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호한 경계

Search Result 18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Boundary Ambiguity and Family Functioning in Remarriage (재혼가족의 가족경계모호성과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 Kim, Yoon-Ok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4 no.3
    • /
    • pp.183-202
    • /
    • 2012
  • Remarriages constitute an increasing proportion of all marriage in Korea. In 2010, 21.9% of marriage were remarriages for one or both partners. In spite of such increasing of remarriage, not much attentions were given the issues of remarriage in the academic circle of social welfare in Korea. This study i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remarriage, the family structure in remarriag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undary ambiguity and the family functioning in remarriage. Although boundary ambiguity is believed to be more problematic for remarriage families than first-marriage families and as such has been the topic of research in the U.S.A and other countries, few studies have focused on this topic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degree of boundary ambiguity of 125 samples of remerried women and their family functioning. Also,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undary ambiguity and the family functioning in remarriage. This study conceptualized boundary ambiguity as an incongruence between physical and psychological presence or absence of family member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majority of respondents(67.6%) were categorized as having both no psychological and no physical ambiguity. 19.8% of respondents were categorized as having physical ambiguity, 9.9% as having psychological ambiguity, and 2.7% as having both psychological and physical ambiguit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family functioning in remarriage were found among four groups having different type of boundary ambiguity.

  • PDF

Vagueness and the Context-Fixing Argument (모호성과 맥락고정논변)

  • Lee, Jun-Hyo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4 no.1
    • /
    • pp.23-54
    • /
    • 2011
  • In this paper, I introduce what Boundary-Shifting theories of vagueness (or Contextualism about vagueness) are and what the Context-Fixing Argument is, which is the most powerful and plausible objection to Boundary-Shifting theories. The basic idea of the Context-Fixing Argument is that vagueness still remains even if we hold the context fixed. Many objections based on this simple idea can be found in the literature on Boundary-Shifting theories. It seems that, without a convincing response to the Context-Fixing Argument, Boundary-Shifters must be in trouble. But, oddly, defenders of Boundary Shifters have said very little about this matter. In this situation, ${\AA}$kerman and Greenough try to defend Boundary-Shifting theories of vagueness by suggesting several answers. In this paper, I critically examine their suggestions and develop a new answer to the Context-Fixing Argument.

  • PDF

A Study on the River Zone Determination Method by River Type Based on 3D DSM Data (3차원 DSM 자료 기반 하천유형별 정밀 하천구역 결정기법 개발)

  • Lim, Dong Hwa;Lee, Choon Ho;Lee, Tae Geun;Sim, Gyoo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72-472
    • /
    • 2021
  • 우리나라는 하천법 제10조, 소하천정비법 제3조에 하천기본계획 수립 또는 하천의 지정 및 변경고시 시 하천구역을 결정하도록 정의되어 있다. 하천구역 설정 시 일반적으로 하천의 제방이 위치하는 부지 및 제방하심측 토지경계를 하천구역으로 지정하고 있으나, 제방계획이 없거나 무제부 구간으로 활용되고 있는 구간의 경우 하천법 제10조 3항에서 5항까지 3가지 항목을 기준으로 계획하폭에 해당하는 토지, 댐·하구둑·홍수조절지·저류지의 계획홍수위 아래에 해당하는 토지경계, 철도·도로 등 제방의 역할을 하는 선형공작물 하심측 토지경계로 구분하고 있다. 하천구역의 경계설정의 경우 불연속적인 특징을 갖는 하천의 횡단측점 자료의 특성상 정확한 평면상의 경계를 파악하기 어렵고, 철도·도로 등 선형공작물 경계를 하천구역으로 설정 시 편입용지의 보상이 상이하고 모호한 기준으로 인해 다량의 민원이 발생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에 위치한 지방하천 대천천을 대상지로 설정하였으며, 계획홍수위를 기반으로 홍수범람예상도를 작성하여 정밀계획홍수위선을 산출하고 이를 지형자료와 중첩하여 계획홍수위 경계를 추출하였다. 또한 무제부 구간 내 드론촬영을 실시하여 대상지 드론영상 기반 3차원 정밀 지형자료를 구축하고 이를 앞서 산정한 계획홍수위 경계자료와 중첩하여 정밀 하천구역을 설정하였다. 대상지 정밀 하천구역 산정 결과를 기반으로 도심지내 하천과 도시외곽 하천으로 구분하고 다시 도심지내하천은 암거(복개)구간과 개거구간, 도시외곽하천은 유제부와 무제부 구간으로 구분하여 정밀 하천구역 결정기준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천천유역을 대상으로 실시한 무제부 구간 하천구역 결정과정을 기반으로 하천유형별 3차원 하천구역 산정기법을 정립하였다. 향후 해당기법을 실무에 적용하여 하천구역 산정 시 모호한 하천경계부분 또는 토지소유주와 담당부처 간 하천구역 논의 시 기반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기본계획 수립 시 해당 기법 적용을 통해 보다 정확한 하천구역 경계 수립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Higher-Order Vagueness and Radical Indeterminacy (고차모호성과 극단적 결정불가능성)

  • Lee, Jinhee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7 no.1
    • /
    • pp.137-181
    • /
    • 2014
  • I will propose the radical indeterminacy for solving the higher-order vagueness' dilemma. The radical indeterminacy means that the indeterminacy of 'a is P' implies the indeterminacy of 'a is a borderline case of P.' I will compose my argument two steps: first I will suggest conditions for overcoming the dilemma by analyzing its structure and second I will offer the radical indeterminacy that satisfies aforementioned conditions. I think the higher-order vagueness' dilemma occurs owing to the misunderstanding about the unclarity or the indeterminacy of borderline cases that is an basic intuition of vagueness. So conditions for solving the dilemma are also criteria of adequacy on the theory of vagueness. Thus I will propose II-rule that satisfies above conditions and the radical indeterminacy as a new understanding about vagueness.

  • PDF

Adaptive Watershed region merging method (적응적 watershed 영역 병합 방법)

  • 정희신;김동성;김종효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9a
    • /
    • pp.647-650
    • /
    • 2000
  • PACS의 보급으로 인하여 CT, MRI 등의 의료영상이 진료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고, 또 의사가 좀 더 정량적이거나 사실적인 visualization을 위해서 분할은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져야 할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의료 영상에서 watershed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분할을 하는데 있어 가장 큰 문제가 되는 점은 과분할현상(Oversegmentation)이기 때문에 그 분할된 영역을 의미 있는 영역별로 합치는 영역 병합(merge) 과정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의료영상에서 모호한 경계는 매우 빈번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기존의 병합 방법을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모호한 경계를 갖는 영상에서도 알맞는 병합을 가질 수 있는 적응적 영역 병합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분할 방법을 DICOM 영상의 폐 영상과 다리 뼈 영상에서 실험하였다. 그 결과 뼈와 폐영역을 성공적으로 병합하면서 인접한 장기들과는 구분 지을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Interferences Between Work and Nonwork in the Smart Work Context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업무와 비업무간 간섭에 대한 연구)

  • Oh, Sangjo;Kim, Yong-Young;Lee, Heejin;Lee, Jong Ma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4
    • /
    • pp.213-226
    • /
    • 2014
  • Previous research on work and life balance mainly focused on workers' passive acceptance of interferences rather than active management of them. However, workers can also actively manage boundaries to enhance work and life balance. To find ways to enhance work and life balance,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Smart Work, factors having effects on the work/nonwork inter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s should be firstly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 that in a work domain, both boundary strength at work and job autonomy negatively influence on the nonwork to work interferences; in a nonwork domain, both boundary strength at nonwork and autonomy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work to nonwork interferences.

A study on Moving Object Segmentation (이동물체 분할에 관한 연구)

  • Jeo, Yo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349-351
    • /
    • 2012
  • 영상분할은 입력 영상에서 특정 영역을 분할하는 처리로서 이동물체추적, 영상 감시, 영상 기반 제어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기술 중 한 가지이다. 기존 영상 분할 방법은 영역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과 경계선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경계선을 기반으로 이동물체 영역을 분할하는 것이 연산량 감소등 의 많은 이점이 있다. 그러나 영상의 경계가 모호한 경우 적용이 곤란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벡터를 추출한 후 이동벡터를 분할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입력영상에 대하여 BMA기법을 적용하여 이동벡터를 추출하여 이동벡터 영상을 구한 후, 이동 벡터영상에 워터쉐이드 기법을 적용하여 영상 분할하였다. 기존 경계선을 이용한 영상 분할과 비교한 결과 노이즈가 적은 결과를 얻었다.

  • PDF

Evaluation of Edge Detector′s Smoothness using Fuzzy Ambiguity (퍼지 애매성을 이용한 에지검출기의 평활화 정도평가)

  • Kim, Tae-Yong;Han, Joon-Hee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8 no.9
    • /
    • pp.649-661
    • /
    • 2001
  • While the conventional edge detection can be considered as the problem of determining the existence of edges at certain locations, the fuzzy edge modeling can be considered as the problem of determining the membership values of edges. Thus, if the location of an edge is unclear, or if the intensity function is different from the ideal edge model, the degree of edgeness at the location is represented as a fuzzy membership value. Using the concept of fuzzy edgeness, an automatic smoothing parameter evaluation and selection method for a conventional edge detector is proposed. This evaluation method uses the fuzzy edge modeling, and can analyze the effect of smoothing parameter to determine an optimal parameter for a given image. By using the selected parameter we can detect least ambiguous edges of a detection method for an image. The effectiveness of the parameter evaluation method is analyzed and demonstrated using a set of synthetic and real imag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