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목표분류

Search Result 88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The Analysis and Comparison of Analogies in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비유 분석 및 비교)

  • Choi, Kyung-Hee;Lee, Young-Ae;Ryu, Soo-Ky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3 no.2
    • /
    • pp.165-175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use of analogies in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in explaining abstract science concepts. For this study, the analogies used in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of the 7th science curriculum were analyzed. The analogies were classified into the six following types: the nature of shared attributes, representation, analogy/target abstraction, number of analogies, with and without specified use of analogy, and casual relations. A total of 189 analogies were found in the 7th science textbooks. This means that 16.9 analogies were used for each book. In analyzing the analogies, we found some analogies were appropriate, while others were ambiguous and inadequate in explaining the various science concepts. The number of analogies used varied considerably according to the publishing company and the science domain. For more effective understanding of various science concep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analogies and research the application of analogy.

Feature selection for text data via topic modeling (토픽 모형을 이용한 텍스트 데이터의 단어 선택)

  • Woosol, Jang;Ye Eun, Kim;Won, So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5 no.6
    • /
    • pp.739-754
    • /
    • 2022
  • Usually, text data consists of many variables, and some of them are closely correlated. Such multi-collinearity often results in inefficient or inaccurate statistical analysis. For supervised learning, one can select feature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arget variables and explanatory variables. On the other hand, for unsupervised learning, since target variables are absent, one cannot use such a feature selection procedure as in supervised learning. In this study, we propose a word selection procedure that employs topic models to find latent topics. We substitute topics for the target variables and select terms which show high relevance for each topic. Applying the procedure to real data, we found that the proposed word selection procedure can give clear topic interpretation by removing high-frequency words prevalent in various topics. In addition, we observed that, by applying the selected variables to the classifiers such as naïve Bayes classifiers and support vector machines, the proposed feature selection procedure gives results comparable to those obtained by using class label information.

Analysis of the End-of-Chapter Questions in Chemistry II according to Revised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Bloom의 개정된 교육목표 분류에 따른 화학II 단원 평가 문항 분석)

  • Seo, Young-Jin;Kim, Hyoung-Soo;Chae, Hee-K.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54 no.3
    • /
    • pp.329-337
    • /
    • 2010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nd-of-chapter questions in 8 types of chemistry II textbooks for science teachers according to revised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not only to raise interests of questions in textbooks but also acquire a basic material for using questions in textbooks effectively. The results of classification following Bloom's cognitive category showed that 'Understanding(44.7%)' level was the most, then 'Application(29.9%)', Knowledge(15.6%) and 'Analysis (9.5%)' in order, which is distinct difference from the result of classification of the end-of-chapter questions in college general chemistry books which was 'Application', 'Analysis' and 'Understanding' in order. Especially, questions of 'Evaluation' level were not found at all in any textbook investigated and 'Synthesis(0.3%)' level was very few. On the other hand, the percentage of questions in 'Understanding' and 'Executing Quantitative' which required specific algorithms was 70% of total with most of the questions in 'Application' were 'Executing Quantitative'.

예비교사들의 과학을 잘하는 모습에 대한 인식

  • Jeong, Jin-U;Ryu, Chun-Ryeol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18-18
    • /
    • 2010
  • 교사들의 생각하는 과학학습의 목표는 학생들이 생각하는 과학학습의 목표와 다를 수 있다. 과학을 잘 하는 모습은 교사의 입장에서 볼 때 과학교수 목표를 의미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과학교사들은 학생들이 과학을 잘 하게 하기 위해 과학 수업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과학을 잘하는 모습은 교사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교사마다 다른 지향점을 가지고 과학교수활동을 하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교사들의 과학을 잘하는 모습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해 과학을 전공하고 있는 1학년에서 4학년 사이의 예비교사 30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으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교사들이 지닌 과학을 잘 하는 모습에 대한 인식의 유형과 과학을 잘 하는 모습을 결정짓는 상황의 유형을 분류할 수 있었으며, 예비교사들의 과학을 잘하는 모습에 대한 인식과 과학교수목표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Classification of Human Sense Indexes Based on G7 HAN Project (G7 감성공학기반사업에 기초한 감성지표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 이지혜;김진호;박수찬;이상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304-307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G7 감성공학 연구에서 발생한 231 개의 지표들을 이용자가 접근 용이하도록 분류하여 그 체계를 갖추는 작업을 수행하여 web 상에 제공함으로써 감성공학에 대해 적은 지식을 가진 이용자라 할지라도 분류체계에 따라 지표를 검색하고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면 현재 서비스 실시 중인 감성공학 인터넷 사이트(http://www.gamsung.or.kr)에서 감성지표의 검색 및 조회의 사용성을 향상 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 PDF

Facial Image Detection with Matched Filters (Matched Filter를 이용한 얼굴 영상 검출)

  • 황인택;신명숙;최광남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208-211
    • /
    • 2003
  • 이 논문은 Matched Filter 기술을 사용해 다양한 영상 중 얼굴 영상을 분류하는 연구에 대해서 기술한다. 기본 목표는 얼굴 영상과 그 외의 영상을 분류할 수 있는 효과적인 필터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런 Matched Filter는 Fourier 역변환을 사용해 훈련영상(Training Image)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실험평가는 Yale대학의 얼굴 데이터베이스의 얼굴영상과 다양한 형태를 보이는 임의의 영상으로 평가한다. 우리는 여기서 얼굴 영상을 분류하기 위한 방법 중 한가지로서 Matched Filter를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Laver Farm Feature Extraction from Landsat ETM+ Satellite Image Using ICA-based Feature Extraction Algorithm (ICA기반 피처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한 Landsat ETM+ 위성영상에서의 김양식장 피처추출)

  • Han Jong-Gyu;Yeon Yeon-Kwang;Chi Kw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793-796
    • /
    • 2004
  • 이 논문에서 제안한 ICA기반 피처추출 알고리즘은 다차원 영상에서 각 픽셀의 반사도 분광영역이 서로 다른 물체타입(목표피처와 배경피처)으로 이루어진 선형 혼합 분광영역으로 가정되는 픽셀에 대한 목표피처 탐지를 목적으로 한다. Landsat ETM+ 위성영상은 다차원 데이터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영상에는 추출하고자하는 목표피처와 여러 종류의 배경피처들이 혼재한다. 이 논문에서는 목표피처(김양식장) 주변의 배경피처(갯뻘, 바닷물 등)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목표피처의 픽셀 분광영역을 배경피처의 픽셀 분광영역으로 직교투영하게 된다. 픽셀내의 나머지 목표피처 분광영역의 양은 배경피처의 분광영역을 제거함으로써 추정하게 된다. 이 논문에서 제안한 ICA기반의 피처추출 방법의 우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Landsat ETM+ 위성영상에서 김양식장 피처를 추출하는데 적용하였다. 또한 피처추출 후 제거되지 않고 남아 있는 잡음(noise)정도와 피처추출 정확도 측면에서 전통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최대우도 분류방법과 비교실험을 하였다. 결과적으로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목표피처 주변의 혼합분광영역에서 배경피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추출하고자 하는 목표피처를 추출하는데 있어 우수한 탐지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Semi-Automatic Building of Korean Classifiers in English-Korean MT (영한 자동번역에서의 한국어 분류사의 반자동 구축 방법)

  • Lee, Ki-Young;Choi, Sung-Kwon;Kim, Young-Gi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8.10a
    • /
    • pp.135-139
    • /
    • 2008
  • 본 논문은 영한 기계번역에서 영어 수사가 포함된 영어 명사구를 한국어로 번역할 때, 영어 명사에 대응되는 한국어 명사의 적절한 분류사를 반자동으로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영한 번역의 측면에서, 분류사는 목표언어인 한국어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이다. 따라서 영어를 한국어로 번역할 때, 적절한 분류사를 생성하지 않으면 한국어 어법에 맞지 않는 부자연스러운 번역 결과를 생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태그드 코퍼스와 한국어 의미코드 체계에 따라 한국어 분류사를 반자동으로 구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에 따라 한국어 명사에 대해서 한국어 분류사가 구축되었으며, 이렇게 구축된 분류사는 영한 기계번역시스템의 번역 사전에 'KCOUNT'라는 자질을 할당하여 부가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의 검증을 위해 수동평가와 자동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영한 기계번역의 문장 생성에 있어서 자연스러움(fluency)의 측면에서 번역률 향상이 있었다.

  • PDF

A Technique to Improve the Practicality of SVM-based Speech/Music Classifiers Through Hierarchical Classification (계층구조의 분류를 통한 서포트벡터머신 기반의 음성/음악 분류기의 실용도 향상기법)

  • Choi, Seokhwan;Cho, Youngok;Cho, Jiu;Lim, Chungsoo;Lee, Yeonwoo;Lee, Seong R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1033-1034
    • /
    • 2012
  • 본 논문은 제한된 대역폭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가변 전송률 코덱을 목표로 제안된 서포트벡터머신 기반의 음성/음악 분류기의 실용도를 높이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서포트벡터머신 기반의 음성/음악 분류기는 높은 분류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많은 계산량을 요구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면이 있다. 따라서 계층적 분류를 통해 서포트벡터머신 기반의 음성/음악 분류기의 실용성을 향상시키는 기법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