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목재 접착제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4초

합판용(合板用) 요소수지접착제(尿素樹脂接着劑)의 리조시놀 첨가(添加)에 따른 유리(遊離)포름알데히드 방산(放散) 제거효과(除去效果) (The Scavenging Effect of Resorcinol on the Formaldehyde Release from the Urea Formaldehyde Adhesive Bonded Plywood)

  • 이화형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8권2호
    • /
    • pp.1-5
    • /
    • 1980
  •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scavenging effect of resorcinol added into the urea formaldehyde resin on the formaldehyde release of plywood, as the preliminary study of using the phenolic substances. The method for formaldehyde determination used in this report is the improved chromotropic acid determina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Resorcinol added into the urea formaldehyde adhesive acts as a good scavenger. 4 percent of resorcinol reduced the formaldehyde release to less than half content. 2. Adding resorcinol gave better glue shear strength than that of control, showing the peak of the shear strength, at 2 percent and decreased to the same strength as control along its content of 4 percent. 3. Moisture content of air dried plywood met the standard very well.

  • PDF

파푸아뉴기니아산(産) 타운재(材)의 합판제조조건(合板製造條件) (On Plywood Manufacture from Tauns Grown in Papua New Guinea)

  • 장운용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8권2호
    • /
    • pp.9-16
    • /
    • 1980
  • Papua New Guinea(PNG)산(産) TAUN재(材)를 이용한 합판제조 조건을 확립하였다. Taunwo(材)는 목질(木質)이 다양(多樣)하고 건조후 함수 분포가 균일(均一)치 못하여 퇴적(堆積)양생시키므로써 적정 함수분포를 유지할 수가 있었다. 또한 조직이 치밀하여 접착제와의 친화성이 낮아 집착불량이 용이하게 발생되기 쉬운 재(材)이나 제호시 수지율을 높여 도포하므로서 접착불량을 제거할 수가 있었다. Taun재(材)는 lauan재(材)나 kapur(材)와 혼합접합(混合接合) 하여도 접착력은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 PDF

합판용 페놀수지 접착제에 대한 TCA침전 혈액분말의 첨가효과 (Adding Effect of TCA-Precipitated Blood Powder to the Phenol Formaldehyde Resin for Plywood)

  • 이화형;이종신;장상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4권2호
    • /
    • pp.15-19
    • /
    • 1996
  • To utilize the waste materials and develope wood adhesive from isolated bloods of slaughtered cow and pig and also to prevent water pollution, simple and rapid method of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plasma proteins from pig bloods with trichloroacetic acid(TCA) treatment was developed. Adding of TCA-precipitated blood powder to the phenol formaldehyde resin(PF) improved dry and wet strength of plywood and resulted in fast hot pressing times.

  • PDF

탄소나노튜브/아교 접착제를 이용한 돌침대용 목재 샌드위치 복합재의 계면, 열적 및 방수특성 증가 (Improvement on Interfacial, Thermal, and Water Resistance Properties of Wood Sandwich Composites for Stone Bed using CNT-Animal Glue Adhesive)

  • 김종현;권동준;신평수;백영민;박하승;문선옥;박종만
    • Composites Research
    • /
    • 제30권4호
    • /
    • pp.235-240
    • /
    • 2017
  • 아교는 수용성을 띄는 접착제로, 이 특징에 의해 물에 약하다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고가구에 많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나노튜브를 도입에 따른 아교의 계면특성 및 열적특성 그리고 방수특성 개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탄소나노튜브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아교를 이용하여 접착한 돌침대용 목재 샌드위치 판 상부의 실시간 온도측정을 진행하였다. 나무와 아교접착제 간의 계면특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랩 전단 실험을 실시하였고, 습도가 높아짐에 따라 물성이 약해지는 아교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탄소나노튜브를 도입에 따른 아교의 방수특성이 개선되는지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랩 전단시편을 물에 담근 후 랩 전단 실험을 진행하여 기존의 결과와 비교하여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비교하였다.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물과의 정적 접촉각을 이용해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에 따른 아교접착제의 소수성 정도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아교 접착제에 탄소나노튜브를 도입으로 계면특성, 열적특성 및 방수특성이 개선되었다.

Ply-lam CLT의 합판 접합방식에 따른 휨 성능 평가 (Evaluation of Flexural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lywood Bonding Method of Ply-Lam CLT)

  • CHOI, Gyu Woong;YANG, Seung Min;LEE, Hyun Jae;KIM, Jun Ho;CHOI, Kwang Hyeon;KANG, Seog G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2호
    • /
    • pp.107-12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층재 수종과 길이방향의 합판 접합방식과 접합부의 접착제 도포 여부에 따른 휨 성능 및 파괴 양상 분석을 통하여 합판을 코어로 사용한 CLT에 적합한 합판의 접합 방식을 최적화 하고자 하였다. 더글라스 퍼 층재의 경우 길이방향 접합에 의해 휨탄성계수 약 11.5% 감소, 휨강도는 접착제 도포 및 접합방식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하였다. 접착제 미도포 butt joint, 접착제 도포 half lap joint, butt joint 조건이 최적조건으로 도출 되었다. 낙엽송 층재의 경우 길이방향 접합에 의해 휨강도는 약 15%, 휨탄성계수는 약 40% 감소하였으며 접합방식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half lab joint와 tongue & groove joint 사용 시 합판 층의 접합부에서 휨에 파괴를 1차적으로 방지해줌으로써 중층의 층재로 전달되는 하중을 감소시켜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Ply-lam CLT 제조과정에서 낙엽송 층재를 사용하는 경우 접합방법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더글라스퍼 층재를 사용할 경우 butt joint와 half lap 접합 방식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수종 구조용집성재의 전단접착력 및 접착내구성 평가 (Evaluation of Shear Bond Strength and Adhesive Bond Durability of Mixed Species Structural Glued Laminated Timber)

  • 심상로;여환명;심국보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1호통권129호
    • /
    • pp.87-9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국산재의 구조용집성재 라미나로의 이용을 위해 국산 소나무, 잣나무와 낙엽송 공시판재에 대하여 육안품질을 평가한 후, 레조르시놀수지와 수성고분자 이소시아네이트수지 접착제로 접착하여 제조한 단일수종 및 이수종 혼합 구조용집성재의 전단접착력과 접착내구성을 평가하였다. 국산재의 구조용집성재 라미나로의 이용을 위해 공시판재에 대한 육안품질등급 구분을 실시한 결과, 소나무, 잣나무 및 낙엽송의 육안품질 종합등급은 재내 잔존하는 크고 많은 옹이와 함께 큰 목리경사각으로 인해 낮은 등급의 판재 비율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좀더 높은 등급의 판재를 생산하기 위하여 가지치기 등의 육림작업과 할렬 및 비틀림 등의 결함을 줄이기 위한 제재 및 건조공정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레조르시놀 수지 접착제와 수성고분자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접착제로 제조된 단일수종 및 이수종 혼합 집성재의 전단강도는 $7.9{\sim}9.9N/mm^2$ ($80.9{\sim}101.3kgf/cm^2$) 범위 내에 있어 A수종군의 KS규격 전단강도인 $7.1N/mm^2$ ($72kgf/cm^2$)을 훨씬 상회하는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내어 사용된 두 접착제 모두 강도적인 문제는 발생치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레조르시놀 수지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단일수종 집성재와 이수종 혼합집성재의 침지 및 삶음박리시험 결과 모든 시험편이 KS 기준을 상회하여 접착내구성에도 역시 문제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수성고분자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접착제로 제조된 단일수종 및 이수종 혼합 집성재의 침지와 삶음 박리율은 매우 높아 이 접착제를 구조용집성재용 접착제로 사용할 경우는 집성재의 사용환경을 신중히 고려하여야 할 필요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국산 소나무, 잣나무 및 낙엽송 단일수종 구조용집성재와 이수종 혼합집성재 제조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 및 품질 향상에 사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강절형 목질접합부의 모멘트저항성능 평가 (Evaluation of Moment Resistance of Rigid Frame with Glued Joint)

  • 이인환;송요진;홍순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28-3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접합부가 접착제로 일체화된 강절형 기둥-보 접합 시험편과 슬릿 가공한 보부재에 기둥부재와 일체화된 목질접합물을 삽입하고 핀으로 접합한 시험편을 제작하여 모멘트 저항성능을 검토하였다. 목질접합물은 GFRP로 보강한 적층판을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슬릿 가공된 보부재에 GFRP보강적층판을 삽입하고 핀으로 접합된 기둥-보 시험편들은 완전탄소성 모델 분석으로 산출된 특성치들이 대조군인 강판삽입형 기둥-보 시험편보다 20~80% 낮게 측정 되었다. 기둥부재와 보부재가 접착제로 일체화된 강절형 기둥-보 시험편은 초기잔류변형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강판 삽입형 접합부보다 38% 향상된 초기강성과 41% 향상된 소성률이 측정되었다.

낙엽송 블록접착집성재의 접착 및 휨 강도 성능 (Bending and Bonding Strength Performances of Larix Block-glued Glulam)

  • 이인환;홍순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3호
    • /
    • pp.315-322
    • /
    • 2016
  • 2개 이상의 보부재 집성재 요소들의 측면접착으로 제작된 "블록접착집성재"는 대단면 목조건축물의 건축부재로 활용 가능한 구조용재다. 블록접착집성재의 측면은 접착제의 종류와 도포량 및 압체압력을 각기 다른 조합으로 접착하여 박리시험과 전단블록시험으로 접착성능을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레조시놀접착제 $500g/m^2$을 도포하고 압체압력 1.5 MPa의 조건으로 제작된 블록접착집성재의 측면접착성능이 가장 양호하였다. 양호한 측면접착조건으로 제작된 블록접착집성재는 동일단면계수의 대조군 집성재와 휨 강도 성능을 비교 검토하였다. 블록접착집성재의 휨 탄성계수는 대조군 집성재와 유사하였으며, 파괴계수는 대조군집성재 보다 27% 향상되었다. 할렬은 대조군집성재 보다 블록접착집성재에서 다량 발생하였으며, 블록접착집성재의 측면접착층에서 계면파괴나 응집파괴는 관찰되지 않았다.

합판의 포름알데히드방산량 측정방법 (Measuring Method of Formaldehyde Emission for Plywood)

  • 이상민;박종영;강은창;김수원;한승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1호
    • /
    • pp.11-16
    • /
    • 2010
  • 합판의 경우에는 제조 시 접착제가 각 단판의 전체 면에 도포되는 것이 아니라 접착 면에만 도포되므로 접착층을 따라서 접착제가 분포하게 된다. 따라서 섬유판이나 파티클보드의 경우와는 달리 전체 표면을 통하여 포름알데히드가 방산되지 않고 접착층을 따라서 방산된다고 판단되어진다. 따라서 기존의 KS M 1998-4 : 2005 방법으로 포름알데히드방산량을 측정하는 방법이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판단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조건에서 제조한 합판을 4가지 측정 조건에 따라 포름알데히드방산량을 측정하여 이들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기존의 전체 표면적을 기준으로 측정하는 방법(KS F 3101-2006)과 일정한 수의 시험편을 이용하는 방법(KS F 3101-1998), 측면 면적만을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접착층만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포름알데히드방산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체 표면적 기준과 시험편의 개수 기준, 측면 면적 기준으로 시험한 방법은 반복실험결과 재현성과 경향성이 없었으나, 접착층만을 고려하여 시험편의 개수를 정하여 측정한 경우에는 재현성과 경향성을 보였다.

핑거공차에 따른 휨강도 성능과 AE 특성 (The Bending Strength Properties and Acoustic Emissions to the Difference of Finger Widths)

  • 류현수;안상열;이균필;박한민;변희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2호
    • /
    • pp.84-9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3 수종(이태리 포플러, 소나무, 굴참나무재)을 공차별(0, 0.15, 0.3, 0.45 mm)로 초산비닐 수지와 레소시놀-페놀 공축합 수지를 이용하여 접합 제작하였다. 휨시험에서 핑거공차에 따라서 검출되는 AE와 휨강도성능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레소시놀재의 AE파 발생시기가 초산재보다 빨랐으며, 레소시놀재의 AE파 사상총수는 하중의 증가와 함께 계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총발생 사상총수도 초산재보다 휠씬 많이 나타났다. 또한, 레소시놀재의 AE파 사상총수는 낮은 하중에서도 많은 개수가 발생하였다. 비례한도 내에서도 레소시놀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많은 AE파가 검출되었다. 따라서 레소시놀 접착제로 접착한 핑거 접합재의 휨시험으로부터 얻은 AE 신호는 핑거공차에 따른 접합재의 강도 예측이나 보증에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