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무선 센서 노드

Search Result 1,649,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Energy Efficient Routing Protocol in Wireless Sensor Network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효율적인 라우팅 프로토콜)

  • 손병락;김중규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9 no.2
    • /
    • pp.65-73
    • /
    • 2004
  • By the progress of communication and hardware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organize wireless sensor nodes using the tiny sensor in recently. It is a critical aspect to minimize energy consumption for long-term lively sensor because wireless sensor nodes are associated with the available resources. The wireless sensor network is restricted in communication, exhaustion of power, and computation but it is very similar an Ad-Hoc network. Each sensor node products a few data and application layer of each sensor has slow transmitting feature. Unlike Ad-hoc, which is usually source or sink, base station of the each senor nodes works as sink and the other nodes except sink node works as source. Generally, wireless sensor network keep staying fixed state and observing circumstances continuously after setting up. It doesnt fit for the wireless sensor networks under functioning of existing ad-hoc networks because original Ad-Hoc network routing protocol couldnt operate for wireless sensor network features. This thesis propose the effective routing protocol way in the filed of the expanded routing protocol based on tree with considering on the characteristic of wireless sensor networks pattern.

  • PDF

Performance Evaluation for Telematics Traffic Safety System under Changing Error Rate (에러율 변화에 따른 텔레매틱스 교통안전시스템의 성능 평가)

  • Kim Young-Man;Park Ho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d
    • /
    • pp.160-162
    • /
    • 2006
  • 현재 국내에서는 안전 운전 서비스 및 교통정보 수집체계 구축에 USN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와 시범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텔레매틱스 교통안전시스템[1][2]은 교차로 주변의 도로 위에 무선 센서 노드를 부착하여 무선 센서 노드 위를 지나는 차량들의 정보(속도, 위치, ID 등)를 수신하여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해 교차로 중앙에 위치한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전송하고, 베이스 스테이션은 이렇게 실시간으로 수집한 정보를 분석하여 얻은 차량안전 운전정보를 교차로에 접근하는 차량들에게 브로드캐스팅하여 차량충돌을 회피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텔레매틱스 교통안전시스템은 Telematics Scheduling Protocol(TSP)[1]을 무선 센서 노드간 통신 프로토콜로 사용하는데 무선 센서 네트워크 특성상 온도, 날씨 등의 주변환경에 의해 노드간 통신에 있어서 높은 데이터 전송 에러율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TSP를 사용하는 교통안전시스템에서 무선 데이터 전송 에러율, 교차로를 지나가는 차량의 숫자 그리고 도로 표면에 부착된 고정노드간 거리변화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시뮬레이터 ns-2[3]를 이용해 시뮬레이션한다.

  • PDF

Design of Energy Prediction Model for Solar-Powered Wireless Sensor Nodes (태양 에너지 기반 무선 센서 노드를 위한 에너지 예측 모델의 설계)

  • Nayantai, Bulganbat;Kong, In-Yeu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2.05a
    • /
    • pp.858-861
    • /
    • 2012
  • Distributed sensor nodes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have a problem of difficult and expensive battery change. In this case, renewable energy such as solar energy is helpful. We can use high-quality solar energy everyday. In this paper, we model photovoltaic energy prediction model for sensor nodes, which includes charge and discharge characteristics as well as seasonal and monthly characteristics of the solar energy. Our model is useful to predict energy consumption of solar-powered sensor nodes realistically using real world use data of the nodes.

  • PDF

Optimal Placement of Sensor Nodes with 2.4GHz Wireless Channel Characteristics (2.4GHz 무선 채널 특성을 가진 센서 노드의 최적 배치)

  • Jung, Kyung-Kwon;Eom, Ki-Hwa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44 no.1
    • /
    • pp.41-48
    • /
    • 2007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optimal placement of sensor nodes with 2.4GHz wireless channel characteristics. The proposed method determines optimal transmission range based on log-normal path loss model, and optimal number of sensor nodes calculating the density of sensor nodes. For the lossless data transmission, we search the optimal locations with self-organizing feature maps(SOM) using transmission range, and number of sensor nodes. We demonstrate that optimal transmission range is 20m, and optimal number of sensor nodes is 8. We performed simulations on the searching for optimal locations and confirmed the link condition of sensor nodes.

A Short Path Data Routing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 (단거리 데이터 전달 무선 센서네트워크 라우팅 기법)

  • Ahn, Kwang-Seon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4C no.5
    • /
    • pp.395-402
    • /
    • 2007
  • Wireless sensor networks have many sensor nodes which response sudden events in a sensor fields. Some efficient routing protocol is required in a sensor networks with mobile sink node. A data-path template is offered for the data announcement and data request from source node and sink node respectively. Sensed data are transferred from source node to sink node using short-distance calculation. Typical protocols for the wireless networks with mobile sink are TTDD(Two-Tier Data Dissemination) and CBPER(Cluster-Based Power-Efficient Routing). The porposed SPDR(Short-Path Data Routing) protocol in this paper shows more improved energy efficiencies from the result of simulations than the typical protocols.

Energy-Efficient Optimal Clustering Size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효율적인 최적 클러스터 크기)

  • 박병창;이성렬;송유경;김종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c
    • /
    • pp.16-18
    • /
    • 2004
  •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센서들을 무선으로 연결하여 데이터 교환을 통해 다양한 환경에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도구이다. 센서노드 간의 통신은 센서노드의 제한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도록 만들어져야만 한다. 클러스터링에 기반한 계층적 라우팅 기법은 클러스터 내의 노드들은 클러스터헤드와만 통신을 하게하고 클러스터헤드가 한꺼번에 싱크에게 통합된 정보를 보내게 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는 기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클러스터링 기반의 라우팅에서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싱크와 클러스터헤드 사이의 거리에 따른 최적 클러스터 크기를 계산하고, 원형의 전체 토폴로지에서 계산된 값과 일치됨을 확인해 보았다.

  • PDF

A Environment Data Monitoring System of Exhibition using Sensor Network and Nano-Q+ (센서네트워크와 Nano-Q+를 이용한 전시물 환경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 Kim, Gang-Seok;Huh, Jee-Wan;Song, Wa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867-869
    • /
    • 2007
  • TinyOS기반 무선센서노드를 사용한 실시간 계측 데이터 측정 및 제어기술은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분야에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다양한 응용이나 신뢰성 있는 무선 네트워크 연구 개발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ATMega128L을 장착한 최소 8대 이상의 nano-24 센서 노드모듈과 메모리 용량이 매우 제한적인 무선 센서 노드에 적합하다고 평가받고 있는 Nano-Q+를 사용하여 전시물 주변의 환경 정보를 실시간 측정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전시물 주변의 센서들은 하나의 PAN Coordinator를 중심으로 Start-Mesh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환경 정보를 측정한다. 환경 정보를 전송 하기 위해 측정된 계측 데이터를 센서 네트워크의 PAN Coordinator 노드로부터 환경 모니터링 서버로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TCP기반 전송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실험 결과 센서 노드 수와 관련된 PAN의 크기 및 샘플링 주기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계측 데이터 수신이 이루어짐을 확인 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the Indoor Location Tracking Method Using Accelerometer and Gyroscope Sensor (가속도센서와 각속도센서를 이용한 실내 위치추적 기법 개발)

  • Jo, Kyung-min;Jung, Hwan;Jeong, Do-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05a
    • /
    • pp.345-34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실내에서의 위치추적을 위해 가속도 센서와 각속도 센서를 이용한 위치추적기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실내 위치추적기법은 전파의 세기를 이용하여 위치추적을 수행하는 RSSI기법과 초음파를 이용한 방법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기존 실내위치추적 기법에서는 좌표 값을 알고 있는 고정된 노드를 필수적으로 사용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위하여 착용형 노드에 가속도센서와 각속도 센서를 부착하고 이동속도와 방향을 계측하여 실내에서의 위치추적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축 가속도 센서와 2축의 각속도 센서를 사용하였으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계측 및 무선전송하기 위하여 Zigbee기반의 무선 센서노드를 사용하였다. 무선센서노드로부터 측정된 가속도신호와 각속도 신호의 분석을 통해 실내위치추적 가능성을 평가하였으며, 평가 결과 가속도센서와 각속도 센서를 이용한 실내위치추적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The Study on Underwater Acoustic Sensor Network Architecture (해양 음파 센서 네트워크 구조 연구)

  • Cho Yong-Man;Kim Sang-Kyeong;Kim Cha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d
    • /
    • pp.58-60
    • /
    • 2006
  • 많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해양 환경에서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는 이제 막 초기 단계에 접어들었다. 따라서 아직 모든 것이 해결해야할 과제이며. 최상의 네트워크 구조 및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이 정해져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제안된 해양 무선 네트워크의 구조를 비교 분석하고, 문제점 및 개선사항을 포함한 새로운 센서 네트워크 구조를 제안한다. 그리고 열악한 해양 환경에서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센서, 센서 노드, 싱크 노드, 릴레이 노드, 게이트웨이 노드들의 특징을 기술한다. 특히 기존의 연구와 차별화된 릴레이 노드를 두어서 좀 더 유연하고, 연결성이 높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구조를 제안한다.

  • PDF

Energy-Efficient Gradient Based Rout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에너지 효율적인 그라디언트 기반 라우팅 기법)

  • Yoon, Sung-Ro;Kim, Chong-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d
    • /
    • pp.320-323
    • /
    • 2006
  •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센서 노드들은 한번 배치되면 다시 회수되지 않으며, 외부 전원의 공급 없이 배터리만을 사용하여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각 센서 노드는 매우 제한된 자원을 사용하여 환경을 감지하거나 주변 노드들과 통신을 해야 한다. 결국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센서 노드가 소모하는 에너지를 최대한 절약하여 네트워크의 수명을 늘리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효율적인 그라디언트 기반의 라우팅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패킷 발생 및 전달 횟수를 새로운 메트릭으로 사용하여 주변 노드의 에너지 사용량을 추정한다. 이를 통하여 에너지 소모가 특정 노드에게 집중되지 않도록 기존의 그라디언트 라우팅을 개선하였으며, 패킷 듣기(Packet Overhearing) 방식을 통하여 별도로 메시지를 주고받는 일 없이 메트릭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