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무선광통신

Search Result 26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LED 조명통신 융합 가시광 무선통신 응용 서비스 모델

  • Kim, Dae-Ho;Im, Sang-Gyu;Gang, Tae-Gy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6 no.5
    • /
    • pp.3-9
    • /
    • 2009
  • 본 고에서는 현재 IEEE 802.15.7 TG VLC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가시광 무선통신의 응용 서비스 모델 중에서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과 통신이 융합된 응용 서비스 모델을 중심으로 알아본다. LED를 이용한 통신 기술은 광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광통신에서 이미 시작된 기술이나 LD를 이용하여 더 우수한 성능을 보이면서 잊혀져가던 기술중하나이다. 이러한 광통신 기술은 LED의 성능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다시금 주목을 받게 되었고, 특히 LED를 이용한 조명기술이 발전하면서 무선통신으로 다시금 주목받고 있는 기술이다. 실내 환경에서 LED 조명 고유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항공기 혹은 병원내에서와 같이 기존의 RF무선통신에 제약을 받는 환경에서도 무선통신이 가능하게 하며, 실내 LED 조명을 이용함으로써 국부지역에 특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 졌다. 따라서 가시광 무선통신은 조명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통신뿐만 아니라 기존의 조명과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 할 수 있는 그린 IT융합 기술이다. 본 고에서는 LED조명의 등장배경,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국부 방송 서비스, 항공기내 무선통신 서비스 등 LED 조명 기술과 통신기술이 융합된 가시광 무선통신의 응용 서비스 모델에 대하여 설명한다.

Nanometer Wav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나노미터파 무선통신 기술)

  • Lee, S.J.;Lim, J.S.;Kwon, O.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7 no.5
    • /
    • pp.18-27
    • /
    • 2012
  • 국내외 에너지 정책에 힘입어 LED 조명 보급이 늘어나면서 관련된 광 무선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적외선 무선통신 포트를 장착한 상용 제품들이 수 년 전부터 공급되었다. 이들이 시장을 주도하지는 못했지만 LED 조명을 이용한 가시광 무선통신은 조명의 커버리지 안에서 안정된 출력과 채널 환경이 매력적이다. 하지만 조명 기능을 우선적으로 유지시켜야 하는 상황에서 광 신호를 다루는 해결책이 충분하지 않아 고속 통신에 제약이 따른다. LED 조명 융합 기술을 무선통신 기술 관점으로 접근하는 새로운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무선통신은 RF 기반의 시스템이 대부분이지만, 무선 패킷 수요 증가를 고려하여 새로운 주파수 자원에 의한 근거리 무선 보조 수단으로 광 무선통신이 제안되고 있다. 이에 관하여 LED 조명과 연계한 광 무선통신 기술의 현황과 전망을 기술하였다.

  • PDF

가시광 파장 대역을 고려한 무선통신 채널 특성 연구

  • Lee, Gwon-Hyeong;Gang, Tae-Gyu;Park, Hyeon-Cheol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6 no.5
    • /
    • pp.23-29
    • /
    • 2009
  • 가시광 무선통신은 차세대 조명으로 주목받고 있는 LED(light emitting diode)조명 기술과 무선통신 기술을 융합한 그린 IT 기술이다. 즉, 실내 가정 또는 사무실 환경에서 조명 고유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여야 한다. 가시광 무선통신은 LED 조명이 있는 곳에서는 항상 통신이 가능하여, 병원이나 항공기내와 같이 기존 무선통신에 제약을 받는 환경에서도 통신이 가능한 기술이다. 또한, 실내 LED 조명을 이용함으로써 국소 지역에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여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가시광 무선통신은 조명산업과의 연계를 통해 통신뿐만 아니라 기존의 조명과,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친환경, 에너지 절감형 반도체 광원을 이용한 LED조명에 대한 실내의 조도 분포와 가시광 무선통신의 채널 연구에 필요한 항목을 제시한다.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Optical Wireless Power Transfer and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 Laser Diode (레이저 기반의 광 무선충전 및 광 무선통신의 동시전송)

  • Shin, Jae-Woo;Yun, Tae-Uk;Kim, Sung-Ma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6 no.4
    • /
    • pp.605-610
    • /
    • 2021
  • Wireless charging method using a laser is considered as the most efficient method at a long distance of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Combining long-range laser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with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will make it possible to use it for a variety of applications. Accordingly, this paper shows the results of research and experiments on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ommunication simultaneously based on a laser. This technique uses a laser as a light source for E/O(: Electric-to-Optical)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for optic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n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optical power transmission using a 100 mW laser transmitter and a solar cells receiver showed a DC-to-DC efficiency of 1.9 %, wireless optical communication showed a transmission speed of up to 90 kbps when the transmission distance is 15 m.

가시광 무선랜 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가시성 확보 방안

  • Kim, U-Chan;Bae, Chi-Seong;Jo, Dong-Ho;Sin, Hong-Seok;Jeong, Dae-Gwang;Lee, Yeong-Mi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6 no.5
    • /
    • pp.36-42
    • /
    • 2009
  • 차세대 조명 기기로 각광 받는 LED의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정보의 가시성, 높은 신호대잡음비, 낮은 설치비용, 기존 조명기기의 활용성, 높은 보안성 등의 특징을 갖는 가시광 무선 통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 RF통신 시스템과는 달리 무선 가시광 통신이 제공할 수 있는 정보의 가시성은 단말이 기지국에 초기 접속하는 경우나 통신 장애에 의해서 사용자가 단말의 전송 신호의 방향을 재설정해야 하는 경우에 신호의 변화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시광 링크의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가시광 무선랜 시스템에서 서비스 받는 사용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확보할 수 있는 무선 자원이 부족하여 정보의 가시성을 제공하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가시광 무선랜 시스템에서 가시성이 확보되어야 하는 경우에 시스템의 성능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가시성을 확보해주는 효율적인 자원할당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서 제안한 방안의 성능을 분석한다.

Underwater Simultaneous Light Information and Power Transmission using a Laser Diode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한 수중 광 정보 및 전력 동시전송)

  • Kim, Sung-Man;Shin, Jae-W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7 no.5
    • /
    • pp.853-858
    • /
    • 2022
  • In this paper, we show a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underwater optical wireless power transfer and underwater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A laser diode is used for electric-to-optic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and a solar cell is used for optic-to-electric conversion at the receiver. We optimized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the best performance. The laser diode is a 100-mW laser diode and showed a conversion efficiency of 18.5%.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a 0.33-% DC-to-DC underwater power transfer efficiency at 5 m and a data rate of 100 kbps at 1 m.

The Convergence Technology of LED Illumination and Visible Light Communications (LED 조명과 가시광 무선통신의 융합 기술 동향 분석)

  • Kang, T.G.;Kim, T.W.;Chung, M.A.;Sohn, S.W.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3 no.5
    • /
    • pp.32-39
    • /
    • 2008
  • 반도체 LED가 조명 인프라를 바꾸는 신성장 기술로 급부상하고 있다. LED는 백열전등에 비하여 전기 절감 효과가 높고, 형광등에 비하여 수은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통신 및 조명 환경 변화에 부응한 기술로서, LED 조명과 동시에 통신을 할 수 있는 가시광 무선통신 융합 기술이 등장하였다. 본 고에서는 조명과 통신의 전혀 다른 산업이 융합된 기술로 탄생하게 된 기술적 배경, 가시광 무선통신의 국내 및 국제 표준동향, LED 조명통신 융합 기술에 의한 융합 서비스를 설명한다. 가시광 무선통신 기술은 눈으로 확인하는 통신, 빛 색에 따른 선별통신, LOS 통신 보안을 보장해주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조명통신 융합에 의해 광 ID, 광센서, 초정밀 실내 측위, M2M 등의 신규 융합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녹색성장 저탄소 가시광 무선통신 국내외 표준 동향 분석

  • Gang, Tae-Gyu;Park, Gwang-Ro;Son, Seung-W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6 no.5
    • /
    • pp.43-49
    • /
    • 2009
  • 본 고에서는 반도체 LED(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가시광 무선통신 기술에 대한 국내외 표준 동향을 기술한다. 가시광 무선통신은 조명 및 통신을 융합함으로써 녹색성장 저탄소의 효과가 있으며, 생활의 불편함이 없이 저탄소를 실현할 수 있다. 저탄소 LED는 조명 인프라를 바꾸는 신성장 기술로 급부상하고 있다. LED는 백열전등에 비하여 전기 절감 효과가 높고, 형광등에 비하여 수은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통신 및 조명 환경 변화에 부응한 기술로서, LED 조명과 동시에 통신을 할 수 있는 가시광 무선통신 융합 기술이 등장하였다. 본 고에서는 조명과 통신의 전혀 다른 산업이 융합된 기술로 탄생하게 된 기술적 배경, 가시광 무선통신의 국내 TTA 표준 및 국제 IEEE 802.1.57 표준 동향 등을 설명한다.

가시광 무선 통신을 이용한 LBS 서비스 및 위치 측정 기술 동향

  • Hwang, Jun-Ho;Kim, Yeong-Seok;Yu, Myeong-Si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8 no.12
    • /
    • pp.61-68
    • /
    • 2011
  • 가시광 무선 통신 기술은 LED의 반도체 특성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고, 빛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PD를 이용하여 광전 변환을 통해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차세대 무선 통신 기술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특히 가시광 무선 통신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응용서비스 분야를 설명하고, 특히 실내/실외 위치 측정 기술의 국내외 연구 동향에 대해 소개한다.

가시광 무선 통신 기반의 응용 서비스 모델 개발 동향

  • Hwang, Jun-Ho;Ryu, Di-Si;Yu, Myeong-Si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1
    • /
    • pp.77-83
    • /
    • 2012
  • 가시광 무선 통신 기술은 발광소자인 LED와 수광 소자를 이용한 차세대 무선 통신 기술로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더욱이 최근들어 연구 초장기의 이론적 연구를 벗어나 실제 상용 모델에 대한 개발 및 구현 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이에 본 보고에서는 가시광 무선 통신 기반의 실내외 응용 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한 최근의 연구 개발 동향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