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형 내 편차

Search Result 8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The Effect of Thermal Buoyancy on Air Flow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in a Slot-Ventilated Livestock Building (환기중(換氣中)인 축사(畜舍)의 열부력(熱浮力)이 공기유동 및 온도분포에 미치는 영향)

  • Choi, H.L.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18 no.2
    • /
    • pp.144-157
    • /
    • 1993
  • 환기중인 실험축사내에서 가축의 현열과 환기공기의 온도차에 의한 열부력(熱浮力)(thermal buoyancy)이 공기유동 및 온도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TEACH 컴퓨터프로그램($k-{\varepsilon}$ 난류모형 및 SIMPLE계열 Algorithm)을 Curvilinear Coordinates에 맞게 변형하였다. 계산한 축사내 공기유통 및 온도분포의 유의성(有意性) 검증은 Boon(1978)의 실험결과를 이용하였다. 열부력의 크기에 따른 유동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유입공기의 온도를 $17^{\circ}C$$10^{\circ}C$ 두 수준으로 입력하였으며, 가축의 현열플릭스(flux)는 실내온도에 따라 변화하므로 유압공기의 온도가 $17^{\circ}C$일 때는 130W/$m^2$, $10^{\circ}C$일 때는 170W/$m^2$을 경계조건으로 입력하였다. 예측한 공기유동의 형태는 실험값(Boon, 1978)과 비교하여 대체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유입공기의 온도가 $10^{\circ}C$인 경우, 예측 공기유동은 실험 유동형태와 차이가 있었다. 즉, 실험에서는 수평슬롯으로 유입된 공기가 바로 아래로 굴절되어 유동(流動)하였으나, 계산의 결과는 일정 거리로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다가 아래로 굴절하였다. 이런 유동의 차이는 경험적으로 열부력(熱浮力)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 k-${\varepsilon}$ 난류(亂流)모형의 적용이 원인이 되거나 실험의 부적절한 수행이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이 유동(流動)의 Reynolds 수(數) (Re)는 약 3,300, 수정Ar수(修正Ar數)(Corrected Archimedes Number : $Ar_c$)64로써, $Ar_c$ <30 이거나 $Ar_c$ >75이면 유입공기의 제트는 수평유동한다는 Randall & Battams(1979)의 연구결과와는 일치하였다. 그러나 공기제트의 굴절은 유동의 특성이 같다하더라도 유체의 성질, 축사의 기하학적 형태에 따라서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실제 실험을 통한 재검정과정을 거쳐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 9와 Fig. 10의 기하학적 형태의 지점별 예측온도와 측정온도(Boon, 1978)와의 편차는 대부분의 지점에서는 $1^{\circ}C$ 미만으로 상당히 정확하였으며, 최대의 온도차는 Fig. 10의 지점 13에서 $1.7^{\circ}C$이었다.

  • PDF

Accuracy of dental model based on the state-of-the-art manufacturing technique (첨단 제조기술 기반으로 제작된 치과용 모형의 정확도에 관한 연구)

  • Kim, Jae-H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11
    • /
    • pp.693-700
    • /
    • 2020
  • This study compared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definitive casts fabricated from a digital impression and conventional impression technique. A master model with the prepared upper full-arch tooth was used. Samples of ten plaster models and ten polyurethane models were duplicated using a selected standard master model. Six linear measurements were recorded between the landmarks, directly on each of the stone models and the polyurethane models on two occasions by a double examiner.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inter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measurement error (MSE), and limit of agreement (LoA)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ICC ranged from 0.76 to 0.99 when comparing the stone models and polyurethane models.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stone models and polyurethane models ranged from 0.09mm to 0.20mm, suggesting that stone models might be slightly larger than polyurethane models. Based on this study, the accuracy of the polyurethane models in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an oral scanner and subtractive technology was acceptable.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on patient subjects under clinical conditions that may involve missing or malpositioned teeth and fixed dental prostheses because this study was limited to use a standard master model and duplicated sample models in a laboratory setting.

Application of CFD model for the design of settling basin inlet structure (침전지 유입부 설계를 위한 CFD모형의 적용)

  • Yu Chang Hwan;Lee Jong Hyun;Kim Dae Geun;Kim Nam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083-1087
    • /
    • 2005
  • 하수처리장의 침전지는 고형물(SS)을 침전, 제거하여 하수를 정화하는 시설로서 생물학적처리에 의해 발생하는 슬러지와 처리수를 분리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장방형침전지의 경우, 유입된 하수가 침전지의 전 단면에 걸쳐 균일하게 도달하게 하기 위하여 $6\~20\%$ 정도의 유공율을 가진 유공정류벽을 설치하며 유효 침전구역에서의 유속은 0.08 m/sec 이하가 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침전지 유입부의 설계시에는 상기 설계기준만을 참조하여 설계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으로 보다 나은 대안을 도출하기 위한 분석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수치모형인 FLOW-3D를 이용하여 침전지의 유입부 설계를 위한 설계인자를 도출하였다. 특히 유공정류벽의 크기, 위치 유공율에 따라서 유입하수의 수리적인 특성을 3차원적으로 분석하였다. 저류벽의 위치에 따른 유량의 분배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저류벽의 폭, W를 2.4 m로 고정하고 유입부에서 저류벽까지의 거리, L을 1.5 m, 2.0 m, 2.5 m로 변화시키며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저류벽의 폭에 따른 유량의 분배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L을 고정하고 W를 변화시키며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유공정류벽의 유공율에 따른 유량의 연직 분배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유공율을 변화시키며 연직위치별 통과유량을 산정하였다 각 모의조건에 대한 통과유량 산정결과, 유공율이 $7\%$일때 통과유량의 표준편차가 가장 작게 발생하며, 유공율이 $7\%$보다 감소하거나 증가하면 표준편차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 CFD모형인 FLOW-3D를 계획 중인 하수처리장의 침전지 유입부 설계에 적용하였으며 저류벽의 위치와 폭, 유공정류벽의 유공율에 따른 유입하수의 분배효과를 분석하였다. 실험을 수행하여 보다 정밀한 공식으로 개선할 수 있었다.$10,924m^3/s$ 및 $10,075m^3/s$로서 실험 I의 $2,757m^3/s$에 비해 통수능이 많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함을 알 수 있다. 상수관로 설계 기준에서는 관로내 수압을 $1.5\~4.0kg/cm^2$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6kg/cm^2$보다 과수압을 나타내는 경우가 $100\%$로 밸브를 개방하였을 때보다 $60\%,\;80\%$ 개방하였을 때가 더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므로 대상지역의 밸브 개폐는 $100\%$ 개방하는 것이 선계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밸브 개폐에 따른 수압 변화를 모의한 결과 밸브 개폐도를 적절히 유지하여 필요수량의 확보 및 누수방지대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Ro(mm)=Ro_{10}{\times}0.797{\times}e^{-0.021s(\%)}$로 나타났다.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수술적 교정을 해줌으로써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특히 교사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해방적 행동에 대한 목표를 강조

  • PDF

Population Pharmacokinetics of Cyclosporine afte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Leukemic Patients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한국 성인 백혈병환자에서 cyclosporine의 집단약동학 분석)

  • Kim, Seung-Hee;Kim, Kyung-Im;Yun, Hwi-yeol;Kang, Won-Ku;Yoon, Sung-Soo;Shin, Wan-Gyoon;Lee, Hye-Suk;Oh, Jung-Mi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 /
    • v.20 no.1
    • /
    • pp.9-16
    • /
    • 2010
  • Purpose: 본 연구는 한국인 성인 조혈모세포이식환자를 대상으로 경구용 사이클로스포린의 집단약동학 분석을 통하여 사이클로스포린의 약동학적 파라미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Methods: 2000년 12월부터 2006년 8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을 받고 면역억제제로 사이클로스포린을 복용한 성인 백혈병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사이클로스포린의 약동학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연령, 성별, 이식 후 날짜, 신기능, 공여자와의 관계, 질병의 종류, 혈중 빌리루빈 농도, 사이클로스포린의 대사를 유도하는 프레드니솔론의 투여량, 헤마토크리트, 사이클로스포린의 대사를 저해하는 약물의 병용여부 등을 검토하였다. 분석은 NONMEM$^{(R)}$ VI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변수를 추가하지 않은 기본 모형을 만든 후에 단계적인 요인의 추가와 제거를 통해 최종모형을 제작하였다. Results: 최종 상관 모형은 다음과 같다; CL/F (L/h) = $85.6{\times}e^{(0.646\;{\times}\;HCT/28.9\;+\;0.0464\;{\times}\;Gender)}$. 사이클로스포린의 겉보기 클리어런스는 환자의 성별이 남자일 때 또는 헤마토크릿이 감소할수록 증가하였다. 그 외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이 계산되었다; $K_{\alpha}=0.0787\;(h^{-1})$; Q=57.1(L/kg/h); $V_{d-central\;compartment}$=1,100 (L); $V_{d-peripheral\;compartment}$ = 213,000(L). 개체간 편차는 40% 미만이었으며, 개체내 편차를 포함하는 잔차는 24.02%였다. Conclusions: 사이클로스포린의 약동학적 특징과 그 클리어런스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임상적 요인을 이해하는 것은 환자 개개인의 용량과 용법의 결정 및 이상반응 발생의 예방에 유용할 수 있다. 한국인 조혈모세포이식환자에서 사이클로스포린의 약동학에 영향을 미치는 최종 파라미터를 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한국인 성인환자에서 사이클로스포린의 모니터링 및 용량조절에 유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Construction of integrated DB for domestic water-cycle system and short-term prediction model (생활용수 물순환 계통 통합 DB 및 단기예측모형 구축)

  • Seungyeon Lee;Sangeu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62-362
    • /
    • 2023
  • 한정된 수자원의 이용 및 관리로 매년 물 부족과 물 배분 의사결정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50년간(1965~2014년) 수자원의 총량은 약 1.2배 증가한 반면 인구수 약 1.8배, 생·공·농업용수의 수요는 약 5배가 증가(국회입법조사처, 2018) 했을 뿐 아니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한 강수량의 변화와 지역별 편차가 커져 지속가능한 물관리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물관리를 위해서는 관리부처가 분절되어 있는 물순환 계통의 데이터를 통합하는 것이 우선시되어야 하고 이를 통해 물순환 모니터링/평가/예측 기술을 개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용수 물순환 계통 통합 DB를 정의 및 구축하였다. 도시의 관점에서 물순환 시스템을 순차적으로 물 유입(수원~취수장)/전달(정수장~급수지역)/유출(하(폐)수처리장~방류구)의 개념으로 설정하고 DB정의서를 마련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가뭄이 장기화가 되고 있는 전라남도중 물순환 계통이 비교적 단순한 네트워크로 형성되어 있는 함평군 도시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기간은 총 5년(2017년 1월 1일~2021년 12월 31일)이고 일 단위 실계측자료 위주의 원자료를 구축하였다. 이를 이상치 탐지, 제거, 대체의 과정을 거쳐 품질 보정하고 정제된 시계열 자료에 대한 특성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물순환 계통 내 주요 지점 간의 상관관계 및 지연시간을 통한 물흐름의 시계열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모형의 적합도를 판단하는 데 활용되는 통계량과 유의미하지 않은 잔차의 자기상관성을 볼 때 물 유입-전달-유출의 단기 예측을 위한 ARIMA(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모형의 구축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만 여름철 발생하는 방류량의 첨두값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강우에 의한 불명수 발생으로 증가하는 방류량을 묘사할 수있어야 하므로 향후에는 물순환계통 외 해당 지역의 불명수(강우 효과)도 하수 방류량의 주요 입력 요인으로 추가 검토할 필요가 있다.

  • PDF

Time-split Mixing Model for Analysis of 2D Advection-Dispersion in Open Channels (개수로에서 2차원 이송-분산 해석을 위한 시간분리 혼합 모형)

  • Jung, Youngjai;Seo, Il W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2
    • /
    • pp.495-506
    • /
    • 2013
  • This study developed the Time-split Mixing Model (TMM) which can represent the pollutant mixing process on a three-dimensional open channel through constructing the conceptual model based on Taylor's assumption (1954) that the shear flow dispersion is the result of combination of shear advection and diffusion by turbulence. The developed model splits the 2-D mixing process into longitudinal mixing and transverse mixing, and it represents the 2-D advection-dispersion by the repetitive calculation of concentration separation by the vertical non-uniformity of flow velocity and then vertical mixing by turbulent diffusion sequentially. The simula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posed model explains the effect of concentration overlapping by boundary walls, and the simulated concentration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e analytical solution of the 2-D advection-dispersion equation in Taylor period (Chatwin, 1970). The proposed model could explain the correlation between hydraulic factors and the dispersion coefficient to provide the physical insight about the dispersion behavior. The longitudinal dispersion coefficient calculated by the TMM varied with the mixing time unlike the constant value suggested by Elder (1959), whereas the transverse dispersion coefficient was similar with the coefficient evaluated by experiments of Sayre and Chang (1968), Fischer et al. (1979).

The Effectiveness Evaluation of Reconstruction Method Using DFOV Position Changes for Reduction of Artifact Around Hotspot in PET/CT Images (PET/CT 검사에서 열소 주변 인공물 감소를 위한 DFOV 위치 변화 재구성 방법의 유용성 평가)

  • Han, Dong Chan;Hong, Gun Chul;Choi, Choon ki;Lee, Hyeok;Choi, Seong Wook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Technology
    • /
    • v.17 no.2
    • /
    • pp.90-94
    • /
    • 2013
  • Purpose: In the PET/CT images, various artifacts cause degradation of the quantitative assessment. Most hotspot generated by radiopharmaceutical injection errors cause an artifact and degrade the quality of the images as well as the accuracy of the quantitative eval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effectiveness of the elimination of the hotspot at the injection sites using shifting the center of DFOV (Display Field of View, DFOV) method and evaluate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result. Materials and Methods: GE Discovery STE 16 (GE Healthcare, Milwaukee, USA) and 1994 NEMA phantom were used for imaging acquisition. Phantom was filled with 0.005 MBq/mL of $^{18}F-FDG$. A hotspot was artificially placed on the outside of the phantom. The ratio of hotspot area activity to background area activity was regulated as 200:1. After image acquisition with routine protocol, all of the images were reconstructed using the shifting the center of DFOV method that wasn't overlapped with hotspot. Those images obtained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shifting reconstruction method were compared. ROIs (Region Of Interests) were set in the hotspot areas, meanSUV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calculated. Percentage differences were calculated with those meanSUVs and standard deviations. The evaluation on the effects of the shifting reconstruction method was done by comparison of the meanSUVs and the standard deviations, which were calculated for background areas unaffected by hotspot. Results: In the areas of unaffected by hotspot, meanSUVs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shifting of center of DFOV method were $0.67{\pm}0.06g/mL$ and $0.65{\pm}0.06g/mL$, respectively. In the artifact areas affected by hotspot, meanSUVs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shifting of center of DFOV method were $0.32{\pm}0.08g/mL$ and $0.56{\pm}0.12g/mL$, respectively. The percentage differences of the area adjacent to the hotspot and the area distant from the hotspot were 65.3% and 97.4%, respectively. Conclusion: In the PET/CT images, meanSUV was improved by 32.1% when the effect of artifact was removed with application of the shifting the center of DFOV methode. In other areas unaffected by artifacts, meanSUV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fter applying DFOV center shift method. As shown in the result, adverse effects of hotspot made by swelling in the injection site can be reduced by applying DFOV center shift method. Therefore, DFOV center shift method can be applied for the more precise quantitative evaluation, and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the diagnostic value of the images.

  • PDF

Simulation of soil moisture on Youngdam Dam basin using K-DRUM (K-DRUM 모형을 이용한 용담댐 유역의 토양수분 변화 모의)

  • Hur, Young Teck;Lim, Kwang Suop;Park, Jin Hyeog;Park, Gu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81-281
    • /
    • 2016
  •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학적 자연재해로부터 대비하고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위해 유역의 다양한 수문 요소들에 대한 분석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계절적 강수량의 편차가 큰 우리나라는 유역 통합 물관리가 중요하며, 효율적 수자원 관리와 물안보 확보를 위해 유역내 물순환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역의 유출을 결정하는 요소들에는 강우, 증발산량, 토양 수분 및 지하수 등이 있으며, 시간적으로는 홍수와 같이 단기에 발생하는 유출과 장기적으로 발생하는 유출이 있다. 장기 유출은 단기 유출에 비해 토양내 수분량이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1년 이상의 장기 유출 해석을 위해서는 강우가 발생하지 않는 기간 동안의 토양 수분량 변화와 증발산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K-water에서 자체 개발된 분포형 장단기유출 모델인 K-DRUM은 유역을 격자(grid)단위로 구분하고 각 셀들에 대한 매개변수는 흐름방향도, 표고분포도, 토지이용도, 토지피복도 등을 GIS처리하여 일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매개변수 산정과정에서 문제가 되는 경험적인 요인을 제거하였다. 흐름의 구분은 얕은면 흐름, 지표하 흐름, 지하수 흐름으로 구분하여 운동파법과 선형저류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초기 토양함수 자동보정기법으로 실제의 기저유출량을 재현하여 전체적인 유출모의 정확도를 높였으며, FAO-56 Penman-Monteith법을 적용한 증발산량 산정모듈과 Sugawara et al.(1984)이 제안한 개념적 융설 및 적설모듈을 추가하였다. K-DRUM모형을 이용한 유출분석은 용담댐 시험유역을 대상으로 2013년도 1년간의 유출모의를 수행하였다. 입력자료는 용담댐 유역의 지형, 토양 및 토지특성 정보와 시단위 강우 및 기상정보(온도, 바람, 일사 등)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총 관측유출량은 7,151 ㎥/s이고 총 계산유출량 $8,257m^3/s$이며, 관측유출량 대비 계산유출량은 약 115% 정도로 나타났다. 연간 총 강우량은 1303.5 mm로 유역면적 약 $930km^2$을 적용하여 유역 총 강우량을 산정하면 $14,030m^3/s$로서 관측유출량은 유역 총 강우량 대비 51%이고 계산유출량은 59% 정도로 나타났다. 즉 유역 유출율은 약 51% 수준으로 보통의 유역과 유사한 수준이다. 관측된 토양수분량과 K-DRUM 모형의 계산된 토양수분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관측 토양수분량의 비율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모의결과 토양수분은 강우에 의해 변화하며, 관측결과와 유사한 형태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Validation of the rainfall-runoff ratio of the Namgang Dam flood inflow using physically-based runoff model for upstream residual basin (댐상류 잔유역의 물리기반 유출모형을 이용한 남강댐 유입홍수 유츌률 검증)

  • Lee, Jun;Hong, Sug-Hyeon;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08-308
    • /
    • 2021
  • 다목적댐의 홍수조절운영에 있어서 댐유입량은 직접 관측의 어려움과 오차로 인해 정확한 유량을 산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남강댐 유역의 경우 유역면적대비 과소한 저수용량으로 말미암아 급격한 홍수유입이 발생할 경우 유출률이 비정상적 수치를 보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기반의 격자형 유출모형을 댐 직상류 잔유역에 적용하여 유출률을 산정 후 남강댐 계측유입량의 타당성을 간접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댐유역에서 잔유역은 직상류 수위표지점 하류의 유역을 일컬으며, 이들 수위표지점에서 홍수시의 배수영향은 최소화될 만큼 이격되어 있고, 댐체 혹은 취수탑에 부착된 수위표와는 달리 기계적 진동의 영향이 최소화되어 있다고 가정한다면, 수위계측지점의 유량을 경계조건으로 활용하여 작은 면적에 대한 정밀한 수문학적 유출모델링을 통하여 비교적 신뢰성있는 유출값을 추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남강댐 잔유역은 유역 내 산청, 신안, 창촌 수위관측소를 기준으로 상류의 유역을 제외한 부분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10m 격자에 대하여 모든 입력자료를 가공하였으며, 입력자료 중 지형자료는 WAMIS에서 제공한 DEM, 토지피복도, 토양도를 활용하였다. 강우자료는 유역 내 위치한 25개 강우관측소의 시단위 강우자료를 활용하였고, 강우사상은 진주 기상관측소의 일우량 100mm 이상을 기준으로 총 8개의 강우사상을 선정하였다. 남강댐 유역의 유출률을 산정하기 위해 산청, 창촌, 신안 등 3개의 수위관측소의 관측유량을 경계조건으로 사용하였고, 모의된 수문곡선의 총유량과 첨두유량을 관측값과 비교하였다. 유출률을 산정하기 위한 기준시간은 강우시작부터 강우종료 후 48시간으로 설정하였다. 유출률은 강우사상별로 편차가 심한 특성을 보이고 있었으며, 전체적으로는 계측유량기준 106~39.1%의 유출률이 보정된 유량을 통해서는 85~33%의 유출률로서 계측유량이 전반적으로 과대추정 되는 경향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중 2010년 7월 강우사상은 관측 유입량 기준 95.6%의 유출률을 보여, 추정유량 58.5%대비 상당한 과대추정 경향을 보인 사례로 판단할 수 있었다. 수문학적 유입량 추정방법은 현장계측을 대체할 수 있는 기법으로는 무리가 있으나 현장계측의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는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ignificance Analysis of Facility Fires Though Spatial Econometrics Assessment (공간계량분석 방법에 따른 시설물 화재 발생 유의성 분석)

  • Seo, Min Song;Yoo, Hwan 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8 no.3
    • /
    • pp.281-293
    • /
    • 2020
  • Recently, large and small fires have been happening more often in Korea. Fire is one of the most frequent disasters along with traffic accidents in korean cities, and this frequency is closely related to the land use and the type of facilitie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fires was analyzed by considering land use, facility types, human and social factors and using 10 years of fire data in Jinju city. Based on this, OLS (Ordinary Least Square) regression analysis, SLM (Spatial Lag Model) and SEM (Spatial Error Model) using space weigh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considering the location of the fire and each factor, then a statistical model with high suitability was presented. As a result, LISA analysis of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fires in Jinju city was conducted, and it was proved that the frequency of fires was high in the order as follow, central commercial area, industrial area and residential are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integrating demographic, social, and physical variables. Therefore, the three model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applying spatial weighting to the derived factors. As a result of the significance test, the spatial error model was analyzed to be the most significant. The facilities that have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fire occurrence were second type neighborhood facilities, followed by detached house, first type neighborhood facilities, number of households, and sales fac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significant data to identify factors and manage fire safety in urban areas. Also,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andard deviation ellipsoi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each facility in the residential area, industrial area, and central commercial area among the use areas were analyzed. In, the second type neighborhood facility with the highest fire risk was concentrated in the center.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expected to be used as useful data for identifying factors and managing fire safety in urban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