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목표 문법

Search Result 42,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한글 구 구조문법(KPSG):단일화 문법의 형식화에 의한 국어의 문법계산

  • Jeong, Hui-Seong
    • ETRI Journal
    • /
    • v.11 no.2
    • /
    • pp.150-176
    • /
    • 1989
  • 인간과 컴퓨터의 대화(interaction)에 있어서 가능하다면 인간이 쓰는 언어로 인간이 원하고자 하는 소정의 작업을 지시하고 그 출력을 제공받을 수 없을까하는 목표를 두고 세계각국이 모국어의 컴퓨터처리 이론 및 알고리즘개발에 열중하고 있다. 이 논문은 우리의 국어인 한글을 컴퓨터가 처리하는 지적처리를 목표로, 연구중인 한글 이해 시스팀의 구축을 위한 이론과 그 처리 알고리즘에 대해서 논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최신의 이론언어학의 문법이론을 도입하여 국어의 언어현상에 대한 형식화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의 모델은 각각의 이질적인 언어현상에 대한 지식을 통일적 지식표현과 그 이용법을 체계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그 결과 우리의 접근법이 세계 어느 언어권의 형식화 수준보다 선진하고 있음을 제시한다.

  • PDF

Effects of College English FnF (Focus on Form) Class Types on Target Vocabulary and Grammar (대학 교양영어 FnF수업유형이 목표어휘와 목표문법의 습득에 미치는 효과)

  • Kim, Young-hee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7 no.12
    • /
    • pp.371-380
    • /
    • 2017
  • This paper aims to explore a comparative instructional effects among meaning-based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input-enhanced FnF instruction and output-enhanced FnF instruction in order to optimize the teaching methods of target grammar and vocabulary. The experiment selected three homogeneous groups of 30 students in each group for the comparison: One comparative group with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one input-enhanced FnF group and another output-enhanced FnF group.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input-enhanced group outperformed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grammar test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the output-enhanced group overweighted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vocabulary test. However,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input-enhanced group and the output-enhanced group. The conclusion from the result could bear the following pedagogical implication: The general English education must use the eclectic method of adopting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with FnF of input-enhanced target grammar and output-enhanced target vocabulary to supplement the students with the basic vocabulary and grammar.

The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based on 2-level grammar (2-level grammar를 이용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 Oh, Sol-Gil;Park, Seong-Bin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7.08a
    • /
    • pp.29-30
    • /
    • 2017
  • W-grammar(Van Wijngaarden grammar)[1].란 형식 문법의 한 종류인 문맥 자유 문법(Context-free grammar, CFG)의 대안으로, 두 개의 CFG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언어를 정의하도록 구성된 문법을 말하며 그 구성상의 특징을 감안하여 2-level grammar라고도 부른다. 현재 많은 프로그래밍 언어는 CFG를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W-grammar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정의하여 CFG 기반이 아닌 W-grammar 프로그래밍 언어의 진입점을 제공함과 동시에 기저의 문법에 따른 계산가능성에 대해서 연구하는 토대를 쌓는 것을 목표로 한다.

  • PDF

Secondary Grammaticalization and English Adverbial Tense (이차적 문법화와 영어부사의 시제)

  • Kim, Yangsoo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6 no.4
    • /
    • pp.115-121
    • /
    • 2020
  • The primary aim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r grammaticalization of English adverbial -ly suffix and provide a diachronic analysis of manner adverbs and sentence adverbs from the perspective of secondary grammaticalization. The grammaticalization includes both the primary grammaticalization from a lexical to a grammatical and the secondary grammaticalization from a less grammatical to a more grammatical status. The emergence of the manner adverbs is due to the primary grammaticalization from OE adjectival suffix -lic to ME adverbial suffix -ly. In contrast, the emergence of sentence adverbs is due to the secondary grammaticalization from manner adverbs in VP domain to sentence adverbs in TP domain with grammatical features of tense and modality.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secondary grammaticalization of the English adverbial -ly suffix includes the change from manner adverbs to sentence adverbs which obtain a new grammatical function of tense and modality.

Grammar of the Hanmadang Script (한마당 스크립트의 문법)

  • Jun, S.;Lim, C.D.;Lee, G.Y.;Ine, S.R.;Kim, M.J.;Kim, H.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9 no.2
    • /
    • pp.1-21
    • /
    • 1994
  • 본 논문은 한국전자통신연구소에서 개발 중인 DB서버용 클라이언트 도구인 한마당에서 객체 저장을 위해 사용하는 한마당 스크립트의 문법을 기술하였다. 한마당은 클라이언트 서버 형태로 관계형 DBMS를 접근하는 도구로서 OSF(Open Software Foundation)의 DCE(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를 최종 목표환경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마당 스크립트의 문법과 함께 이의 사용 예와 예제에 의하여 생성된 화면을 소개하였다.

The Effects of Chatbot on Grammar Competence for Korean EFL College Students (한국 대학생 영어학습자들의 문법 습득에 있어 챗봇의 효과)

  • Ahn, Sooj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3
    • /
    • pp.53-61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whether or not the AI chatbot is effective in acquiring target grammar for Korean EFL college students: prepositions and articles. A quasi-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46 first-year students taking part in a required English course.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23 students for each,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group was engaged in six chat sessions with a chatbot over 6 weeks. A pretest and a posttest were us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chatbot by comparing any changes made in error frequencies of the target grammar in participants' English compositions. The results show that after a conversation with the chatbot,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reduced the mean of omission errors in both prepositions and articles. To have a great effect in other error categories, chatbot feedback needs to be improved to reduce short responses or inaccurate utterances of students and induce them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onversation.

The Effect of Overseas Language Training on the Development of Foreign Language Accuracy (해외어학연수의 외국어 정확성 향상에 대한 효과)

  • Cha, Mi-Yang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18 no.4
    • /
    • pp.93-99
    • /
    • 2020
  • The Journal of Industrial Management Society in Republic of Korea. In order to explore the effect of overseas language training on the development of foreign language accurac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rrors in English compositions produced by 27 Korean university students who received overseas language training for 15 weeks. For data collection, students were made to take two tests, a pretest and a posttest, a semester apart. The differences in composition elements and errors between the two tests were examined and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showed that while the average length of the compositions and sentences increased, the number of sentences decreased in the posttest. Also, more errors were found in the posttest where the students tried to construct more complex sentence structures. The students' ability to generate sentences were found to have improved, while their competence in using grammatical elements accurately within sentences did not see great improvement. This implies that overseas language training was not effective for aiding the development of one's grammatical accuracy of a foreign language over a 15-week period for the students.

LGG-based Phrase-Pattern Dictionaries of Non-Standard Tokens that contain Bound Nouns in Social Media Texts (SNS 텍스트의 비정규토큰 분석 성능 향상을 위한 의존명사 내포 어형의 LGG 기반 패턴문법 사전)

  • Choi, Seong-Yong;Shin, Dong-Hyok;Hwang, Chang-Hoe;Yoo, Gwang-Hoon;Nam, Jee-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394-399
    • /
    • 2018
  • 본 연구는 SNS 텍스트에서 형태소 분석기로 분석되지 않는 비정규토큰 유형 중 고빈도로 나타나는 의존명사 내포 어형의 형태소를 인식할 수 있는 LGG 기반 패턴문법 사전 구축과 그 성능을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SNS 텍스트에서는 기존의 정형화된 텍스트와 달리, 띄어쓰기 오류로 인한 미분석어가 매우 높은 빈도로 나타나는데, 특히 의존명사를 포함한 유형이 20% 이상을 차지하며 가장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존명사를 내포한 비정규토큰의 띄어쓰기 오류 문제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부분 문법 그래프(Local Grammar Graph: LGG) 프레임에 기반한 패턴문법 사전을 구축하였다. 이를 SNS 코퍼스에 적용하여 성능을 평가한 결과, 정확률 91.28%, 재현율 89%, 조화 평균 90.13%의 성능을 통해 본 연구의 접근 방법론의 유용성과 구축 자원의 실효성을 입증하였다.

  • PDF

English Tutoring System Using Chatbot and Dialog System (챗봇과 대화시스템을 이용한 영어 교육 시스템)

  • Choi, Sung-Kwon;Kwon, Oh-Woog;Lee, Kiyoung;Roh, Yoon-Hyung;Huang, Jin-Xia;Kim, Young-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958-959
    • /
    • 2017
  • 본 논문은 챗봇과 대화시스템을 이용한 영어 교육 시스템을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논문의 시스템은 학습자의 대화 흐름을 제한하지 않고 주제를 벗어난 자유대화를 허용하며 문법오류에 대한 피드백을 한다. 챗봇과 대화시스템을 이용한 영어 교육 시스템은 대화턴 성공률로 평가되었는데, 평균 대화턴 성공률은 80.86%였으며, 주제별로는 1) 뉴욕시티투어 티켓 구매 71.86%, 2) 음식주문 71.06%, 3) 건강습관 대화 85.41%, 4) 미래화폐에 대한 생각 조사 95.09%였다. 또한 영어 문법 오류 교정도 측정되었는데 문법 오류 정확률은 66.7%, 재현율은 31.9%였다.

Integration of Korean Spelling/Grammar Checkre with Web-Based Language Learning System (한국어 철자/문법 검사기와 웹 기반 언어 학습시스템의 통합 환경 구축)

  • 남현숙;김상훈;김지원;권현주;정유진;권혁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5a
    • /
    • pp.37-40
    • /
    • 2000
  • '바른 우리글 쓰기' 학습시스템은 우리말 작문 학습에 필요한 지식을 익히도록 하고자 만들었다. 이 논문의 궁극적인 목표는 한국어 철자/문법 검사기와 국어 학습시스템을 연계하여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능동적인 언어 학습 시스템의 구현이다. 흔히 웹에 기반한 학습시스템에서 학습자는 일방적으로 정보를 제공받거나 독립적인 위치에서 자율적인 학습을 해나가야 하므로 끊임없는 흥미와 관심이 없이는 효율적인 성과를 거두기 어렵다. 이와 같은 약점을 보완하려는 맥락에서 이 학습시스템은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한 후 그 결과를 평가 문제나 한국어 철자/문법 검사기를 통해 즉각적으로 확인해 보고 부족한 내용을 공부할 수 있도록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