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게증가량

검색결과 750건 처리시간 0.026초

고추씨 중 농약 잔류와 고추씨 기름으로 농약의 이행 (Pesticide residues in chili pepper seeds and their transfer into the seed oil)

  • 이미경;김종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17-322
    • /
    • 2016
  • 노지재배 고추(chili pepper)에 difenoconazole, lambda-cyhalothrin 및 lufenuron 세 성분 혼합 농약을 안전사용기준 보다 5배 높은 농도로 살포한 후 수확기에 홍고추를 수확했다. 수확한 고추를 수세 및 건조한 후 고추씨로부터 기름을 추출하고 이들 각 시료에 대해 농약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확한 생 홍고추에 difenoconazole, lambda-cyhalothrin 및 lufenuron 성분이 각각 4.43, 0.334, 1.56 mg/kg으로 잔류했으며 수세에 의해 각각 91.4, 94.3, 85.3% 수준으로 잔류농도가 낮아졌다. 건조에 따른 difenoconazole, lambda-cyhalothrin 및 lufenuron 성분 각각의 농약 가공계수는 5.01, 4.94, 4.19로서 고추 건조에 따른 무게 증가 비율 4.6배를 잘 반영했고 건조과정 중 농약성분의 소실이 전혀 일어나지 않았음을 나타냈다. 고추씨에서는 difenoconazole과 lambda-cyhalothrin은 정량한계 이하(<0.005 mg/kg) 그리고 lufenuron은 두 시료에서 정량한계 이하(<0.005 mg/kg), 한 시료에서 0.0075 mg/kg으로 검출되어 고추 과피에 잔류하는 농약이 고추씨까지 이행되는 양은 거의 무시되는 수준임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고추씨 기름에서 difenoconazole과 lufenuron이 각각 0.0263, 0.0295 mg/kg으로 검출되어 고추씨 기름에서의 농약 농축계수가 difenoconazole 5.26, lufenuron 4.72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용성이 강한 농약성분의 유지에 대한 이론적 농축계수 6.8배를 잘 설명해준다. 정제과정 없이 압착 방식에 의해 추출되는 고추씨와 같은 식용유지에서 농약성분이 검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앞으로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폴리에틸렌/육티탄산칼륨 휘스커 복합재료에 의한 축전지격리막의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Battery Separator for Polyethylene/Potassium Hexatitanate Whisker)

  • 이완진;고만석;최병렬;조일훈
    • 공업화학
    • /
    • 제9권2호
    • /
    • pp.193-199
    • /
    • 1998
  • 초고분자량폴리에틸렌(UHMWPE),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process oil(mineral oil) 및 육티탄산칼륨 섬유로 구성되는 입자혼합물을 $150^{\circ}C$에서 30분 동안 용융 혼합하고, 동일온도 및 5000 psi 조건으로 압축성형을 하여 $200{\mu}m$ 두께의 격리막 시험편을 제조한 후, process oil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PE층 사이에 미세공을 형성시켰다. 본 실험에서 시험편은 고분자와 process oil의 비율(PR)이 0.1 이하에서는 고무상이 되고 0.5 이상에서는 gel상으로 변하기 때문에, PR의 범위를 0.1-0.5 사이로 하였다. 시험편은 비극성 유기용매로 추출한 경우 거의 98%의 process oil이 추출되었으며, PR이 증가함에 따라 무게감소율은 감소하였다. 인장강도는 PR이 0.426인 경우 $31kg/cm^2$을 보였으며, 전해전기저항 값은 PR이 0.186 및 0.426에서 $37m{\Omega}/cm^2$$53m{\Omega}/cm^2$이었다. 질소 흡-탈착법에 의한 등온선은 모세관 응축영역을 나타내는 hysteresis를 가졌으며, PR=0.186인 경우 $130m^2/g$의 비교적 큰 표면적을 나타내었다. 이는 SEM의 분석 결과와 마찬가지로 PE배향층 사이에 육티탄산칼륨 섬유가 무작위로 잘 분산되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며, host인 PE층 사이에 guest인 육티탄산칼륨 섬유가 층간되어 층상공을 형성한다고 추론할 수 있다.

  • PDF

미생물을 이용한 액상소멸방식의 음식물쓰레기 처리 (Slurry Phase Decomposition of Food Waste by Using Various Microorganisms)

  • 권범근;나숙현;임혜정;임채승;정선용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03-310
    • /
    • 2014
  • 이 연구는 발생원내에서 다양한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액상소멸하는 감량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험에 사용된 반응기는 미생물이 담지된 목질재료의 woodchip과 스폰지가 함께 사용되었고, 일정한 주기로 음식물쓰레기가 섞이게 하는 교반장치로 구성되었다. 실험기간 100일 동안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변화는 누적된 총 음식물쓰레기량 대비하여 약 99%까지 감소하였다. 잔류된 약 1%는 음식물쓰레기내에 내재된 생물유래의 난분해성 물질(cellulose, hemicellulose, lignin 등)이 축적된 결과로 생각된다. 실험기간 동안 발생된 폐수의 성상 변화로 pH는 실험 초기 약 3.3에서 24시간 후에 약 5.8로 점차 증가한 반면, 염분, COD, BOD, SS, T-N 및 T-P의 농도는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물쓰레기의 소멸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7종의 다양한 미생물들을 동정하였으며, 소멸반응 초기의 미생물 개체수는 약 $3.3{\times}10^4$ cell/mL이었고 15 일 후에는 약 $5.1{\times}10^6$ cell/mL로 대체로 일정한 개체수를 유지하여 소멸반응이 안정화된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들 실험 결과는 음식물쓰레기의 감량화뿐만 아니라,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도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PFC 제염 시 발생된 PFC 폐액의 재사용을 위한 여과장치 개발 및 성능평가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 Filtration Equipment to Reuse PFC Waste Solution Generated on PFC Decontamination)

  • 김계남;정철진;원휘준;최왕규;정종헌;오원진;박진호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61-170
    • /
    • 2006
  • PFC 제염기술은 원자력연구시설 핫셀 내부의 바닥이나 장치표면에 부착된 고방사능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이다. 고가의 PFC 제염용액을 회수 정제후 재사용하고, 2차폐기물발생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여과장치를 개발하였다. PFC 매질 내 현탁성 방사성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오염특성에 적합한 여과장치를 개발하고 입자제거 성능평가시험을 수행하였다. 개발된 PFC 여과장치는 핫셀 내부로 들어갈 수 있게 알맞은 크기와 무게로 제작되었으며 바퀴와 고리를 부착하여 이동이 용이하다. PFC 여과장치의 성능평가결과 모의입자의 농도 증가 시 flux가 감소하였고, Pre-filter($1.4{\mu}m$)와 final-filter($0.2{\mu}m$) 두개를 장착하여 여과시간에 따른 flux의 감소를 개선하였다. 개발된 PFC 여과장치는 분당 약 0.2L의 PFC 폐액을 처리 할 수 있다.

  • PDF

주요 Phytoestrogen들이 제2형 당뇨 마우스의 당질대사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hytoestrogens on Glucose Metabolism in C57BL/KsOlaHsd-db/db Mice)

  • 서보현;김광옥;이지혜;이혜성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4권4호
    • /
    • pp.275-283
    • /
    • 2011
  • 본 실험은 주요 phytoestrogen에 속하는 genistein, coumestrol, enterolactone의 식이보충이 제2형 당뇨동물모델에서 당질대사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C57BL/KsOlaHsd-db/db 마우스를 이용하여 내당능, 당화헤모글로빈 농도, 당대사 관련 효소활성, 조직 중 글리코겐과 최종당화산물 수준 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phytoestrogen의 보충(3.75 mg/100 g diet)이 당뇨동물의 체중변화, 식이 및 수분 섭취량 그리고 장기무게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모든 phytoestrogen의 보충은 당뇨동물의 공복 혈당, 경구 내당능 검사 시 혈당반응곡선 아래면적 및 혈중 HbA1c 수준을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또한 모든 phytoestrogen의 보충은 당뇨동물의 혈장 글루카곤 수준을 유의적으로 낮추었으며, coumestrol과 enterolactone의 보충은 간 조직 중 글리코겐 수준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들은 genistein, coumestrol, enterolactone의 3종 phytoestrogen의 식이보충이 제2형 당뇨동물에서 내당능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였으나 그 기전에 대해서는 향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생체활성 유리 나노입자 첨가량에 따른 치면열구전색제의 물성평가와 세균부착 억제 효과 (Effect of Physical Properties and Bacterial Adherence Inhibition of Pit and Fissure Sealant Containing Bioactive Glass Nano Particles(BGn))

  • 전수경;김동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42-549
    • /
    • 2018
  • 본 연구는 불소 미방출 치면열구전색제 $Concise^{TM}$에 제조한 생체활성 유리 나노입자(bioactive glass nano particles: BGn)를 0.5, 1.0, 2.0 wt%를 첨가하여 새로운 치면열구전색제를 조성하고 세균부착실험을 통한 세균부착 억제 효과와 물성을 평가 하였다. 물흡수도와 용해도는 ISO 4049(2009) 규격에 맞추어 직경 10 mm, 두께 2 mm 시편을 제작하여 무게를 측정하여 산출하였으며 세균부착효과는 S. mutans, S. aureus, E. coli 3개의 균주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물흡수도는 BGn 첨가가 증가할수록 높은 값을 보였으며 용해도는 첨가될수록 낮은 용해도를 보였다(p<0.05). 세균부착실험 결과 대조군 $Concise^{TM}$과 비교하여 BGn을 첨가한 S. mutans 실험군에서 다소 낮은 부착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S. aureus 실험군과 E.coli 실험군에서는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이는 BGn의 세균부착 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이라 사료된다. 향후 BGn 첨가양에 따른 효율성과 폭 넓은 물성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iotite V의 급여가 육계의 성장 능력, 영양소 소화율, 혈청 및 육내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iotite V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s Digestibility and Serum and Meat Cholesterol in Broiler Chickens)

  • 진영걸;김진동;민병준;조진호;김인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33-139
    • /
    • 2006
  • 본 시험은 육계 사료내 Biotite V의 첨가가 육계의 성장 능력, 영양소 소화율, 혈청 및 육내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총 480수의 2 일령된 Arbor Acre Broiler(male) 병아리를 공시하였고 사양시험은 5주간 실시하였다. 시험 설계는 육계 전기 사료로서 1) CON (basal diet), 2) BV200 (basal diet+200 mesh Biotite V 1.5%) 및 3) BV325 (basal diet+325 mesh Biotite V 1.5%) 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처리당 8반복, 반복당 20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개시시부터 1주까지의 증체량에서는 Biotite V를 첨가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P<0.05). 전체 시험기간 동안의 증체율, 사료 섭취량과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Biotite V 를 첨가한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건물과 질소 소화율에서는 처리구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Biotite V 첨가구에서 복강내 지방 무게, 혈청과 육내 콜레스테롤 함량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결론적으로, 육계 사료내 Biotite V의 첨가는 성장율, 영양소 소화율, 혈청 및 육내 콜레스테롤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beta$-Glucan 고함유 식빵의 이화학적.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ilk Bread Substituted with High Amount of $\beta$-Glucan)

  • 양윤형;강은영;김미경;조한영;김미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04-212
    • /
    • 2006
  • $\beta$-glucan 첨가 우유식합의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완성된 우유식빵의 무게는 $\beta$-glucan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높이와 부피는 $\beta$-glucan 20% 첨가시까지 증가하다가 $\beta$-glucan 30%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수분함량은 $\beta$-glucan 첨가군이 높았으며, $\beta$-glucan 20 및 30% 첨가군은 저장 전 기간동안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유지하였다. 기계적 조직감을 TPA로 측정한 결과, 식빵의 경도는 대조군과 $\beta$-glucan 첨가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고 씹힘성과 응집성은 $\beta$-glucan 30%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빵의 색상은 $\beta$-glucan 30% 첨가군을 제외하고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에 있어 차이가 없었다. 전반적인 수용도는 대조군과 $\beta$-glucan 10 및 20% 첨가군이 6.8-6.9점, $\beta$-glucan 30% 첨가군은 3.4점을 받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식빵 제조 시 $\beta$-glucan 첨가량은 20%까지는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동충하초 균사체가 흰쥐의 성장률, 지질대사 및 단백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ycelium of Cordyceps militaris on Growth, Lipid Metabolism and Protein Levels in Male Rats)

  • 고진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85-690
    • /
    • 2002
  • 인공 재배한 동충하초 밀리타리스의 균사체가 성장기 흰쥐의 영양 생리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생후 5주령된 흰쥐를 대상으로 실험군은 대조식이군, 대조식이에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을 각각 2%, 3% 및 4% 첨가한 식이군(균사체군) 등 4군으로 나누고, 각 실험식이로 5주간 사육한 후 여러 영양생리적 지표를 측정하였다. 실험동물의 성장률, 식이효율, 식이섭취량 및 각 장기의 무게는 2%, 3% 및 4% 균사체군은 대조군과 비슷하여 균사체 섭취에 따른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간의 콜레스테롤 및 인지질 농도는 각 수준별 균사체군은 대조군과 비슷하였으나, 간의 총 지질 및 중성지질 농도는 3%와 4% 균사체군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혈청의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인지질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각 수준별 균사체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여 동충하초균사체가 혈청의 지질 농도를 낮추는 효과가 나타났다. 혈청의 HDL-졸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비율은 대조군과 각 수준별 균사체군이 비슷하였다. 혈청의 총 단백질, 알부민, creatinine및 혈색소 농도와 GPT, ${\gamma}$-GTP 및 ALP 등의 효소활성은 각 수준별 균사체군과 대조군이 비슷하여 동충하초 섭취에 따른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혈청의 GOT및 LDH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각 수준별 균사체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혈청의 요소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각 수준별 균사체군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비파잎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쥐에 미치는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Eriobotrya japonica Leaves Extract on Obese Mice Induced by High-Fat Diet)

  • 이소미;박문영;김옥경;이정민;전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8호
    • /
    • pp.1202-1207
    • /
    • 2016
  • 본 연구는 비파잎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쥐에 미치는 항비만 효과를 조사하였다. 8주 동안 고지방식이에 100 mg/kg b.w., 500 mg/kg b.w.의 비파잎 추출물을 보충한 그룹과 고지방식이군만을 제공한 그룹을 비교하였다. 비파잎 추출물은 식이섭취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고지방식이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체중증가를 줄이고 내장지방의 축적을 억제하였다. 또한, 비파잎 추출물을 급여한 군은 고지방식이군과 비교하여 혈중 지질, 간지질의 축적, 혈중 렙틴 농도를 감소시켰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고지방식 이와 함께 급여한 비파잎 추출물은 체중, 간 및 지방조직의 무게 감소와 더불어 혈장 지질 농도를 개선하고 혈장 렙틴농도를 감소시키므로 항비만 효과를 가진 천연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써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