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몸통 근활성도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19초

몸통교정테이핑 융합치료가 뇌졸중환자의 몸통 근활성도 및 안정성, 팔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trunk correction taping on trunk muscle activity and stability,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 박신준;조균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411-419
    • /
    • 2017
  • 본 연구는 어깨뼈 설정 운동과 몸통 교정 테이핑 융합이 뇌졸중 환자의 몸통 근활성도, 몸통 균형 및 팔 기능개선에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환자 20명을 연구군(테이핑+어깨뼈 설정) 10명과 대조군(어깨뼈 설정) 10명으로 나눈 뒤 4주간 주당 30분의 중재를 실시하였다. 연구군은 몸통 교정 테이핑을 적용받았고 동시에 어깨뼈 설정운동을 받았다. 측정은 몸통 근활성도, 몸통손상척도(Korean version Trunk Impairment Scale, K-TIS), 팔 기능검사 (Manual Function Test of upper extremity, MFT)를 실시하였다. 중재 전 후 연구군에서 몸통 근활성도, K-TIS, MFT 점수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P<.05), 대조군 보다 K-TIS와 MFT 점수에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P<.05). 본 연구를 통해 어깨뼈 설정 단일 운동 보다 몸통 교정테이핑 융합 적용이 뇌졸중 환자의 몸통 근활성도, 몸통 균형 및 팔 기능개선에 더욱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 개별 근수축 개시시간(onset time)에 관한 변화를 확인한다면 더욱 임상적 의의가 있겠다.

백팩 착용 유무 및 형태에 따른 건강한 성인의 몸통과 하지의 근 활성도 비교분석의 융합연구 (Convergence of Comparison of Muscle Activities of Healthy Adults' trunk and Lower Extremities according to wearing/not-wearing and forms of backpack)

  • 김경훈;장상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225-23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백팩 착용 유무 및 형태에 따른 몸통 하지 근 활성도 변인들의 차이점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26명의 건강한 성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백팩의 무게 10%로 부하된 상태에서, 백팩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 일반적인 백팩을 착용한 상태, 모멘트 팔을 감소시키도록 고안된 백팩을 착용한 상태에서 몸통과 하지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배빗근육, 넙다리네갈래근, 앞정강근, 장딴지근의 근 활성도 분석을 위해 무선근전도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모멘트 팔을 감소시키도록 고안된 백팩을 착용한 상태에서 배빗근육, 넙다리네갈래근 그리고 장딴지근의 보행 구간에서 RVC에 변화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므로, 백팩을 주로 사용하는 성인들에게 가방끈 조절을 적용하는 방법은 몸통과 다리근육의 활성에 긍정적인 측면을 제공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추후 가방의 디자인과 착용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가방융합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몸통 안정화 방법에 따른 몸통근육의 근활성도 비교 (Comparison of Trunk Stabilization Maneuver on Surface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Trunk Muscle)

  • 김현희;정신호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9-196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ctromyographic (EMG) activity of deep and superficial trunk muscles during trunk stabilization exercises with and without stabilization maneuvers. Methods: The relative muscle activity ratios and local muscle activities of 25 healthy males were measured using the 8 channel surface EMG system (Myosystem 1400A, Noraxon Inc., U.S.A). The surface EMG activities were tested during performing abdominal hollowing maneuver (AHM), abdominal bracing maneuver (ABM) and no stabilization maneuver (NSM) in random order. Data were analyzed using $1{\times}3$ repeated measures ANOVA. Results: During bridging exercises, the EMG activity ratio of transverse abdominis/internal oblique abdominis relative to rectus abdominis was significantly lower in NSM than in AHM and ABM. During bridging and kneeling exercises, the EMG activity ratio of multifidus relative to erector spina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HM than in NSM. Conclusion: The AHM can be clinically used by the physical therapist to activate selectively the trunk muscles when designing selective training programs for patients.

필라테스 동작시 폼롤러의 적용과 움직임에 따른 몸통근과 하지근의 근전도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am Roller Application and Movement on EMG responses of Trunk and Lower Limb muscles in Pilates)

  • 정서현;조상우;정상훈;김기홍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905-913
    • /
    • 2018
  • 본 연구는 필라테스 동작 시 폼롤러의 적용과 움직임에 따른 몸통과 하지의 근활성도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피험자로 남자 8명을 선정하여 필라테스 네발자세, 교각자세, 코어컨트롤 동작을 매트위에서 정적동작, 폼롤러 위에서 정적동작, 폼롤러 위에서 동적동작으로 무선배정하여 1주 간격으로 수행하였다. 각 동작의 수행 시 척추세움근, 배곧은근, 배바깥빗근, 중간볼기근, 넙다리두갈래근과 넙다리곧은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여 일원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유의수준은 ${\alpha}=.05$로 설정하였다. 첫째, 네발기기 동작에서 폼롤러 동적동작에서는 배곧은근, 배바깥빗근, 중간볼기근, 넙다리두갈래근의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p<.001)(p<.05), 폼롤러 정적동작에서는 넙다리곧은근의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p<.001). 둘째, 교각자세 동작에서 폼롤러 동적동작에서는 넙다리두갈래근의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p<.001). 셋째, 코어컨트롤 동작에서 폼롤러 동적 동작에서는 배곧은근, 척추세움근, 중간볼기근의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p<.001)(p<.01), 정적 동작에서는 배바깥빗근의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p<.05). 필라테스 운동시 근활성도를 고려하여 방법과 난이도를 적용하면 더욱더 효과적일 것이라 사료된다.

배드민턴 스트로크 동작에 따른 근활성도 차이 분석 (Analysis of Differences in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Badminton Stroke Movements)

  • 김휘태;김기홍;김병관;정환종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519-524
    • /
    • 2023
  • 이 연구는 경기상황과 유사한 점프 동작이 포함된 배드민턴 기술 동작 시 근육의 활성도의 차이를 조사함으로써 효율적인 기술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성하기 위한 목적이다. 남자 배드민턴 선수 7명을 대상으로 하여 스매시, 드롭, 클리어 기술을 무선배정으로 실시하였으며, 3가지 기술 동작 시행 중 근전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근전도는 RMS로 산출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스매싱 동작의 근활성도는 부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드롭 동작에서 상지 근육 중 PM의 활성도는 BC, ECR보다 낮았으며, FCR의 활성도는 EC보다 낮았다. ECR의 활성도는 PM, FCR보다 높았다. 몸통 근육 중 ES의 활성도는 RF, GM보다 낮았다. 하지 근육 중 RF의 활성도는 ES, BF보다 높았다. 클리어 동작에서 상지 근육 중 TC의 활성도는 FCR보다 높았다. 몸통 근육 중 ES의 활성도는 BF보다 낮았다. 하지 근육 중 RF의 활성도는 BF보다 높았으며, BF의 활성도는 RF, GM보다 낮았다. GM의 활성도는 BF보다 높았다. 배드민턴 기술에 따른 근활성도는 FCR에서 스매시와 드롭 동작이 클리어 동작보다 높았으며, RA에서 클리어가 스매시, 드롭 동작보다 높았다. 종합하면, 배드민턴 경기 중 근육활동은 기술별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노쪽손목굽힘근은 스매시와 드롭, 배곧은근은 클리어 동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허리 골반의 수의적 조절을 병행한 다리 들기가 배근육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eg Raising with Voluntory Lumbo-pelvic Contraction on Abdominal Muscle Activation)

  • 박민철;이상열;장준혁;홍민호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47-151
    • /
    • 2013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허리 골반의 수의적 조절을 동반한 다리 들기 운동이 배 근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엉덩 관절의 벌림 각도에 따라 다리 들기 시 배근육의 활성도를 확인하였다. 연구방법: 20대 정상성인을 대상으로 엉덩 관절 벌림각도($0^{\circ}$, $30^{\circ}$)에서 압력 센서 사용 그룹과 사용하지 않는 그룹으로 나우어 다리 들기를 실시하는 동안 복부 근육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엉덩 관절 벌림 $0^{\circ}$$30^{\circ}$ 모두에서 오른쪽 다리를 들어 올리는 동안 반대측 내복사근과 동측 외복사근에서 수의적 조절을 한 그룹과 하지 않은 그룹 사이에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허리 골반의 수의적 조절을 통한 다리 들기 시 몸통 안정성의 증가를 통하여 안정적인 배 근육 강화 훈련을 수행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요통 환자에게도 안정적인 임상적용이 기대된다.

구급대원의 테이핑 적용이 근력 및 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aping on the muscle strength and flexibity of the paramedic)

  • 김미연;김근희;신동민;조병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년도 제5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5권2호
    • /
    • pp.235-238
    • /
    • 2017
  • 소방 구급 업무는 매년 증가 추세에 있으며, 119 구급대원의 부상은 들것으로 과체중의 환자 이송 및 구출 작업 시 급격한 힘을 사용할 때 나타나며 환자 운반 시 몸통의 비틀림 및 체간의 굽힘 등 부적절한 자세로 인하여 근 골격계 질환 및 부상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미국 응급구조사에서는 47%가 허리 부상의 경험을 말했으며 구급대원들의 요통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적인면의 중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119 구급대원의 근골격 질환자에게 테이핑을 이용하여 실제 작업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환자 이송에 따른 허리 통증 시 통증에 따른 근활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가 실시되었다.

  • PDF

앉은자세에서 실시하는 복부드로우인기법의 효과 (Effect of Abdominal Draw In Maneuver in Sitting Position)

  • 김선칠;김신균;김창숙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07-214
    • /
    • 2017
  • 몸통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하면 허리에 통증이 발생된다. 허리 불안정성을 해소하기 위한 몸통안정화운동 방법 중 하나인 복부드로우인기법(ADIM)은 복부안정화근육 중 선행적자세조절과 관련된 배가로근에 대한 선택적인 수축을 유도하는 운동법이다. ADIM은 일반적으로 바로누운자세에서 허리 밑에 압력생체되먹임장치(PBU)을 적용하여 시각적되먹임을 한 상태에서 실시하는데 이러한 자세는 앉은자세에 비해 기능적이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바로누운자세와 앉은자세에서 실시하는 ADIM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31명의 건강한 남녀를 대상으로 무선 근전도를 이용해 배곧은근(RA), 배바깥빗근(EO), 배가로근/배속빗근(TrA/IO), 그리고 척추세움근(ES)에 대한 근활성도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 결과 RA와 EO에서는 두 자세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TrA/IO와 ES에서는 두 자세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 RA에 비해 TrA/IO의 활성도가 높게 나타나 ADIM로 인한 몸통안정화는 두 자세 모두에서 효과적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TrA/IO와 ES는 앉은 자세에서 더 높은 활성도를 보여 자세 안정화 근육의 활성도가 앉은 자세에서 더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일상생활에서 보다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앉은 자세의 ADIM은 허리안정성 향상에 유용할 것이다.

뇌졸중 환자의 과제지향몸통훈련이 몸통 근력과 근활성도,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Task-Oriented Trunk Training on Muscle Strength and Muscle Activity of Trunk, Balance and Gait in Stroke Patients)

  • 오규빈;이효정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03-217
    • /
    • 2020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ask-oriented trunk training can improve muscle strength, muscle activity, balance, and gait in stroke patients. Methods : A total of 27 stroke pati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following two groups: (1) experimental group 1, task-oriented training applied to the proximal part (n=14) and (2) experimental group 2, task-oriented training applied to the distal part (n=13). Thereafter, task-oriented trunk training was accordingly applied in each group for 60 minutes per session, 5 times per week for 6 weeks. Muscle power, muscle activity, balance, and gait were assessed using a digital dynamometer, surface electromyograph, Timed Up and Go (TUG) test, and gait analyzer (G-WALK), respectively, before and after training. Results : Trunk muscle strength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groups after training (p<.05).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Muscle activity in the stance phase during gait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groups after training (p<.05),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Muscle activity in the swing phase during gait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groups after training (p<.05),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e TUG test value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groups after training (p<.05),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Gait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groups after training (p<.05),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ask-oriented training can improve trunk muscle strength, muscle activity, balance, and gait in stroke patients.

동적탄력튜빙 보행훈련 프로그램이 만성 파킨슨병 환자의 자세정렬과 보행능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사례연구 (Effects of Dynamic Tubing Gait Training on Postural Alignment, Gait, and Quality of Life in Chronic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 Case Study)

  • 이동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363-37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만성 파킨슨병 환자의 동적탄력튜빙 보행 훈련 (I, II)이 자세정렬, 보행,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총 3명의 만성 파킨슨병 환자를 모집하여 사례 연구를 시행하였다(Hoehn 및 Yahr 1-3단계 각 1명). 동적탄력튜빙 보행 훈련 (I 및 II)은 파킨슨병 환자에게 하루 30분, 주 5일, 5주 동안 25세션 적용되었다. 본 연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자세정렬검사, 근 활성도검사, 보행분석 및 파킨슨병 환자의 삶의 질을 평가하였다. Dynamic tubing 보행 훈련(I, II) 중재 후 몸통 굽힘은 감소되었다. 또한 초기 접촉기(IC)에서 중간 디딤기(Mst)까지 보행 시 넙다리네갈래근, 뒤넙다리근, 앞정강근(TA)의 근 활성도가 증가하고 장딴지근의 근활성도가 감소하였다. 척추세움근(ES T12, L3)의 근활성도는 H&Y I, III 단계에서 증가하고 H&Y II 단계에서 감소하였다. 압력 중심(COP) 매개변수인 보행선의 길이, 한 발 지지선, 앞/뒤 위치, 좌우대칭 값이 개선되었다. 시공간 보행 매개변수인 보폭, 보폭, 의 속도는 증가하고 분당걸음수는 감소되었다. 나아가 파킨슨 병 환자의 삶의 질도 개선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동적탄력튜빙 보행 훈련 (I 및 II)은 약물 내성이 절반으로 감소된 5년 이상된 만성 파킨슨병 환자의 자세, 보행,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