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목표어종

Search Result 2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n analysis on effectiveness of circular culvert fishway (원형암거 어도의 효과 분석)

  • Kim, Ki He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4 no.1
    • /
    • pp.15-25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necessity and effect of culvert fishway, based on the absence of design criteria for it which fishes can pass. As an attempt for this purpose, circular culvert fishway were designed hydraulically to meet the passage condition for selected target fish species, and post-monitoring was performed to confirm its effectiveness. In the case of general circular culvert without weir baffles, the target fish species cannot pass because of the constant depth and velocity in the entire reach of the circular culvert, so it was confirmed that resting pools must be installed to help fish passage. In the case of circular culvert with weir baffles, the depth and the mean velocity in resting pool increased by about 240% and decreased by about 70% respectively, which not only satisfied the passage conditions of Zacco platypus that can swim at more than 10 times the speed of body length for 1 to 5 seconds, but also confirmed that various river fish could pass. Post-monitoring results of the restoration reach and fish capture monitoring surveys of circular culvert fishway demonstrated that the target fish species, Zacco platypus, can pass through it.

Optimization of Channel Structure for Fish Habitat Suitability Enhancement (어류서식적합도 향상을 위한 하천구조 최적화)

  • Choi, Heung Sik;Kim, Sang M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6 no.3
    • /
    • pp.267-276
    • /
    • 2013
  • An Improvement of channel structure for sound fish habitat suitability enhancement is investigated. The restoration target species of Zacco Koreanus which is represented a sound aquatic ecosystem is selected by investigating results of the fish fauna and the river environments. The changes of lower channel width for enhancing suitability indices for water velocity and depth result in habitat suitability enhancement in general by PHABSIM simulation. The habitat suitability enhancement is not guaranteed consistently by the changes of lower channel is confirmed. The optimal lower channel widths at each reach are presented by genetic algorithm of optimization which is considering the enhancement of suitability indices for water velocity and depth with given instream flows. The suggested plan of the lower channel modification will contribute to the various projects for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aquatic system.

트롤 어선에서 투기된 어류의 생존율에 관한 연구

  • 안희춘;정의철;양용수;박창두;김호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37-38
    • /
    • 2000
  • 어업에서는 어획대상 이외의 어종이 어획되는 이른바 혼획이 일어나며, FAO의 보고서(Alverson et al. 1994)에 의하면 전세계 어획량의 약 25%가 법률적 또는 경제적 이유로 인하여 선상에서 투기되고 있다. 따라서 UN환경개발회의(1992)에서 선언된 "Agenda 21(21세기를 향한 행동지침)"에서는 어업이 지구환경에 영향을 주는 산업으로 인지되었으며, FAO 총회(1995)에서 채택된 "책임있는 수산업 규범"에서는 세걔의 각 어업국에 비목표 어종의 혼획 및 미성숙 소형어의 투기 감소를 촉구하고 있다.(중략) 투기 감소를 촉구하고 있다.(중략)

  • PDF

The Conceptual Management Framework for Sustainable Fisheries Development (지속적 어업발전을 위한 자원관리 개념의 틀)

  • Mu, Yong-Tong;Choe, Jung-Yoon
    •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 /
    • v.31 no.1
    • /
    • pp.135-151
    • /
    • 2000
  • 최근에 지속적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은 환경정책 분석뿐만 아니라 현대 환경, 생태 경제학에 있어서 중요한 개념이 되어왔으며, 이 개념은 어업에 있어서 특히 중요한 국제적 이슈(issue)가 되고 있다. 어업은 갱생자연 자원에 입각한 산업으로서 지속적 발전의 길로 가야만 한다. 이것은 1982년 UN해양법 협약(UNCLOS), 1995년 UN경계왕래성 어족과 고도회유성 어족에 관한 집행협약 (UNIA), FAO의 책임있는 어업(the Code of Conduct fer Responsible Fisheries)을 위 한 국제규범과 일련의 기술지침서에서 구체적으로 표현함으로써 국제적 합의가 이루어 지게 되었다. 지속적 발전의 개념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는 어업 관리자가 어업정책의 수립과 평가에 대한 새로운 요소와 기준을 설정함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부여한다. 이것은 특히, 어업관리자(정부와 단체 그리고 어업자)가 어업관리 목표 어종 및 비관리목표 어종과 어종의 생태, 그리고 환경을 포함한 어업 자원의 직접 사용 가치와 비사용 가치(즉, 내재 가치 )등에 관련된 제문제를 다루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한다. 따라서, 이 논문은 국제사회에서 지속적 발전과 관련된 지식의 현 주소와 어업관리에 있어서 갖는 함축적 의미와 주로 관계된다. 이 논문은 지속적 발진에 대한 개념의 기원과 형성과정, 개념 구조를 상세히 고찰함으로써 어업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어업관리정책 수립을 위한 방향설정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또 이 논문에서는 지속적 발전의 개념하에서 어업의 지속성과 지속적 발전이 어업관리에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고찰한다. 그 하나로 이 논문에서는 FAO에서 최근에 제시한 해양어업의 지속적 발전지표를 어떻게 설정하는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분석 고찰 하였다. 이 FAO의 지속적발전지표는 지속적 발전의 평가체계의 구성요소와 어업에 대한 지속적 평가체계[sustainable development reference system(SDRS)]를 수립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관련 절차에 관해 특별한 의미를 부여해 줄 것으로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는 SDRS가 지역어업 협력체계 구축에 있어 서 어떠한 역할을 할 것인가를 강조함으로써 결론을 내리고 있다.

  • PDF

An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stepped boulder fishway installed in mountain stream (산지하천에 설치된 계단식 전석 어도의 수리 특성 분석)

  • Kim, Ki He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1
    • /
    • pp.99-109
    • /
    • 2022
  •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the applicability of stepped boulder fishway using the concept of traditional boulder weir, focusing on the problems of existing concrete pool-and-weir fishways installed in mountain streams. To achieve this purpose, a stepped boulder fishway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as a pilot project in consideration of ascending capacity of the selected target fishes. Under the given discharge conditions,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the fishway were investigated in the field, and the characteristics and ascending capacity of the fish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fishway had a short length and steep slope, but the mean drops between each baffle were the range of 0.15 to 0.29 m, and this range satisfied the limit condition of about 0.40 m, which was in the limit of the drop that target fishes can ascend. The mean velocities of each baffle and pool were 0.82 to 0.87 m/sec and 0.13 to 0.24 m/sec. This result satisfied the conditions of burst speed (10 to 30 times of body length) and mean velocity of the resting pool (7 to 25% of burst speed) for target fishes. Since the bottom surface of the pool formed of boulders had a gentle reverse slope and rotational flow did not occur, the efficiency of fishway can be increased, and it will also be possible to solve the maintenance problem by flushing bed materials.

Ecological Guidelines for Creation of Eco-washland (생태 천변저류지의 생태학적 조성계획기준)

  • Chun, Seung-Hoon;Choi, Jun-Gil;Yoo, Jeong-Chil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0 no.1
    • /
    • pp.39-47
    • /
    • 2008
  • An eco-washland is increasingly getting attentions as a new alternative plan for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because of role as flooding control and ecological park without social and ecological side effects. However, there is a lack of study regarding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ecological guidelines to create eco-washla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ecological guidelines necessary for engineering process to create eco-washland. A study site was the lower reach of Seokjang stream connecting to Yimjin river, a candidate of new eco-washland, and Kumsa area in Namhan river was selected as a reference site. The analysis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focused on vegetation, fishes, and birds. Major vegetation communities, composed of dominant species such as Salix koreensis, Salix gracylistyla, Miscanthus sacchariflorus, Phragmites communis, etc., formed physical conditions along with other land uses including open water, sandbar, cultivated land, etc. Dominant species of fishes were some species belonging to Cyprinidae and Acheilognathinae, and in case of birds Anser albifrons, Anas platyrhychos, Anas poecilorhyncha belonging to waterbirds and Paradoxornis webbinanus dependent to forest edge were dominantly distributed. The results showed that complex wetland types associated with partially deep water and upland was the optimal eco-hydrological condition of washland. Cyprinidae and Acheilognathinae in case of fish and Egretta spp. (spring season) and Anas spp. (winter season) in case of bird were selected as target species for the these wetland types. Finally, a detail planning criteria to create habitats of these target species were discussed in terms of spawning, breeding, feeding, resting, refuge, nesting, etc.

  • PDF

한국 연안 혼획 밍크고래, Balaenoptera acutorostrata의 생물학적 해석

  • 김장근;손호선;박영철;정의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281-281
    • /
    • 2002
  • 혼획 (by-catch, entanglement)은 목표 어종을 잡도록 허가된 어구에 고래가 얽히는 것을 말한다. 국제포경규제협약의 개정관리방법 (Revised management procedure, 1994)에서는 혼획을 고래류의 비자연사망으로 정의하고 자원평가와 포획쿼타 소진에 포함시키고 있다. 혼획의 관리를 위한 국내 규정으로서는 해양수산부의 고래포획금지이행지침$\boxUl$이 있다. 규정에는 그물에 얽혀 살아있을 때는 최선의 회생의 조치를 취하고 죽었을 경우, 동 지침의 혼획ㆍ좌초고래처리절차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 (중략)

  • PDF

Analysis of Attraction Efficiency at Kangjung-Goryeng Weir By-pass Fishway Using Two Dimensional Physical Habitat Simulation Model - Focused on Pseudogobio esocius - (2차원 물리서식처 모형을 이용한 강정고령보 인공하도식 어도의 유인효율 분석 -모래무지를 대상으로-)

  • Lee, Jeong Min;Ku, Young Hun;Baek, Kyong Oh;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62-16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한국 낙동강에 위치한 강정-고령보에 설치된 by-pass 어도의 유인효율을 유량 변화에 따라 살펴보고, 어도 유인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의 본류 방류량을 산정하였다. 강정-고령보는 고정보와 가동보로 구성된 혼합식 보로 유량조절이 가능하며, 가동보의 조작에 따라 by-pass 어도 내의 유량이 결정된다. 유인효율의 지표로 목표어종의 HSC(Habitat Suitability Criteria) 지수에 기반한 WUA(Weighted Usable Area)를 삼았다. WUA는 평면 2차원 물리서식처 모형인 River2D를 활용하여 계산하였다. 또한 River2D로 계산된 유속장은 GPS Floater를 활용한 현장관측 자료로 검증하였으며, 어망을 이용한 월별 어류 모니터링 자료로 유인효율 평가의 타당성을 간접적으로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 대상인 강정-고령보의 by-pass 어도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목표 어류를 유인하기 위해서는 본류의 유량이 190 cms내외를 유지해야 한다. 특히 목표 어류인 모래무지가 봄철(4월~6월)에 산란기를 맞아 상하류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띄므로, 이때 적절한 가동보 운영을 통해 본류 유량을 190 cms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Analysis of Physical Disturbance according to Optimizing of Low-Flow Channel Width for Stable Channel Design and Physical Habitat Improvement (안정하도 설계와 어류서식처 개선을 위한 저수로 폭의 최적화에 따른 물리적 교란 분석)

  • Choi, Seung Je;Lee, Woong Hee;Choi, He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90-290
    • /
    • 2017
  • 본 연구는 안정하도 설계를 위해 대상구간으로 원주천 16 km, 20개 횡단면에 대하여 SCAD(Stable Channel Analysis Design)를 이용한 안정하폭 평가를 실시하였다. 안정하폭은 하폭이 증가와 감소로 20%의 허용범위를 적용하였다. 안정하폭의 설계와 물리서식처의 개선을 위해 저수로 폭의 최적 설계를 제시하기 위해 유전자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물리서식처 개선은 원주천의 하천환경조사와 어류의 군집특성을 이용하여 수중생태계를 대표 할 수 있는 복원 목표어종으로 참갈겨니를 선택하였다. 참갈겨니의 서식적합지수 (HSI, Habitat Suitability Index)를 사용한 서식 적합도 분석은 River2D 모형을 이용하였다. 그에 따라 안정하도 설계와 물리서식처의 개선을 위한 각 단면의 최적 저수로 폭을 제시하였다. 개선된 하천구조에 대한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를 실시하였다. 대산구간을 40개 구간으로 분할하여 각 구간의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를 수행하여 안정하도 설계와 물리서식처 개선을 위한 하천구조의 개선에 따른 물리적 교란 양상을 평가 분석하였다.

  • PDF

The Study for Estimation of Instream Flow to Improve Natural & Social Environment (자연.사회환경 개선을 위한 하천유지유량 산정방안 연구)

  • Ko, Ick-Hwan;Kim, Gee-Hyoung;Woon, Seok-Young;Kim, Woo-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414-418
    • /
    • 2008
  • 하천유지유량에 대한 인식과 개념은 시대와 사회, 경제의 발전에 따라 변화되어 새로운 물 배분 패러다임에 입각한 하천유지유량이 정립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하천유지유량의 필요성이 제기되기 시작한 것은 댐 건설 이후부터이며, 하구의 염수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하천에서 기본적으로 유지되어야 할 필요수량을 정하면서 부터이다. 실제적인 하천유역의 관리에서 댐 건설 이전에는 하천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하천유지유량의 설정 자체가 크게 의미를 갖지 못하였다. 우리나라 하천유지유량의 주요 기능은 1960년대 이전에는 하천의 주운기능, 1970년대는 하구의 염수침입방지 기능, 1980년대는 수질보전을 위한 희석용수의 기능으로 인식되었으며, 1990년대 이후 환경에 대한 인식 변화로 수질과 함께 하천생태계 보전의 필요성이 증가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고, 2000년대에 들어서는 자연환경을 중심으로 하는 하천유지유량과는 별도의 용수개념인 사회환경 개선을 위한 환경개선용수의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하천유지유량에서 고려하는 항목은 갈수량을 기준으로 하고 하천기능 유지에 필요한 하천생태 및 하천수질 보전을 기본항목으로 하여 고려하도록 하며, 현실적으로 하천유지유량 산정 검토시 부수적인 미미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하천경관, 하구막힘 방지, 지하수위 유지, 하천시설물 보호, 염수침입 방지 등의 항목은 필요항목으로 구분하되 하천 상황에 따라 추가적인 항목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경우 감안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갈수량의 산정은 반드시 유역 개발과 각종 유수사용, 수공구조물에 의한 유량 조절 효과가 없는 자연상태를 기준으로 산정하도록 하고 어류생태를 고려한 필요유량 산정 시 대표어종은 하천의 특성을 고려하고 지역사회의 의견을 수렴하여 단일어종보다는 생태적 군(Guild, 군(群))을 고려하여 선정하고 최소유량의 개념보다는 계절별 유량변동성을 고려하도록 하였다. 수질보전에 필요한 필요유량 산정 목표는 생태계 서식 및 생육 환경의 보전과 인간의 물 이용 측면에서 요구되는 목표수질을 구분하여 적용하도록 하였다. 하천유지유량 이외에 친수공간 확보, 물놀이, 관광, 하천문화행사 등 사회환경 개선을 위해 하천의 일부구간 또는 일부지역에 필요한 수량은 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수혜대상 집단(지자체, 특정 기관 또는 개인 등)의 요구에 의해 발생되는 수량이므로 환경개선용수로 분류하여 별도로 산정하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