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무동력 자동수문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Development of water supply system for efficient water management (효율적 물관리를 위한 용수공급시스템 개발)

  • Chung, Kwang-Kun;Lee, Kwang-Ya;Kim, Hae-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135-2139
    • /
    • 2007
  • 현재 한국농촌공사에서는 농업용수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물관리자동화사업을 시행하고 약 8만ha를 대상으로 418개의 수리시설을 전동화하였다. 물관리자동화사업에서의 물관리는 공급자 위주로서 이미 결정되어진 물의 양을 시기에 따라 적절하게 공급하여 주며 이를 계측하고 제어하기 위한 시설이다. 그러나 현재 실제로 물관리가 일어나는 곳을 말단포장으로서 급수물꼬의 개폐에 따라 농업용수의 공급과 단절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사실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급수물꼬를 논의 담수심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자동물꼬, 논의 담수심과 수로의 유황상황을 체크하여 정보전달을 수행하는 수로수위측정 및 담수심 측정장치, 상기의 논과 수로의 유황정보에 의하여 논에 물을 공급하는 태양광 전동수문, 수로의 수위증감에 따라서 수로의 수압을 일정하게 형성시켜 용수공급을 원활하게 해주며 또 기존의 제수문과는 다르게 항상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하류방향으로 물을 공급해주는 무동력 자동수문을 개발하여 시스템으로서 구성하여 설치하였다. 현재 담수심 측정 및 수로수위측정장치로부터의 정보전달은 무선으로 하며 이 정보를 기초로 하여 태양광 전동수문의 모터제어부에서 판단을 하여 수문의 개폐를 지시한다. 또한 무동력 자동수문의 경우에는 부력부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어서 주수부를 통하여 수로내 수위와 같은 레벨로 물이 유입되고 이를 플로트가 감지하여 수문비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밸런스 웨이트를 제어하여 수문을 개폐한다. 본 무동력 자동수문은 수위를 유지하는 설정수심을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도록 주수부를 개량하였으며 부력부에 오물유입이 되지 않도록 스크린을 주수부의 물유입장소에 설치하였다. 현재까지 시스템의 작동상황에 대한 성능은 양호하다. 다만 향후의 문제점으로서 시스템이 설치된 지역과 설치되지 않은 지역과의 용수사용량을 비교분석하는 작업으로 본 시스템의 경제적 효과 및 효율성을 증명할 필요가 있으며 본 시스템의 실용화시 시스템 사용방안에 대해서는 대규모 평야부와 저수지 지구의 물공급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감안한 시스템 구성을 할필요가 있다.

  • PDF

Development of Water Supply System by Water Demand (물수요중심 용수공급 시스템 개발)

  • Chung, Kwang Kun;Chun, Man B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794-798
    • /
    • 2004
  • 현재의 물공급중심의 물관리에서 물수요중심의 물관리로의 전환을 위하여 수로에 설치되는 수문의 기능을 고려하여 새로운 수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수문의 역할로서 자동으로 수로 내 수위를 유지하는 무동력 자동 재수문과 태양광을 이용하여 수문개폐를 행하는 태양광 전동 수문, 논의 급수를 포장의 담수위 현황에 따라 자동으로 행하는 자동물꼬등이 포함되어 있다. 무동력 및 태양광으로 운영되는 수문의 개발에 따라 부족한 농촌인력과 고령화에 따른 유지관리인력의 절감과 자동물꼬에 의한 급수에 따라 농업용수절감이 기대되며 말단포장이 중심이 된 효율적인 물수요중심의 물공급 체계가 확립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Eco-Friendly Self-Controlled Gate (친환경성을 고려한 무동력 자동수문 개발)

  • Chung, Kwang-Kun;Lee, Kwang-Ya;Kim, Hae-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546-551
    • /
    • 2006
  • It considered the population decrease and becoming older in age of the Rural area and operates by unmaned-non power which self-controlled gate developed. The operational principal used a buoyancy and when water level in the canal arrived to the set water level, in order for gate to be opened. The plate in order to fix to the shape in the canal which begs, it did in the quadrilateral and the rainfall it is sour intensively, canal bank comfort plate in order to ascend completely, it designed. The result which establishes Self-controlled gate, the gate upstream 1km until degree there was water level synergistic effect. It developed 4 as the research project and it established in Ah San city, and it establishes the Self-controlled gate of $B3.2m{\times}H2.4m$ size in Damyang and 100ha it does water supply in the rice field.

  • PDF

Development of Self-controlled gate (무동력 자동 수문 개발)

  • Chung, Kwang-Kun;Chun, Man-B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2.10a
    • /
    • pp.57-60
    • /
    • 2002
  • Developed power off automatic stanch that keep floodgate upper stream water level changelessly for curtailment of operation by manpower and electricity lead-in equal early investment expense that manual system floodgate and electric motion floodgate have. Human strength does not need in floodgate operation as that power off automatic floodgate open and close floodgate automatically by buoyancy and also, another thing power does not need. Before establish floodgate, effect that get to waterway when behaves repair calculation of correct waterway and decide size of floodgate accordingly and establish floodgate must do examination analysis fussily. power off automatic floodgate night soil that get between countermeasure is the urgentest low-down in reply because can do mistake in operation by phenomenon and so on about water resources by different plate shape change through a model experiment examine closely need to.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