study on the efficiency of relieving hair loss of human body-derived lactobacillus combined cosmetics. (인체 유래 유산균 배합 융합 화장품의 탈모증 완화에 관한 유효성 연구)

  • Min, Kyung-Nam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3 no.5
    • /
    • pp.35-43
    • /
    • 2022
  • It was to test the efficiency of essence containing scalp derived Leuconostoc mesenteroides extract on relieving hair loss and the possibility of the usage as the functional cosmetic's material. 41 subjects were classified as the control and test group and for 24 weeks, from Apr. 15th 2021 to Nov. 4th 2021, they were double blindness, contrast samples, single organs, and randomized human applicating tests were performed. The amount of hair had meaningful change (p<0.001) seen through phototricogram in 8,16,24 weeks each, and could tell the difference by researcher's bare eye after 24 weeks. Since there were meaningful changes (p<0.017) in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subject on after 8,16,24 weeks time, Essence which contains 1% of L. mesenteroides has efficiency on hair loss. Therefore, L. mesenteroides is expected to be used as various cosmetics to prevent hair loss.

Increased cervical lordosis after deep acupuncture in patients with neck pain: nonrandomized clinical control trial (경추통 환자에게 있어서 내경(內徑)의 심자(深刺)방법이 경추 전만의 각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Lee, Seung-deok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1 no.6
    • /
    • pp.195-207
    • /
    • 2004
  • 목적 : 경추통에 대한 침구치료의 효과여부가 현재까지 시행된 무작위 대조군 시험의 검토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데, 경추통에 대한 치료 효과의 검증에 최근 들어 경추 전만각도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 점차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변형된 형태의 경추 견인 등 몇몇 요소들이 경추전만을 변화시켰다는 보고는 있었으나, 침치료 중 深刺의 방법이 경추의 만곡을 변화시켰다는 보고는 없었다. 방법 : 자침의 방법 중 深刻(五刺法 중 合谷刺 또는 關刺)방법이 경추 전만의 변화를 주는가에 대하여 검증하기 위하여 심자 치료를 시행한 19명의 실험군과 치료를 시행하지 않고 단순히 방사선 촬영만 시행한 21명의 대조군의 단순 방사선 사진을 후향적 연구의 방법으로 비교하였으며, 아울러 심자 자침군에서는 VAS를 측정하여 통증의 정도의 변화를 함께 연구하였다. 결과 : 연구결과 자침을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는 VAS와 경추 전만의 Cobb각도에서 유의성 있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심자의 방법으로 자침한 군에서는 치료 전후의 VAS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경추의 전만 각도에서도 경추 2번과 7번 사이의 Cobb의 각도에서 유의성 있는 변화를 나타내었다(p < 0.05). 결론 :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심자의 자침방법이 경주의 통증을 줄여줄 뿐만 아니라 경추의 구조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음을 나타내 주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