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명동맥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2초

흉부둔상에 의한 무명동맥 파열 -치험 1례- (Innominate Artery Ruplure Caused by Blunt Chest Trauma -A Case Report)

  • 이건;김용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0호
    • /
    • pp.1028-1031
    • /
    • 1997
  • 무명동맥은 길이가 짧고 흉곽에 의해 잘 보호되기 때문에 흉부둔상에 의한 무명동맥의 손상은 매우 드물다. 본 증례는 흉부둔상을 수상한 37세의 남자에서 발생한 무명동맥 파열로 흉부W와 대동맥 조영술로 진단되었다. 정중흉골절개를 통한 응급 수술을 시행한 바 무명동맥의 근위부에 길이와 폭이 각각 3 cm의 가성동맥류를 형성하고 있었고 혈관 내피의 완전파열을 관찰할 수 있었다 무명동맥의 근위부를 대동맥궁 쪽에서 폐쇄시키고 손상된 부위를 절제한 후 10 m Gore-tex를 이용하여 대동맥-무명동맥 우회술을 실시하였다. 수술후 환자는 20일째에 신경학적 합병증없이 퇴원하였고 양측상지의 혈압도 동일하게 측정되었다.

  • PDF

흉부 둔상으로 인한 무명동맥 손상 -수술치험 1예- (Innominate Artery Injury by Blunt Chest Trauma -A case report -)

  • 홍준화;이철주;최진욱;소동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5호
    • /
    • pp.411-414
    • /
    • 2006
  • 흉부 둔상으로 인한 무명동맥 손상은 드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원에서는 교통사고로 인한 흉부 둔상으로 발생한 40세 남자 환자의 무명동맥 박리 및 가성 동맥류를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으로 진단하여 상행대동맥과 무명동맥 간에 인조혈관 우회로 조성술로 성공적으로 치료하였다. 환자는 술 후 별다른 합병증 없이 1주일만에 퇴원할 수 있었으며 현재 외래 추적 중이다.

흉부 둔상 후에 발생한 무명동맥 파열 (Innominate Artery Rupture after Blunt Chest Trauma)

  • 노동섭;김재범;김형태;윤경찬;최세영;박남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2호
    • /
    • pp.871-873
    • /
    • 2007
  • 무명동맥은 길이가 짧고 가슴 골격에 의해 보호되기 때문에 외상에 의한 무명동맥의 파열은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본 증례는 자동차 사고로 내원한 25세 남자로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및 혈관 조영술로 무명동맥 파열이 진단되어 우측 쇄골하 절개를 동반한 정중 흉골 절개술을 이용하여 응급 수술을 시행하였다. 다른 동반 손상이 많아 인공 심폐기를 사용하지 않고 수술을 하였으며, 손상은 무명동맥의 중위부부터 우측 쇄골하 동맥 및 총경동맥의 기시부까지 약 3 cm 정도로 동맥 내막까지 완전히 찢어져 있었다. 복제정맥을 이용하여 첩포 혈관 성형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환자는 별 다른 이상 없이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기관 무명 동맥루 -1례 보고- (Tracheoinnominate Artery Fistula -A Case Report-)

  • 김맹호;김일현;김광택;김학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5호
    • /
    • pp.536-539
    • /
    • 1998
  • 기관무명동맥루는 기관절개술후 드믈게 발생하는 합병증으로 사망률이 높은 질환이며, 치료는 신속한 외과적 처치가 관건이 된다. 환자는 과거력상 30년전에 폐결핵으로 좌측전폐절제술을 시행받았으며 그 동안 경과 양호하였으나 최근 2개월간 급성호흡부전으로 기관절개술을 시행받고 호전되어 11 mm 실리콘 Montgomery T-tube로 교환 후, 3일째 발생한 기관무명동맥루에 의한 절개창주위의 다량의 출혈과 기도폐쇄에 의한 심정지를 일으켰다. 기관무명동맥루에서 Utley maneuver와 무명동맥을 절단봉합하여 지혈에 성공하였고, 이에 지혈방법, 수술수기에 관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완전순환정지와 심근허혈 없이 시행한 변형 Norwood 술식 - 2 례 보고 - (Modified Norwood Procedure without Circulatory Arrest and Myocardial Ischemia - Report of 2 cases -)

  • 백만종;김웅한;전양빈;김수철;공준혁;류재욱;오삼세;나찬영;김양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7호
    • /
    • pp.547-551
    • /
    • 2001
  • 대동맥궁 재건술시 시행하는 완전순환정지는 술후 신경학적 손상과 관련된다. 저자들은 국소 순환으로 뇌와 심근혈류를 유지하면서 완전순환정지를 시키지 않고 시행한 변형 Norwood술식을 2명에서 시행하였기에 보고한다. 한 명은 체중이 3.1kg인 생후 13일된 여아로서 좌심형성부전증후군의 이형 환자였고 다른 한 명은 생후 38일된 체중 3.4kg의 남아로서 심한 대동맥 발육부전 및 축착증과 좌심실유출로 협착을 동반한 Taussig-Bing 기형이었다. 두 환아 모두 무명동맥에 직접 동맥캐뉼라를 삽관한 다음 저체온 상태에서 무명동맥과 관상동맥 혈류를 유지하면서 Norwood술식을 시행하였으며 두 명 모두 술후 신경학적, 심장 혹은 신기능 합병증은 없었다. 이 방법은 좌심형성부전증후군이나 대동맥 축착증 혹은 단절증과 같은 대동맥궁 기형 환자의 수술시 완전순환정지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허혈성 손상으로부터 뇌와 심장을 보호할 수 있는 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 PDF

외상 후 발생한 지연성 무명동맥류의 수술적 치료 -1예 보고 - (Surgical Treatment of Delayed Traumatic Anuerysm of the Innominate Artery - A case report-)

  • 박훈;금동윤;김형태;구자현;고성민;최세영;박남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2호
    • /
    • pp.162-165
    • /
    • 2006
  • 무명동맥에 단독으로 발생하는 동맥류는 드문 질환으로 외상, 감염 또는 동맥경화증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증례는 36세 남자 환자로 16년 전 교통사고의 병력 이외에는 특이한 과거력이 없었으며 신체검사에서 우연히 우상종격동 종양이 발견되어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컴퓨터단층촬영에서 흉골과 경계가 불분명한 5 cm크기의 진성 무명동맥류를 볼 수 있었으며 동맥류의 내부에는 혈전이 관찰되었다 수술은 중등도 이상의 저체온법을 이용하여 체외순환 하에서 Dacron Y-이식편을 사용하여 상행대동맥과 우측 경동맥 및 쇄골하동맥 사이에 우회도관을 연결하였으며 동맥류는 절제하였다. 환자는 수술 후 특별한 합병증 없이 회복되어 퇴원하였고 현재 추적 관찰 중이다.

침투성 동맥경화성 궤양과 흡사한 급성 A형 대동맥 박리증 -1l례 보고 - (Acute Type A Aortic Dissection Mimicking Penetrating Atherosclerotic Ulcer)

  • 최재성;곽재건;안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호
    • /
    • pp.30-34
    • /
    • 2003
  • 급성 대동맥 박리증과 대동맥 침투성 궤양은 근내혈종과 함께 급성 대동맥 증후군을 구성하는 치명적 질환이나 그 병태생리와 자연경과가 다르고 치료전략이 다를 수 있어 정확한 감별진단을 요한다. 그러나 서로 임상양상이 비슷하고 초음파나 CT, MRI등의 진단방법으로도 명확히 구분이 안되는 경우가 많다. 환자는 약 10년간의 고혈압 병력이 있는 71세 여자로 내원 3일전에 갑자기 시작된 전흉부 통증 및 오심, 구토를 주소로 입원하였다. 전산화 단층촬영상에서 내막박리편은 보이지 않았으며, 상행대동맥 및 무명동맥간, 대동맥궁, 하행 흉부대동맥에 걸친 근내혈종(intramural hematoma)과 양측성 혈흉 및 혈성 심낭삼출 소견이 보였고, 무명 동맥간의 하방 약 1 cm 거리에 상행대동맥의 앞쪽으로 국소적인 궤양소견이 보여 상행대동맥에 생긴 침투성 궤양 및 이로인한 대동맥 파열로 진단하고 응급수술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수술장 소견에서는 무명동맥 기시부 하방 1cm 정도에 약 0.5cm크기로 내막이 찢어져 있었고 외막을 열고 오래된 혈종을 제거하니 거의 폐쇄되어있던 가성내강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내막 파열 부위와 교통하였다. 이처럼 대동맥 박리증이 침투성 궤양과 흡사한 임상양상 및 진단 소견을 보일 수 있음을 경험하였기에 증례로 보고하는 바이다.

Takayasu 동맥염에서 Aorto-bicarotid-biaxillary Bypass -1예 보고 - (Aorto-bicarotid-biaxillary Bypass in Takayasu′s Arteritis -One case report-)

  • 김대현;이인호;윤호철;김수철;김범식;조규석;박주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2호
    • /
    • pp.176-179
    • /
    • 2004
  • 30세 여자 환자가 어지러움증과 심계항진을 주소로 입원하였다. 양측 상지 및 양측 총경동맥에서 맥박이 촉지되지 않았으며, 대동맥 조영술상 무명동맥과 양측 총경동맥이 심하게 좁아져 있었고 양측 쇄골하동맥은 완전 폐쇄되어 있었다. 제Ⅰ형의 Takayasu 동맥염으로 진단하고 뇌 혈류 개선과 양측 상지의 혈류 개선을 위해 수술을 시행하였다. 4개의 서로 다른 절개를 통해 상행 대동맥, 양측 경동맥, 양측 쇄골하동맥, 양측 액와동맥을 노출시키고 인조 혈관을 이용하여 상행 대동맥-양측 총경동맥-양측 액와동맥 간의 우회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어지러움증과 심계항진은 사라졌다.

기관절개술 후 발생한 기관무명동맥루에서 연골막를 포함한 늑연골을 이용한 기관성형술 - 수술치험 1예 - (Tracheoplasty with using the Costal Cartilage, Including the Perichondrium, for Treating a Tracheoinnominate Artery Fistula - Surgical experience of one case -)

  • 조성호;계여곤;김종인;조성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9호
    • /
    • pp.651-654
    • /
    • 2007
  • 기관무명동맥루는 매우 드물지만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질환으로, 장기간의 기관절개술이나 기관내 삽관후 합병증으로 발생한다. 대량 출혈로 인해 기도폐쇄 및 출혈성 쇼크로 생명의 위협이 초래되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즉각적인 치료가 반드시 필요하다. 후두 협착에 대한 수술을 위해 가능한 한 기관의 보존이 필요한 환자에 발생한 기관무명동맥루 환자에서 연골막을 포함한 늑연골을 이용한 기관성형술을 시행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전종격동 기관절개술 이후에 발생한 무명동맥 파열 1예 (Rupture of Innominate Artery After the Anterior Mediastinal Tracheotomy : A Case Report)

  • 김승우;김춘동;김정민;사대진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2-95
    • /
    • 2011
  • The anterior mediastinal tracheotomy(AMT) facilitates resection of stomal recurrence after total laryngectomy and tumors involving the cervicothoracic trachea and esophagus. An 81-year-old-man came to our clinic due to the progressive dyspnea during three months. He received the total laryngectomy five years ago. We diagnosed as Sisson type I stomal recurrence and then performed the wide excision, both selective neck dissection, sternal manubrium resection and AMT. Before surgery, we planned the pectoralis major myocutaneous flap. Unluckily we could not fulfill this procedure because of patient's medical status during anesthesia. The tracheocutaneous fistula was observed in the second postoperative day. He expired due to the huge bleeding from the wound. When AMT is performed, exact manipulation of major vessels and adequate flap are mandatory these elevate the feasibility of AM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