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늬수중다리좀벌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무늬수중다리좀벌 Brachymeria lasus (Walker) (벌목:수중다리좀벌과)의 숙주식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Host Discrimination by Brachymeria lasus (Walker) (Hymenoptera: Chalcididae))

  • 이해풍;이장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33-240
    • /
    • 1991
  • 숙주인 미국횐불나방 번데기의 기생여부와 밀도에 따른 무늬수중다리좀벌의 숙주식별행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페트리 접시(1.5$\times$9 cm)내에서 무늬수중다리좀벌의 숙주 번데기에 기생 시켰다. 무늬수중다리좀절의 중복산란률은 낮은 숙주 밀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무늬수중다리좀벌은 숙주에 산란여부를 촉각탐색과 산란관탐침에 의하여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촉각탐색에 의해서 인식되는 물질은 기생벌이 숙주에 산란할 때 숙주표면에 표지되는 물질로써 일정시간 후에는 소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무늬수중다리좀벌은 산란관 탐침으로 기생된 숙주의 내부변화를 식별하여 산란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무늬수중다리좀벌(Brachymeda lasus Walker)에 의해 기생된 꿀벌부채명나방(Gallena mellonella L.) 번데기의 혈림프 대사물질에서 단백질, 탄수화물, 유리아미노산의 변화 (Changes in the Haemolymph Metabolites, Protein, Carbohy-drate, and Free Amino Acid of Gallena mellonella L. Parasi-tized by the Pupal Parasitoid, Brachymeda lasus Walker)

  • 이해풍;고태용;이경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66-174
    • /
    • 1990
  • 꿀벌부채명나방이 무늬수종다리좀벌에 의해 기생 되었을때 이 기주의 혈림프에서 대사물질의 변화가 생겼다. 이 기새벌에 의해 기생된 기주와 기생되지않은 기주의 혈림프에서 총단백질과 총탄수화물의 농도를 비교하여보면, 기생된 기주에서 전체적으로 뚜렷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그러나, 총유리아미노산은 기생된 후 첫날을 제외하고 기생된 기주에서 전체적으로 뚜렷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유리아미노산 중에서 glycine, proline, arginine, isoleucine, phenylalanie, leucine,valine, glutamk acid,histidine, serine, tyrosine은 뚜렷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threonine, aspartic acid, methionine, cysteine, alanine,lysine는 약간의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저독성약제(低毒性藥劑)를 이용(利用)한 미국흰불나방의 항공방제효과(航空防除效果) (Aerial Application Tests with Some Low toxicity Insecticides Against the Fall Webworm, Hyphantria cunea Drury (Lepidoptera: Arctiidae))

  • 정상배;고제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08-113
    • /
    • 1985
  • 생물농약(生物農藥)인 Thuricide(Bacillus thuringiensis)와 저독성약제(低毒性藥劑)인 Dimilin 및 Alsystin 등(等) 3종(種)의 저독성약제(低毒性藥劑)에 의(依)한 미국흰불나방(fall webworm) 유충에 대(對)한 항공살포효과시험(航空撒布效果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Dimilin 25% wp, Thuricide wp, Alsystin 25% wp 등(等) 공시약제(供試藥劑)들은 평균(平均) 93.9${\sim}$97%의 높은 살충효과(殺?效果)가 있었다. 2) Thuricide 30배(培) 및 45배액(培液)의 미국흰불나방유충(幼?)에 대(對)한 구제효과(驅除效果)는 각각(各各) 92%와 96%로서 Diplox(trichlorfon)제(劑)와 비등(比等)하였다. 3) Dimilin 25% 및 Alsystin 25% wp의 구제효과(驅除效果)는 98% 이상(以上)으로서 미국흰불나방유충(幼?)에 특효(特效)하였다. 4) 약제처리후(藥劑處理後) 조사(調査)된 기생성천적류(寄生性天敵類)(parasites)는 무늬수중다리좀벌(Brachymeria lasus Walker) 외(外) 4종(種)이었으며 개체수(個體數)는 Thuricide 처리구(處理區)에서 가장 많았다. 5) 공시약제(供試藥劑)들에 대(對)한 경제성(經濟性)(약제화(藥劑化))은 Diplox 제(劑), Dimilin 제(劑), Thuricide의 순(順)이었으며 특(特)히 Thuricide는 Diplox 제(劑)의 약(約) 5배(倍)로서 극(極)히 낮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