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의 생물학적 모형

Search Result 4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alysis of Physical Disturbance and Habitat Suitabil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table Channel Design (안정하도 설계에 따른 물리적 교란과 서식처 특성 분석)

  • Lee, Woong Hee;Choi, He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8-8
    • /
    • 2017
  • 본 연구는 원주천 16 km 구간을 대상으로 안정하도 설계에 따른 하상의 변동과 그에 따른 물리적 생물학적 교란 영향을 분석하였다. 안정하도 설계를 위한 방법으로 구간별 안정경사관계곡선을 도출하였으며, 현재 하도의 구간별 경사와 비교하여 안정/불안정을 판단하였다. 원주천 대상구간은 총 20개구간 중 17개 구간이 안정한 하상경사로 나타났으며, 하류부 2개 지점과 상류부 1개 지점에서 불안정 경사로 나타났다. 불안정 구간의 안정하도 설계를 위한 방법으로는 하천시설물의 도입을 통한 하상변동의 유도로 안정경사를 설계하는 방법과 하도의 준설과 하상보호공의 설치에 따른 안정경사 설계 방법을 이용하였다. 하천시설물의 도입을 통한 안정하도 설계의 경우 2개의 구간에서 추가적인 안정하도의 설계로 총 19개 구간이 안정하도로 설계되었으며, 하도의 준설과 하상보호공의 설치에 따른 안정하도 설계의 경우 20개 구간 전부에서 안정경사로 설계되었다. 아울러 안정하도 설계에 따른 하천의 물리적 생물학적 교란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 결과와 물리서식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PHABSIM 모형을 이용하여 원주천의 최우점종인 참갈겨니를 대상으로 평수량에 대한 서식적합도 (HS, habitat suitability)와 가중가용면적 (WUA, weighted usable area)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현재 상태와 5년의 하상변동 모의 후의 평가 분석결과를 하천시설물 도입과 하도의 준설에 따른 5년경과 후의 예측평가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하천시설물의 도입에 따른 안정하도 설계의 경우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 결과는 현재상태보다 소폭 개선되었으며, 물리서식처는 현재상태 보다는 감소하나, 현재의 5년경과 후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하도준설과 하상보호공의 설치에 따른 안정하도 설계의 경우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 결과는 미약하게 감소하였다. 물리서식처는 현재상태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현재의 5년경과 후 보다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안정하도 평가와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 및 물리서식처 분석을 통한 하천의 안정성과 건강성 증대 방안을 도출하였다.

  • PDF

Impact of Water Temperature Fluctuation due to Hydropeaking on the Downstream (발전방류로 인한 수온의 변동이 하류하천에 미치는 영향 분석)

  • Choi, Byungwoong;Choi, Su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18-122
    • /
    • 2016
  • 하천은 하천에 서식하는 동 식물뿐만 아니라 인간에게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인간의 활동과 산업화에 의해 많은 인위적인 교란을 받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수자원의 이용/발전에 의해 건설된 댐과 저수지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댐과 저수지는 하천 상 하류간의 생태학적 단절을 초래하여 생물 서식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하류하천에 서식하는 생물들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건설되는 실정이다. 특히, 발전방류로 인한 급격한 유량의 변화와 온도의 변화는 댐 하류하천의 수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댐에서의 온도 차이를 가지는 방류로 인해 국내에서의 운문댐, 보령댐 등 일부 댐에서는 벼 수확량 감소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댐 발전방류로 인한 수온의 변동이 하류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발전방류로 인한 하류하천의 수리분석과 수온 변화를 모의하기 위하여 CMS-Flow 모형을 사용하였다. 괴산댐 하류에 위치한 달천의 2.3 km구간을 대상구간으로 하였으며, 달천 상류에 위치한 괴산댐은 빈번하게 발전방류를 발생시키고 있다. 발전방류로 인한 수온의 변동이 하류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1년 동안의 발전방류 조건에 대하여 모의를 수행하였다. 봄, 여름, 가을, 겨울 총 4계절로 구분하여 발전방류로 인한 수온의 변동이 미치는 범위를 거리에 따라 분석하였을 때, 봄은 1.73 km, 여름은 1.92 km, 가을은 1.74 km, 겨울은 2.01 km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류되는 수온과 하류하천의 수온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여름과 겨울의 경우가 봄과 가을에 비해 영향을 미치는 범위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댐 발전방류로 인한 하류하천의 수온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댐 하류하천에서 서식하는 생물들을 고려한 댐 운용 계획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Bioeconomic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Marine Protected Area (MPA) (MPA 효과에 대한 생물경제학적 분석)

  • Kim, Dohoo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3 no.4
    • /
    • pp.657-684
    • /
    • 2004
  • This study is a theoretical bioeconomic analys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Marine Protected Area (MPA) implemented in different stock spatial distributions: Closed System, Source-Sink System, and Density-dependent System. In the analysis, an economic impact of vessel activities is also included and a joint effectiveness of MPA and input control is investigated as well.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otal fisheries stocks are increased in all systems. However, total harvests are decreased when MPA is implemented in the closed system and in the sink patch of source-sink system. On the contrary, total harvests ar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rate of stock migration and the level of fisheries stocks in the source patch of source-sink system and in the density-dependent system. Specifically, total harvests are increased more significantly as the rate of migration increases and the level of stock increases higher. In addition, the increase in fishing efforts is restricted due to the increase in fishing cost. Therefore, fishing efforts could not be increased greatly in the fishable area. When input control is combined with MPA, the total stocks could be more increased.

  • PDF

Contribution assessment of each pollutant source to total loads using delivery characteristics (오염물질 유달 특성을 이용한 오염원별 기여도 평가)

  • Kim, Chul-Gyum;Kim, Nam-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991-995
    • /
    • 2010
  • 충주댐 유역을 대상으로, SWAT-K 모형의 적용을 통해 신뢰성 있는 장기간의 유량 및 수질모의자료를 기반으로 오염물질의 거동 특성을 파악하는 한편, 각 하천구간내 오염물질의 침식과 퇴적, 생물학적 변환 및 자정작용 등을 고려한 하천구간별 유달율을 산정하였으며, 각 하천구간별 유달 특성을 이용하여 점원 비점원에 의한 배출부하량 및 토지이용별(논 밭 산림) 배출부하량이 유역 하류측 충주댐 지점에서의 총 유달부하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오염원별 기여도 분석 결과, 전체 유사량의 84%, 총질소의 93%, 총인인 92% 정도가 비점오염원에 의한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토지이용별로는 유사나 총인은 밭의 기여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총질소는 유역내 면적비중이 큰 산림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ensitivity Analysis of JULES Land Surface Model for Two Major Ecosystems in Korea: Influence of Biophysical Parameters on the Simulation of Gross Primary Productivity and Ecosystem Respiration (한국의 두 주요 생태계에 대한 JULES 지면 모형의 민감도 분석: 일차생산량과 생태계 호흡의 모사에 미치는 생물리모수의 영향)

  • Jang, Ji-Hyeon;Hong, Jin-Kyu;Byun, Young-Hwa;Kwon, Hyo-Jung;Chae, Nam-Yi;Lim, Jong-Hwan;Kim, Joo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2 no.2
    • /
    • pp.107-121
    • /
    • 2010
  • We conducted a sensitivity test of Joint UK Land Environment Simulator (JULES), in which the influence of biophysical parameters on the simulation of gross primary productivity (GPP) and ecosystem respiration (RE) was investigated for two typical ecosystems in Korea. For this test, we employed the whole-year observation of eddy-covariance fluxes measured in 2006 at two KoFlux sites: (1) a deciduous forest in complex terrain in Gwangneung and (2) a farmland with heterogeneous mosaic patches in Haenam. Our analysis showed that the simulated GPP was most sensitive to the maximum rate of RuBP carboxylation and leaf nitrogen concentration for both ecosystems. RE was sensitive to wood biomass parameter for the deciduous forest in Gwangneung. For the mixed farmland in Haenam, however, RE was most sensitive to the maximum rate of RuBP carboxylation and leaf nitrogen concentration like the simulated GPP. For both sites, the JULES model overestimated both GPP and RE when the default values of input parameters were adopted.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leaf nitrogen concentration observed at the deciduous forest site was only about 60% of its default value, the significant portion of the model's overestimation can be attributed to such a discrepancy in the input parameters. Our finding demonstrates that the abovementioned key biophysical parameters of the two ecosystems should be evaluated carefully prior to any simulation and interpretation of ecosystem carbon exchange in Korea.

Selection of Optimal Models for Predicting the Distribution of Invasive Alien Plants Species (IAPS) in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s (산림생태계 보호구역에서 외래식물 분포 예측을 위한 최적 모형의 선발)

  • Lim, Chi-hong;Jung, Song-hie;Jung, Su-young;Kim, Nam-shin;Cho, Yong-cha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4 no.6
    • /
    • pp.589-600
    • /
    • 2020
  • Effectiv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protected areas require monitoring the settlement of invasive alien species and reducing their dispersion capacity. We simulated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invasive alien plant species (IAPS) using three representative species distribution models (Bioclim, GLM, and MaxEnt) based on the IAPS distribution in the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2,274ha) in Uljin-gun, Korea. We then selected the realistic and suitable species distribution model that reflects the local region and ecological management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s. The simulation predicted the tendency of the IAPS distributed along the linear landscape elements, such as roads, and including some forest harvested area. The statistical comparison of the prediction and accuracy of each model tested in this study showed that the GLM and MaxEnt models generally had high performance and accuracy compared to the Bioclim model. The Bioclim model calculated the largest potential distribution area, followed by GLM and MaxEnt in that order. The Phenomenological review of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sample size more significantly affected the GLM and Bioclim models, while the MaxEnt model was the most consistent regardless of the sample size. The optimal model overall for predicting the distribution of IAPS among the three models was the MaxEnt model. The model selection approach based on detailed flora distribution data presen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efficiently managing the conservation areas and identifying the realistic and precise species distribution model reflecting local characteristics.

Advection and Diffusion of Pollutant Inflow of Freshwater in Masan Bay (마산만에서의 담수 유입시 오염물의 이송 및 확산)

  • Yoo, Mim-Wook;Kim, Young-Do;Lyu, Si-Wan;Seo, Il-Wo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795-798
    • /
    • 2008
  • An estuary is very important that the seawater and the freshwater meet and they formed wide foreshore and estuarine which is used as the habitat of various living thing and spawning bed of fish. Masan bay is typical closing bay in Korea. It is located 9 km from the open sea and most inside of Jinhae bay. The width of bay entrance is less than 1 km, where the flow velocity is very low. The large scale industrial complex of Masan bay is located in near Masan and Changwon city whose population is about 100 million. Because of low tidal velocity, the pollutants from the land are accumulated, which makes the water quality worse in Masan b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ous hydraulic characteristics using RMA-2 model. The advection and diffusion of pollutant is also simulated using RMA-4 model according to the inflow of Changwon-stream and Nam-stream. The hydraulic simulations include the effect of tide which can be characterized by the tide data of Masan bay tide observatory.

  • PDF

Estimation of ecological flow and fish habitats for AndongDam downstream using 1-D and 2-D physical habitat models (1차원 및 2차원 물리서식처 모형을 활용한 안동댐 하류하천의 환경생태유량 및 어류서식처 추정)

  • Kim, Yong Won;Woo, So Young;Kim, Soo Hong;Lee, Jong Jin;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53-53
    • /
    • 2022
  • 본 연구는 낙동강 상류에 위치한 안동댐 하류(4,565.7 km2)를 대상으로 1차원 물리적 서식처모형인 PHABSIM(Physical Habitat Simulation System)과 2차원 물리적 서식처 모형인 River2D를 이용하여 대표어종인 피라미에 대해 환경생태유량과 어류서식처 면적을 산정하였다. 두 모형의 구축을 위해 낙동강 하천기본계획보고서(2009)를 수집하여 하천단면과 수리학적 자료를 두 서식처모형에 적용하였다. 유속과 수위자료의 경우, 낙동강수문조사연보와 검보정된 HEC-RAS를 활용하여 갈수량 Q355(10.95 m3/sec)와 평수량 Q185(41.72 m3/sec)에서의 유속과 수위를 생성하여 적용하였다. 대표어종 선정을 위해 총 4회에 걸쳐 현장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한 어종들에 대해 상대풍부도와 출현 개체수 분석결과 54.2%의 상대풍부도와 총 110개의 개체수를 나타낸 피라미(Z acco platypus)를 대표어종으로 선정하였다. 서식처 적합도 지수 HSI(Habitat Suitability Index)는 피라미 출현시기의 수심(Depth), 유속(Velocity) 그리고 하상재료(Substrate)를 조사하여 적립하였으며 수심은 0.4~0.6 m, 유속은 0.3~0.5 m/s, 하상재료는 모래(2.0 mm)~잔자갈(16.0 mm)일 때 HSI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PHABSIM을 이용하여 피라미에 대해 최적 환경생태유량 산정결과 20.0 m3/sec로 산정되었고, 모의한 30개 유량에 대해 평균 어류서식처 면적은31,905.3 m2/1,000m로 산정되었다. PHABSIM으로 산정된 환경생태유량과 River2D를 이용하여 하천유량이 Q355와 환경생태유량일 때의 공간분석을 실시하였다. Q355와 비교하여 환경생태유량일 때 유속과 수심 HSI에 대한 공간분포와 어류서식처 면적 또한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Study on Impact of Cost Changes in Fishery Using Comparative Static and Dynamic Approach (비교 정태·동태 분석을 이용한 수산물 비용변화의 영향에 관한 연구)

  • Choi, Jong Du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2 no.2
    • /
    • pp.299-325
    • /
    • 2003
  • This study uses Conrad's model(nominal fishing effort) of a fishery to analyze theoretically the effects of cost changes on fishing effort, harvest level, and stock size. Static and dynamic open access effects are also modeled present value maximizing scenarios through simulations, and compared an extended model, Cunningham's model(diminishing fishing effort). Results show that an increase in the unit cost of effort goes up the fish stock in static open access, but open access dynamics shows the exhaustion of fish stock as the unit cost of effort decreases. In conclusion, we can derive the optimal equilibrium of resource, given conditions and parameters, as well as utilize this comparative statics to efficient fishery management.

  • PDF

The Advanced Bias Correction Method based on Quantile Mapping for Long-Range Ensemble Climate Prediction for Improved Applicability in the Agriculture Field (농업적 활용성 제고를 위한 분위사상법 기반의 앙상블 장기기후예측자료 보정방법 개선연구)

  • Jo, Sera;Lee, Joonlee;Shim, Kyo Moon;Ahn, Joong-Bae;Hur, Jina;Kim, Yong Seok;Choi, Won Jun;Kang, Mingu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4 no.3
    • /
    • pp.155-163
    • /
    • 2022
  • The optimization of long-range ensemble climate prediction for rice phenology model with advanced bias correction method is conducted. The daily long-range forecast(6-month) of mean/ minimum/maximum temperature and observation of January to October during 1991-2021 is collected for rice phenology prediction.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buffer period" is newly introduced to reduce the problem after bias correction by quantile mapping with constructing the transfer function by month, which evokes the discontinuity at the borders of each month. The four experiments with different lengths of buffer periods(5, 10, 15, 20 days) are implemented, and the best combinations of buffer periods are selected per month and variable.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root mean square error(RMSE) of temperatures decreases in the range of 4.51 to 15.37%. Furthermore, this improvement of climatic variables quality is linked to the performance of the rice phenology model, thereby reducing RMSE in every rice phenology step at more than 75~100% of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stations. Our results indicate the possibility and added values of interdisciplinary study between atmospheric and agriculture sci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