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목욕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7초

복합감각 기능증진 개념의 헬스케어 목욕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Healthcare Bathing System for Improving the Multisensory Functions)

  • 김형지;유미;진혜련;권대규
    • 감성과학
    • /
    • 제13권2호
    • /
    • pp.309-31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단순 세정의 개념이 아닌 복합감각 증진 개념의 헬스케어 목욕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헬스케어 감성욕조를 디자인하기 위해 우선 타입별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복합감각 자극용 전신 욕조를 개발하였고, 이 전신욕조는 감성자극용 전신욕조 월풀, 시청각 감각 자극 기능이 구비된 욕조 커버, 제어용 소형 PC, 터치패널, DMB 패널, 시각 감성 증진을 위한 칼라 가변형 LED 무드 시스템과 스피커로 구성되어 있다. 제작된 복합감각 증진 개념의 헬스케어 욕조시스템의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서 목욕을 하는 동안 인체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목욕 상태에서의 심박변이율은 실험 중 교감신경에 비해 부교감신경이 계속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목욕을 시작한지 15분이 경과하면 교감신경이 증가하고 부교감신경이 감소하여, 피험자가 목욕을 한지 15분일 때 가장 편안한 상태를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목욕 실험 결과 전후의 혈압이 최고 16mmHg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맥박은 증가하였다. 이것은 심장으로부터 혈액의 유출량이 많아져 혈류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복합감각 증진용 헬스케어 욕조 시스템을 이용한 목욕이 혈액 순환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가지고 복합감각 기능증진 헬스케어 목욕시스템의 사용성과 사용자의 생리분석을 통한 기초결과를 통해서 사용자의 생리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제품의 사용성과 사용자의 생리적 변화 및 감성 간의 관계를 보다 더 명확하게 밝혀낼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PDF

목욕으로 인한 클로로포름의 인체부담 (CHLOROFORM BODY BURDEN FROM BATHING)

  • 조완근;황영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77-284
    • /
    • 1995
  • 일반 가정의 염소 처리된 수소수 사용과 관련되 클로로포롬 노풀을 확인 할 필요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삼십분 동안의 정상적인 목욕이 아파트의 한 욕실에서 두명의 자원자에 의해서 10차례 행해졌다. 클로로포름 농도가 물과 욕실 공기 및 목욕 전후에 피실험자의 호기로부터 측정되었다. 염소처리 수도수를 사용하여 목욕을 했을 \ulcorner\ulcorner 클로로포름에 대한 노출이 일어났고, 인체 부담도 야기되었다. 목욕 전후에 채취된 호기 시료의 농도차에 기초하여. 한번의 30분 목욕으로 부터 야기되는 클로로포름에 대한 인체부담은 목욕전에 비하여 8배 내지 26배가 되는 것으로 산정 되었다. 이와같은 인체부담을 설명하기 위해서 측정된 물과 욕실공기내의 클로로포름 농도는 각각 $9.4\mu\textrm{g}/l$$14.9\mu\textrm{g}/m^3$ 이었다. 이러한 욕셀 공기내의 클로로포름 농도는 거실공기 보다 34배 내지 130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욕실공기와 해당 호기에서의 클로로포름의 농도 관계는 p=0.03 와 $R^2=0.47$의 조건에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목욕으로 인한 클로로포름의 인체부담 (CHLOROFORM BODY BURDEN FROM BATHING)

  • 조완근;황영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25-125
    • /
    • 1995
  • 일반 가정의 염소 처리된 수소수 사용과 관련되 클로로포롬 노풀을 확인 할 필요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삼십분 동안의 정상적인 목욕이 아파트의 한 욕실에서 두명의 자원자에 의해서 10차례 행해졌다. 클로로포름 농도가 물과 욕실 공기 및 목욕 전후에 피실험자의 호기로부터 측정되었다. 염소처리 수도수를 사용하여 목욕을 했을 ?? 클로로포름에 대한 노출이 일어났고, 인체 부담도 야기되었다. 목욕 전후에 채취된 호기 시료의 농도차에 기초하여. 한번의 30분 목욕으로 부터 야기되는 클로로포름에 대한 인체부담은 목욕전에 비하여 8배 내지 26배가 되는 것으로 산정 되었다. 이와같은 인체부담을 설명하기 위해서 측정된 물과 욕실공기내의 클로로포름 농도는 각각 $9.4\mu\textrm{g}/l$$14.9\mu\textrm{g}/m^3$ 이었다. 이러한 욕셀 공기내의 클로로포름 농도는 거실공기 보다 34배 내지 130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욕실공기와 해당 호기에서의 클로로포름의 농도 관계는 p=0.03 와 $R^2=0.47$의 조건에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클로르헥시딘 침상목욕 간호가 중환자실 입원환자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과 혈류감염 발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Bed Baths with 2% Chlorhexidine on the Incidence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Blood Stream Infection in Intensive Care Units)

  • 윤형숙;최은희;김진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838-84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2% 클로르헥시딘 침상목욕 간호가 중환자실 입원환자의 MRSA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발생률과 BSI (blood stream infection) 발생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치료적인 침상목욕 방법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에 소재한 1개 상급 종합병원의 내 외과계중환자실에 2010년 11월 1일부터 2011년 8월 15일까지 입실한 환자 전수로 하였으며, 실험군 188명, 대조군 199명으로 총 387명이었다. 2% 클로르헥시딘(MICROSHIELD $2^{(R)}$, 존슨앤존슨, 뉴질랜드) 침상목욕 간호를 실시한 실험군의 MRSA 발생률은 7.4%로 일반 비누와 액상 세정제를 사용하여 침상목욕 간호를 실시한 대조군의 MRSA 발생률 14.1%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36). 실험군의 재원일수 1,000일당 MRSA 발생건수는 9.32건으로 대조군의 재원일수 1,000일당 발생건수 15.44건보다 낮았다(p=.099). 2% 클로르헥시딘 침상목욕 간호를 실시한 실험군의 BSI 발생률은 0.5%로 일반 비누와 액상 세정제를 사용하여 침상목욕 간호를 실시한 대조군의 BSI 발생률 5.0%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11). 실험군의 재원일수 1,000일당 BSI 발생건수가 0.67건으로 대조군의 재원일수 1,000일당 발생건수 5.52건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p=.052). 따라서 2% 클로르헥시딘 침상목욕 간호를 치료적 간호중재로 간호실무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목욕습관실태 및 목욕타올에 대한 요구도 조사 - 20대에서 50대까지의 도시여성을 대상으로 - (Investigation of bathing habits and consumer's needs for bathing towel - Focusing on aged from the 20's to 50's women in urban area -)

  • 김정화;이정순;이선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821-83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athing habits and behaviors, and to find out consumers' needs for washcloth, which in this case refers to Korean exfoliating cloth for bathing purpos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emales of 20s to 50s living in urban area. Four hundred and twenty-six (426) women were interviewed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by ANOVA,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The most popular bathing type was shower (84.9%). Personal hygiene was one of the commonest purpose of bathing, and other purposes included health maintenance, stress alleviation, and beauty in order. Dimensions of consumer needs for washcloth were extracted from factor analysis as following properties: tactile, tough, aesthetic, constructive, and hygienic. The preference for washcloth type was related to skin type. "Non-skin damage property" was the most important parameter to choose washcloth and the other parameters included massage effect, tactile property, foaming property, and easy-to-use property.

  • PDF

노인 및 거동 불편 환자들의 안전한 목욕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의 샤워 부스 개발 (Designing a Universally Accessible Shower Booth to Enhance Bathing Safety for Elderly and Patients with Mobility Impairments)

  • 김정현;김진현;표준호;이재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84-985
    • /
    • 2023
  • 노인 및 거동 불편 환자들이 목욕 중 낙상 사고 등을 당하는 비율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국내 65세 이상 1인 가구 197만 가구는(22년 기준) 가족의 돌봄 없이 혼자 생활하고 있어, 이들이 목욕 중에 사고를 당하는 경우, 빠른 구호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독거노인의 증가와 낙상 사고의 위험성에 초점을 맞추어 거동이 불편한 환자라도 혼자서 목욕이 가능한, 모든 사용자로부터 접근성을 높인 샤워 부스를 개발 및 연구한다. 요양보호사 두 명과 인터뷰를 하여 실제 상황에서의 문제점을 파악한다.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안전을 1순위로 고려하고, 사용 편의성 및 청결을 유지하는 방안을 고려한다.

장기요양보호를 이용하는 여성노인의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방문목욕 이용자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female Elderly using a Long-Term Care: Centering on Users of Home-Visit Bath)

  • 신건철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345-135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장기요양보호 서비스 중 방문목욕을 이용하는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방문목욕을 받으면서 경험하게 되는 신체적, 심리적 변화는 무엇인가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코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기요양보호서 비스를 이용중인 8명의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심층면접하고 서비스 이용과정 중 경험하게 되는 신체적, 심리적 경험을 질적자료로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노인의 신체적 측면에서는 방문목욕서비스를 받는 동안 변화된 여성노인의 신체적 요인을 살펴보면 서비스 이용 후 몸이 건강해지고 편해졌으며 신체적으로도 나아지고 있다고 믿고 있었다. 둘째, 심리적 측면에서는 자신의 신체적 장애로 인해 방문목욕을 받는 것에 대해 자신의 몸을 보이는 것을 추잡하고 부끄럽게 여기다가 방문목욕을 편하게 여기게 되었다. 또한 요양보호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목욕서비스 이외에 정서적측면에서 지지를 받음으로 자신에 대한 존재가치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모습이 나타났다. 그 결과 장애로 인해 부끄럽고 불편하며 추잡스럽게 자신을 여기던 부정적 태도에서 장애를 지닌 자신의 신체적 상태를 수용하고 받아들임으로 방문목욕서비스를 편하게 받아들이게 되는 변화의 과정이 나타나 장애수용이 현실적응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 계기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장기요양보호에서 노인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및 정서적 안정을 높이기 위해서 자신의 장애를 수용하여 현실에 적응할 수 있도록 사회복지사의 개입과정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노인에게 있어 긍정적 정서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대상이 요양보호사임을 고려할 때 단지 요양보호사로써의 역할을 벗어나 노인의 강점과 긍정성을 발견하고 강화시키는 멘토의 역할을 감당할 수 있도록 요양보호사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시스템의 마련이 제안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장기요양기관, 방문요양기관, 복지관 등과 건강보험관리공단이 통합네트워크를 구성하여 권역별로 장기요양보호를 이용하는 가정 및 긴급·위기가정에 대해 지원하는 통합사례관리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목욕행위와 건강상태와의 관계 -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Bathing and Health Status)

  • 최희정;이은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19-52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status and bathing. Method: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consisted of females, above age 20 in urban areas in order to control the effects of extraneous variables, resident areas, gender, and age. Four hundred and twenty-eight (428) women were interviewed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Medical Outcomes Study Short Form (SF)-36 Health Survey assessed individual health status. Bathingbehavior and attitudes toward bath have been measured with questionnaires designed by the authors. Result: The most popular bathing type was shower (46.8%). The preferred type of bath was related to health status. A common purpose of the tub-bath was relieving fatigue and hygiene, but the other purposes were different on the subjects health status. Persons with low health status took frequently tub-baths for health. Attitudes toward bath were related to health status. Women with low scores in physical health recognized more physical effects of bath than psychological effects or hygenic effects. Conclusion: Bathing included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mensions and was related to health status.

<온천행궁도(溫泉行宮圖)>(1795)의 온천(탕실) 건축 고찰 (A Study on the Hot Springs(Tangsil Building) of Temporary Palace(Onyanghaenggung) according to the <Oncheonhaenggungdo>(1795))

  • 이정수;김일환;이경미;지원구;최재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7권1호
    • /
    • pp.110-123
    • /
    • 2024
  • 온양행궁은 <온천행궁도(溫泉行宮圖)>『온궁사실(溫宮事實)』(1795), 『영괴대기(靈槐臺記)』 및 <영괴대도> 등의 문헌자료와 영괴대(靈槐臺), 신정비(神井碑)로 왕의 온행을 확인가능한 문화유산이다. 특히 1906년 헤르만 산더(Hermann Sander)가 촬영한 사진을 통해, 조선시대 온양행궁의 온천(탕실)이 일제강점기 초기까지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온양행궁 관련 문헌 및 <온천행궁도>(1795)에 기초하여, 온양행궁 탕실의 건축형식을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온양행궁 및 탕실의 변천을 살펴보고, 둘째 왕의 목욕문화 및 행태를 고찰한 후, 셋째 <온천행궁도> 온천(탕실) 건축을 「온궁수리」를 통해 정리하고, 넷째 일제강점 초기 헤르만 산더(Sander)의 사진과 비교하여 조선 후기 마지막 온양행궁 온천(탕실) 건축 형식을 고찰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온양행궁 온천(탕실)은 현종 초 온정실(溫井室, 8칸), <온천행궁도> 온천(탕실)로 이어지면서 조선 후기 『호서읍지』(1871)까지 유지되고 있는데, 일제강점기 초기 헤르만 산더(1906) 및 <1912년 충남 아산시 온양온천>(한국저작권 위원회) 사진 건축물과 일치하고 있다. 둘째, 조선시대 국왕의 목욕법은 목욕평상(沐浴平床) 또는 교의(交倚)에 앉아 세두, 유두, 목두 등을 시행하거나, 온천수 증기를 직접 쐬는 훈세, 탕정 앞에 목판을 깔고 앉아 물에 발을 담그는 침족 또는 침세, 그리고 배꼽 아래만 물에 담그는 반신욕인 체욕, 좌탕 등의 다양한 목욕방법을 채택하였다. 셋째, 온양행궁 온천(탕실)은 온천수가 상탕 서북쪽에서 분출되어 동쪽으로 꺾여 중탕으로 들어가고 남쪽으로 꺾어지면서 바깥으로 나와 하탕이 되는 구조로서, 탕체 주변부는 태안에서 실어 온 바둑돌을 탕실 바닥에 깔았다. 이상의 고찰로부터, 어실로부터 왕의 접근동선, 왕의 목욕법과 목욕도구, 입대하는 의관과 목욕보조 인력 등 목욕행태와 「온궁수리」에서 언급된 각 실 등의 구성을 헤르만 산더의 사진과 비교하여, 온양행궁 온천(탕실) 건축물을 추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