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목재보

검색결과 282건 처리시간 0.024초

표준화염(標準火焰) 노출시(露出時) 목재(木材) 보의 거동(擧動) 예측(豫測)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Prediction about Behavior of Wood Beam under Standard Fire Condition)

  • 김리건;이전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3권4호
    • /
    • pp.10-17
    • /
    • 1995
  • 본 연구는 화염에 노출된 목재 부재의 거동에 관련된 자료를 얻기 위해 수행되었다. 목재 보에 대한 현행 내화 모델들은 외곽부 섬유의 MOE나 휨강도의 감소, 그리고 화염노출의 계속으로 인한 단면의 감소 등에 기초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모델들은 정확한 거동 예측이 힘들다. 따라서 목재 보의 거동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변형 단면을 이용한 내화거동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 변형 단면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온도분포 온도와 목재의 물리적 성질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온도와 목재의 휨성질간의 정확한 관계가 제공되기만 한다면 본 방법이 화염에 노출된 목재 보의 변형을 잘 예측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인터뷰-영림목재(주) 이경호 대표이사

  • 이경호
    • 파렛트 뉴스
    • /
    • 통권47호
    • /
    • pp.18-19
    • /
    • 2007
  • 목재분야에서 영림목재(주)는 그 이름만으로 누구나 인정하는 목재업계 전문기업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한 회사를 지금까지 이끌어 오는 데에는 CEO의 남다른 철학과 직원들과의 믿음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기사는 영림목재(주) 이경호 대표이사의 인터뷰 내용으로 기업운영의 철학과 직원들간의 우호관계에 대해서 들어 본다.

  • PDF

인천지역 목재산업의 클러스터화를 위한 고찰 (A Study on the clusterization of wood industry in incheon)

  • 조용철;남영우;이두용;장정환;이창호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13-522
    • /
    • 2011
  • 2009년 인천지역의 목재 및 나무제품제조업과 가구 제조업체는 총 1,285개로 각각 전국 목재 관련 제조업체의 10.4%와 6.7%를 차지하여, 일반 제조업의 전국비중 6.1%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또한 종사자 수 역시 총 13,202명으로 각각 전국 목재 관련 제조업체의 21.0%와 9.9%로 인천이 큰 비중 차지하고 있다. 한국은행(2009)에서 발표한 지역별 산업 산출액 기준으로도 인천지역의 산출액은 수도권의 12.5%, 전국의 5.5%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중 가구 기타제조업(12.8%), 목재 종이(10.6%) 등은 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친환경 저탄소정책으로 다시금 부각되고 있는 천연목재를 기반으로 한 인천지역 목재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대안으로 인천항을 중심으로 한 목재산업 클러스터화를 위한 고찰을 수행하고자 관련 연구 문헌 및 설문 조사를 기반으로 목재산업단지 조성의 필요성과 경제적 파급효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C형 강재-목재 합성보의 휨성능 평가에 관한 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Flexural Performance Evaluation of C-Shaped Steel-Timber Composite Beams)

  • 오근영;이상섭;박금성;부윤섭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31-341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구조용 집성재 보의 휨강도 및 연성능력을 보완하고자 강재-목재 합성보의 휨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체는 구조용 집성재 보 1식과 강재-목재 합성보 2식으로 구성하였다. 강재-목재 합성보는 부착 방법에 따라 액상형 접착제와 나사못을 사용하여 휨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강재-목재 합성보는 구조용 집성재 보에 비하여 구조성능이 약 2~3배 높아 휨강도 및 연성능력이 충분히 확보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액상형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가 나사못을 적용한 실험체에 비하여 우수한 구조성능을 보여주었다.

탄소섬유판 삽입공법으로 보강된 목재보 휨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exural Capacity of Reinforced Timber Beams with the Inserting Method of CFRP Plates)

  • 권기혁;유혜란;이진혁;최민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7
    • /
    • 2008
  • 문화재의 보수 보강은 모재 및 외형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부재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야 한다. 목조 문화재에서 보부재에 대한 기존의 여러 보강법 중 CFRP 삽입공법은 모재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원목재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어 향후 근대건축물의 보수보강 공사에 적용성이 높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근대건축물의 지붕구조체를 보존하기 위한 보부재의 보강방법 중 부재의 외연적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탄소판 삽입공법을 목재보에 적용하여 보강효과와 파괴 성상 등을 실험을 통해 조사, 분석하고 이 보강법의 실제 적용을 위해 보의 휨응력 산정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CFRP의 배열형태와 보강량을 주요변수로 하였으며, $0.3{\sim}0.7%$의 CFRP보강량을 사용하였을 경우 원목재의 강도에 비해 최대 173%까지 보강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옹이 등 모재의 특성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향후 이 공법의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 목재에 대한 기초적 연구들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며, 목재의 비파괴 실험에 관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폐목재로 제조된 파티클보드의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Particleboard from Wastewood)

  • 오용성;차재경;곽준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23-26
    • /
    • 2002
  • 현재 폐목재의 발생량은 국내의 연간 목재사용량의 40% 정도의 수준으로 국내의 목재자급율을 고려해볼 때, 목재패널산업에서의 이런 폐목재의 재활용은 많이 장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폐목재로부터 얻어진 파티클과 실험실에서 합성한 요소수지를 폐목재파티클의 전건무게에 대해 6% 첨가하여 열압온도 162℃와 열압시간 5분에서 파티클보드를 제조하고 ASTM D 1037 방법에 의해 파티클보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파티클보드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는 KS F 3104 파티클보드 8.0형의 최소요구를 만족시키는 것이다. 이런 파티클보드의 성능평가 결과는 폐목재가 파티클보드의 원료로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는 세계목재시장이 역으로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Global Timber Market on Global Warming when Climate Changes)

  • 이덕만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7권2호
    • /
    • pp.287-311
    • /
    • 2008
  • 본 연구는 지속적인 산림경영 증진의 필요성과 관련한 한 분야의 연구로서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는 세계목재시장이 산림을 통해 대기에 배출하는 순탄소량의 규모에 대한 측정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는 세계목재시장 분석을 위해 개발한 목재공급모형(변형된 TSM 2000)과 동태적 탄소모형(확장된 TCM)을 통합하여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는 세계목재시장이 산림을 통해 대기에 배출하는 순탄소량의 규모를 1995년부터 2085년까지 90년간 시뮬레이션하였다. 정상적으로 성장하는 목재수요(ND) 시나리오 하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2085년에 이르러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는 세계목재시장은 1990년도 대기에 축적된 탄소랑의 약 3.60퍼센트를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는 세계목재시장이 산림의 탄소 유입과 배출을 통해 역으로 지구온난화를 완화하는데 기여하게 된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본 연구는 민감도 분석을 위해 빠르게 성장하는 목재수요(HD) 시나리오와 매우 빠르게 성장하는 목재수요(VHD) 시나리오 하에서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는 세계목재시장이 대기에 배출하는 순탄소량의 규모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시도하였다.

  • PDF

목재보존(木材保存) : 다음 세기(世紀)를 위(爲)한 새로운 보존기술(保存技術) (Wood Protection : New Technologies for the Next Century)

  • ;김규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1권4호
    • /
    • pp.7-28
    • /
    • 1993
  • 본 총설에서는 새로운 방부제와 방부처리 기술의 현재 발전 동향을 요약, 보고한다. 많은 새로운 방부제들이 약제의 독성 측면에서 환경적인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잠재성을 가지고 있지만, 방부제로서 상업화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약제들은 약제의 효능과 환경 안전성 간의 몇 가지 상호 조정 관계가 반드시 해결되어야 한다. Ammoniacal copper 계통의 방부제들이 지접부 사용에 적합한 새로운 수용성 방부제들의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기존의 유용성 방부제들을 물에 용해한 emulsion 형태도 지접부 사용의 가능성을 보여 준다. 새로운 유용성 방부제 중에서 copper naphthenate, substituted isothiazolones, chlorothalonil, oxine copper가 지접부 사용을 위한 최상의 후보로 평가되고 있다. 유용성 방부제를 emulsion 형태로 사용하는 것은 유용성 방부제에 사용되는 석유 계통 용제의 소비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중대한 의미를 가진다. 방부제들의 효능을 개선하고 강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제들도 본 총설에서 거론된다. 재질개량을 위해 사용되는 비통상적인 방법(nonconventional system)들도 생물학적 열화 및 기상열화에 대한 저항성을 부여하여 목재의 사용수명을 증가시킨다. 전처리 공정에서 침상 자상처리(Needle incising)와 레이져 자상처리는 난주입 수종의 처리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처리기술에 있어서 여러 가지 혁신적인 변화들은 기존의 처리 schedule을 조성함에 그 기본을 두고 있다. 난주입 수종의 처리도 개선은 pulsation법이나 고압 약제 분사법 (high energy liquid jets) 같은 고압을 적용하는 처리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미래의 처리공장들은 방부제를 기체상태로 또는 물질의 임계점 이상에서 방부제를 처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새로운 접근은 외관이 깨끗하고, 처리도도 매우 양호한 처리재를 생산하는데 일조하리라 기대한다. 환경에 대한 대중적인 지대한 관심은 앞으로 목재 방부산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방부제의 처리목재내 가속 정착에 관한 연구에 상당한 노력이 투자될 것이다. 처리 후 가공에 관한 다른 주요한 연구는 방부제 처리 후 실시되는 재건조가 처리재의 역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이다.

  • PDF

Hailwood-Horrobin 방정식을 이용한 한국의 야외 목재평형함수율 결정 (Determination of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of Outdoor Woods by Using Hailwood-Horrobin Equation in Korea)

  • 나종범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6호
    • /
    • pp.653-658
    • /
    • 2014
  • 본 연구는 지역 및 계절 변화에 따른 목재의 평형함수율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국내 73개 장소에서 30년(1981~2010) 동안 축적된 기상자료와 Hailwood-Horrobin 방정식을 이용하여 목재평형함수율을 계산하였으며 계산된 목재평형함수율의 변화 추이를 조사하였다. 평년값(30년 평균값)을 사용하여 계산된 목재평형함수율은 대구가 11.5로 가장 낮았으며 흑산도가 15.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별로 살펴보았을 때 여름(6월, 7월, 8월)이 15.3으로 가장 높았으며 가을(9월, 10월, 11월) 13.7, 겨울(12월, 1월, 2월) 12.2, 봄(2월, 3월, 4월) 12.0의 순서로 평형함수율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월별 목재평형함수율은 4월이 11.6으로 가장 낮았으며 7월이 16.1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에 따른 월별 평형함수율의 편차는 제주가 3.0으로 가장 작았으며 흑산도가 8.7로 가장 큰 값을 보여주었다. 목재의 평형함수율은 목재의 수축 및 팽윤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월별 평형함수율의 편차가 큰 지역에서는 평균평형함수율을 고려하여 목재의 건조를 실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목재(木齋) 이삼환(李森煥)의 「맹호음(猛?吟)」 연구(硏究) (A Study on the 「MaengHoEum」 of Mokjae Lee Samhwan)

  • 윤재환
    • 동양고전연구
    • /
    • 제70호
    • /
    • pp.157-183
    • /
    • 2018
  • 목재(木齋) 이삼환(李森煥)의 "맹호음(猛?吟)"은 목재가 선대(先代)에서 창작했던 시의 운자(韻字)를 따라 지은 5언절구 7수 연작시 3편을 말한다. 이 시는 제목과 내용으로 보아 "맹호행(猛虎行)" 계열 한시의 창작 전통을 이은 것이라고 할 수 있지만, 5언이나 7언, 혹은 장단구의 장편 고시가 아니라 근체 연작시 형식으로 창작되었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맹호행(猛虎行)" 계열의 시와 구분된다. 목재의 "맹호음(猛?吟)"은 그의 나이 73세가 되던 1801년 일어난 신유박해(辛酉迫害) 이후 어느 시점에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그의 "맹호음(猛?吟)"은 노론 계열을 중심으로 하는 당대 사회의 부패한 정치권력을 비판하는 우언시(寓言詩), 사회시(社會詩)라고 할 수 있고, 그의 시에 등장하는 '맹호(猛虎)'는 당시 집권 세력을 지칭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목재의 "맹호음(猛?吟)"을 살펴보면 현실의 질곡에 대한 비판의식이 드러나기는 하지만, 그 감정이 격절하거나 묘사가 구체적이지 않다. 그의 시에는 적극적인 현실 비판이나 강한 저항 의식이 보이지 않는다. "맹호음(猛?吟)"이 보여주는 이런 특성은 그가 평생 추구했던 학문과 그의 정서에 삶의 경험과 현실의 무게가 더해진 결과라 생각된다. 목재가 겪었던 당대의 모순은 그를 침묵하고만 있을 수 없게 했지만 그 자신의 울분을 시의 표면에 격절하게 드러낼 수도 없게 하였다. 자신의 행동에 영향 받는 후예들과 그를 지켜보는 반대 세력의 따가운 시선 사이에서 그는 자신의 감정을 내적으로 갈무리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목재의 "맹호음(猛?吟)"에서 살펴볼 수 있는 정서의 구체적인 양상과 의미를 보다 선명하게 밝히기 위해서는 목재의 시에 대한 깊이 있는 천착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