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무선 센서 내트워크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2 seconds

MCUP: Multi-level Code Updata Protocol for Resource-constrained (MCUP: 자원 제약하의 센서 노드를 위한 다중 수준 코드 갱신 기법)

  • Yi, Sang-Ho;Min, Hong;Kim, Seok-Hyun;Cho, Yoo-Kun;Hong, Ji-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b
    • /
    • pp.435-440
    • /
    • 2007
  • Wireless sensor networks are sensing, computing,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s that allow us to sense events in the harsh environment. The networks consist of many deployed sensor nodes. Each sensor node senses and transmits the sensed data to the administrator or base station of the networks. The sensor nodes are generally remotely-deployed, and therefore, software update must be done at run-time via communication channel. The software code update protocol should be energy-efficient to maximize lifetime of the sensor nodes. In this paper, we present a MCUP, which is a multi-level code update protocol for resource-constrained sensor nodes. MCUP enables energy-efficient code update by supporting multi-level code management. Ou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MCUP can reduce energy consumption compared with the existing one-level code update schemes.

  • PDF

A Design Sensor Network using CoAP Group Communication in Building (CoAP 그룹기술을 이용한 빌딩 내 센서네트워크 설계)

  • Park, Young-Ki;Kim, Young-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b
    • /
    • pp.1-3
    • /
    • 2012
  • 최근 들어 빌딩에 대해 단순이 이용 가능한 공간이 아닌 IP기반의 센서를 이용한 빌딩 자동화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IP 기반의 센서는 기존의 빌딩 내 IT 인프라에 쉽게 적용 가능 하며, 무선기술을 이용한 빌딩 내 센서 배치가 용이하다. IP 기반 센서는 6LoWPAN, Zigbee 등이 있으며, IETF의 표준화 기술인 6LoWPAN이 선호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빌딩 내 무선 센서네트워크 설계를 위해 6LoWPAN 응용계층의 CoAP 그룹통신 기술을 이용 하여 빌딩 내트워크 설계 연구를 소개 한다.

인체센서네트워크 동향 및 Nano-WBAN 기술

  • Gwak, Gyeong-Seop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6
    • /
    • pp.40-46
    • /
    • 2013
  • 본고에서는 무선인체센서내트워크의 개념을 정립하고, WBAN (Wireless Body Network)의 표준화 동향, 문제점 그리고 향후 지속 가능한 연구 방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은 인체센서 노드에서 고성능 슈퍼 컴퓨터에 이르는 다양한 범위의 서로 다른 장치를 연결하여 컨텐트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이며 이에 대한 이슈와 연구방향을 진단하였다. 나노기술로 인하여 나노미터 수준의 장치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나노장치 간 정보교환은 의료, 환경 및 군사 분야에서 떠오르는 나노 응용기술로 발전하게 되었다. 나노장치 사이의 정보전송을 전기자기학적(EM) 나노통신 및 분자레벨 나노통신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들의 연구 방향을 통신 이론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