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의분석(M&S)

Search Result 26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Estimating Characteristic Data of Target Acquisition Systems for Simulation Analysis (모의 분석을 위한 표적 획득 체계의 특성 데이터 산출)

  • Tae Yoon Kim;Sang Woo Han;Seung Man Kw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32 no.1
    • /
    • pp.45-54
    • /
    • 2023
  • Under combat simulation environment when inputting the detection performance data of the real system into the simulated object the given data affects the simulation analysis result. ACQUIRE-Target Task Performance Metric (TTPM)-Target Angular Size (TAS) model is used as a target acquisition model to simulate the detection ability of entities in the main combat simulation tool. This model estimates the decomposition curve of the object sensor and output the detection distance according to the target type. However, it is not easy to apply the performance of the new detection object that the user wants to input to the target acquisition model. Users want to input the detection distance into the target acquisition model, but the target acquisition model requires sensor decomposition curve data according to encounter condi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inversely deriving the sensor decomposition curve data of the target acquisition model by taking the detection distance to the target as an input. Here, the sensor decomposition curve data simultaneously satisfies each detection distance for three types of targets: personnel, ground vehicles, and aircraft. Finally, the detection distance of various reconnaissance equipment is applied to the detection object, and the detection effect according to the reconnaissance equipment is analyzed.

Minimum Velocity of Sewer Line (오수관의 최저유속)

  • Kim, Tae-Won;Park, Jong-Pyo;Lee, Kil-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184-1188
    • /
    • 2007
  • 하수관거는 장기간 사용에 의해 오염물질 퇴적 현상이 발생하여 관거 유하능력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관내 오염물질 제거 방법 중 관거 Flushing 방법을 적용하였을 경우, 유입유량, 유입시간, 관경사 변화에 따른 유속 및 수위 변화를 분석하여 하수관거 내 부유물질의 퇴적을 방지하기 위한 최소유속기준을 만족하는 관거 유하 길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관거 내의 수리학적 거동을 분석하기 위해서 SWMM 및 FLOW-3D 모형을 이용하여 관거 내 수리학적 거동 현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수리모형실험 자료를 이용하였다. $5\;{\textperthousand}$ 관경사에 대하여 유입유량 $0.16\;m^3/min$을 3 분 동안 Flushing 하였을 경우 최대유속은 0.58 m/s로 최소유속 0.6 m/s를 만족하는 관의 누가거리는 확보할 수 없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또한 관경사가 증가함에 따라서 최대유속 및 최대유량도 증가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관 내 부유물질의 퇴적을 방지하기 위해 Flushing 방법을 수행하였을 경우, 보다 효과적이며 경제적으로 Flushing 방법을 수행할 수는 설계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Information Process Model in C4ISR Effectiveness Analysis Model DNS (C4ISR효과분석모델 DNS의 정보처리모델 개선 방안 연구)

  • Lee, Kwang-Myoung;Hong, Yoon-Ge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4
    • /
    • pp.1822-1829
    • /
    • 2012
  • In this research, we developed the Information Circulation Model(ICM)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Information Process Model(IPM) in DNS. This ICM is used to simulate some combat situations that could not be considered with the existing DNS. We showed that this improved ICM can be applied to simulation and analysis of a variety of interests compared with IPM in DNS. We expect this study could be a basic research for further development of C4ISR effectiveness analysis in our national defense community.

Effect of Areal Mean Rainfall Estimation Technique and Rainfall-Runoff Models on Flood Simulation in Samcheok Osipcheon(Riv.) Basin (면적 강우량 산정 기법과 강우-유출 모형이 삼척오십천 유역의 홍수 모의에 미치는 영향)

  • Lee, Hyeonji;Shin, Youngsub;Kang, Dongho;Kim, Byungsi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3 no.6
    • /
    • pp.775-784
    • /
    • 2023
  • In terms of flood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analyze quantitative rainfall and runoff from a spatial and temporal perspective and to analyze runoff for heavy rainfall events that are concentrate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simulation and analysis results of rainfall-runoff models vary depending on the type and input data. In particular, rainfall data is an important factor, so calculating areal mean rainfall is very important. In this study, the areal mean rainfall of the Samcheok Osipcheon(Riv.) watersheds located in the mountainous terrain was calculated using the Arithmetic Mean Method, Thiessen's Weighting Method, and the Isohyetal Method, and the rainfall-runoff results were compared by applying the distributional model S-RAT and the lumped model HEC-HMS. The results of the temporal transferability study showed that the combination of the distributional model and the Isohyetal Method had the best statistical performance with MAE of 64.62 m3/s, RMSE of 82.47 m3/s, and R2 and NSE of 0.9383 and 0.8547, respectively. It is considered that this study was properly analyzed because the peak flood volume occurrence time of the observed and simulated flows is within 1 hour.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frequency analysis in the future, which can be us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simulating peak flood volume and peak flood occurrence time in mountainous watersheds with steep slopes.

Analysis of Flow in the Pool of Fishway Using FLOW-3D Model (FLOW-3D 모형을 이용한 어도 Pool 내의 흐름 해석)

  • Jun, Kye-Won;An, Sang-Do;Lee, H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675-1678
    • /
    • 2008
  • 어류는 민감하기 때문에 최적화된 어도를 설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관찰, 수리모형시험과 같은 방법을 이용한 연구가 주를 이루어 왔다. 최근 들어 어도에 대한 기본 지식의 축적과 CFD 프로그램이 발전함에 따라 수치모의를 이용해 최적 어도를 설계하고자 하는 노력이 활발해 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적 어도 설계를 도모하기 위해서 어류의 휴식을 위해 설치되는 풀(pool) 내의 흐름해석을 수행하였다. 군남홍수조절지를 대상으로 설계도면을 분석하여 3차원으로 변환하여 구조물형상을 구축하였으며, FLOW-3D 모형을 이용하여 흐름을 해석하였다. 휴식 풀 내의 흐름을 모의한 결과 어도 내 월류 수심이 10cm 일 경우, 휴식 풀 내 유속은 풀 내 유입어도의 노치와 잠공부분에서 최대 유속이 0.4m/s로 나타났고, 국부적으로 집중된 유속에 의해 풀 내 순환류가 발생하나, 유속의 범위가 최대 0.15m/s를 넘지 않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 PDF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Monitoring System of Distributed Simulation for Underwater Warfare (수중 교전 모의를 위한 HLA/RTI 기반 시뮬레이션의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연구)

  • Hwam, Won K.;Chung, Yongho;Choi, Jong-Yeob;Park, Sang C.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2 no.2
    • /
    • pp.73-83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for the distributed simulation of underwater warfare. As importance of defense modeling and simulation(M&S) has raised, Simulation-Based Acquisition(SBA) was authorized for an obligatory process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weapon systems. Yet, it requires tremendous resources to develop a large-scale simulation system that describes complex and broad battlefields. Therefore, an approach of the distributed system was devised to develop a new simulation system combining legacy simulators that were developed for confined purpose and sole operations. High-Level Architecture(HLA) of distributed systems is a standardized protocol by IEEE for the distributed simulation system and Run-Time Infrastructure(RTI) is an implementation of HLA to structure efficient distributed systems.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rive appropriate monitoring factors for underwater warfare simulati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to analyze the factors based on HLA/RTI.

A study on the effect of turbulent motion on the external fertilization of sea urchin (난류 흐름이 성게의 체외수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Park, Hyoungchul;You, Hojung;Hwang, Jin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92-92
    • /
    • 2021
  • 체외수정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성게의 수정 과정은 성게 주변에서 형성되는 복잡한 난류 흐름의 영향을 받게 된다. 성게 몸체의 하류부에 형성되는 재순환 영역 (recirculation zone) 내에는 다양한 난류 와류 흐름이 존재하며, 이들은 성게 몸체에서 방출된 정자와 난자의 충돌을 일으키고 수정 과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즉, 성게의 수정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성게 주변의 흐름에 대한 유체역학적 관점에서의 분석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게 몸체에 의해 발생한 난류 흐름이 성게의 체외 수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상용 프로그램인 오픈폼 (OpenFaom)을 활용하여 수치 모의를 수행하였다. 성게 주변의 유동장은 LES (Large Eddy Simulation)을 기반으로 모의하였고, 정자와 난자의 확산 궤적은 라그랑지안 입자 추적 (Lagrangian Particle Tracking) 알고리즘을 통해 구현하였다. 총 5개의 유속 조건 (0.025 - 0.20 m/s) 에 대해 모의를 수행하였으며 정자와 난자 사이의 거리를 바탕으로 수정률을 산정하였다. 정자와 난자의 뭉쳐있거나 퍼져있는 공간적인 분포 형태는 Standardized Morisita 지수를 통해 수치적으로 표현하였으며 이들과 수정률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성게 수정은 유속 조건이 0.1 m/s일 때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성게 수정의 성공 여부는 크게 2가지 조건에 의해 결정되었다. 첫 번째로, Standardized Morisita 지수가 높을수록 다시 말해 생식세포들이 공간적으로 뭉쳐있어야 하며 두 번째는, 생식세포들을 충돌시킬 수 있는 원동력인 작은 와류가 존재해야 한다. 와류의 크기가 너무 크게 되면 생식세포들은 충돌하지 않고 확산만 되기 때문에 오히려 수정률이 감소하였다.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성게 몸체에 의해 형성된 재순환 영역이 수정과정에 있어 가장 지배적인 영역임을 확인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one-dimensional river storage model for mixing analysis of hazardous chemicals in rivers (하천에 유입된 유해화학물질 혼합해석을 위한 저장대모형 개발 및 적용)

  • Kim, Byunguk;Seo, Il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48-148
    • /
    • 2020
  • 산업의 고도화가 진행됨에 따라 화학원료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고 독성을 가진 화학물질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수환경으로 유입되는 유해화학물질은 주로 무색무취의 물질들로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초기 발견이 어려워 어류폐사를 유발하거나 취수시설에서 용수로 취수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필수적이다. 하천에 유입된 오염물질의 거동을 신속하게 예측하기 위해 1차원 오염물질 추적 모형이 활용되는데, Fickian 이송-분산 모형(Fickian Advection-dispersion equation model; FADE)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FADE는 오염물질이 하천 저장대에서 지체되는 현상을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농도곡선의 왜곡도를 구현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저장대모형(River Storage Model; RSM)을 개발하고 이를 국가하천인 감천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RSM은 분산계수, 본류대 면적, 저장대 면적, 저장대 교환계수의 네 가지 매개변수를 통해서 하천의 물질 저장 및 교환 특성를 구현한 non-Fickian 모형으로서, 생화학반응, 휘발, 흡·탈착항을 추가하여 유해화학물질의 혼합 거동을 정확하게 모의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저장대 모형의 매개변수를 산정하기 위해서 하천 유량과 지형자료를 기반으로 HEC-RAS를 모의하여 계산된 수리특성을 입력변수로 사용하였다. 저수기, 평수기, 풍수기 유량을 기준으로 세 경우의 시나리오 모의를 수행하였는데, 5ton의 톨루엔이 김천산업단지에서 감천으로 유입된 경우 약 20km 하류에 위치한 취수장에서 톨루엔의 농도변화를 예측했다. 보존성 물질에 대한 모의 결과, 풍수기의 경우 저수기에 비해 유속이 크기 때문에 취수장에서 20.56시간 먼저 기준농도에 도달하고, 7.21시간 더 짧게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해화학물질의 반응특성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시행한 결과, 생화학적 반감기가 18.98시간보다 길고, 옥탄올-물 분배계수가 2.267 이하인 물질은 생분해 및 흡·탈착 반응에 둔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1m 수심 기준 0.114m/s 이하 유속에서의 하천 수리조건에서는 화학물질의 휘발성을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Simulating Inflow to Busa Estuary Reservoir Considered Outflows from Boryeong Dam (보령호 방류량을 고려한 부사호 유입량 모의)

  • Noh, Jae-Kyoung;Lee, Jae-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68-368
    • /
    • 2012
  • 부사호는 당초 유역면적이 $288km^2$로 이 중에서 상류 유역에 건설된 보령댐 유역면적 $163.6km^2$(57%)가 제외됨에 따라 부사호로 유입량이 급격히 줄어들어 약간의 가뭄에도 수질악화가 반복되고 있다. 부사호의 합리적인 용수 수급 관리를 위해 정확한 부사호 유입량의 추정은 절실하다. 부사호 유입량은 보령호 방류량과 부사호 지류 유역 유입량으로 구성되며, 보령호 방류량은 소수력 발전용수, 관개용수, 하천유지용수, 홍수조절 방류량, 월류량으로 구성된다. 부사호 지류 유역으로부터 자연유량에서 하천에서 취수한 공업용수를 공급하고, 웅천읍의 생활용수 $1,164m^3$/일로부터 회귀수가 유입되고, 보령댐 수혜답 1039.5 ha에 관개용수를 공급하고 회귀수가 유입되고, 부사호에서 양수하여 공급한 부사 유역 수혜답 1,141 ha의 회귀수가 유입되고, 6개 저수지 수혜답 396.5 ha의 회귀수가 유입되는 등 지류 유입량의 구성은 매우 복잡하다. 하천에서 취수하여 공급하는 공업용수는 서해화력 5천 $m^3$/일, 보령화력 15천 $m^3$/일로 구성된다. ONE (One parameter New Exponential) 모형을 근간으로 유입량 모형을 구성하였고, 보령댐 자료로 매개변수를 결정하여, 1966~2011년의 부사호 일 유입량을 모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역면적 $124.4km^2$인 부사호의 지류 유입량과 보령댐 방류량을 고려한 부사호 유입량 자료로부터 유황을 분석한 결과는 연평균하여 풍수량은 2.1 mm/d, $3.083m^3/s$, 평수량은 0.89mm/d, $1.280m^3/s$, 저수량은 0.48 mm/d, $0.695m^3/s$, 갈수량은 0.30 mm/d, $0.428m^3/s$였으며, 연 유입량은 127.23백만 $m^3$에 이르렀다. 둘째, 유역면적 $288km^2$인 보령호 유역의 포함한 부사호의 자연 유입량 자료로부터 즉 보령댐이 없는 경우 유황을 분석한 결과는 연평균하여 풍수량은 1.4 mm/d, $4.599m^3/s$, 평수량은 0.51 mm/d, $1.689m^3/s$, 저수량은 0.20 mm/d, $0.664m^3/s$, 갈수량은 0.06 mm/d, $0.204m^3/s$, 연 유입량은 197.00백만 $m^3$에 이르렀다. 셋째, 보령호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유황을 비교하면 있는 경우에서 부사호의 유입량은 고수위의 유량은 감소하고, 저수위의 유량은 증가하는 전형적 상류에 위치한 댐의 저류효과 영향을 여실히 나타내고 있었다. 넷째, 한국하천 유황곡선식에 의한 유역면적 $288km^2$인 부사호 유입량의 풍수량은 1.29 mm/d, $4.292m^3/s$, 평수량은 0.59 mm/d, $1.964m^3/s$, 저수량은 0.33 mm/d, $1.093m^3/s$, 갈수량은 0.13mm/d, $0.424m^3$이르렀다. 결론하면, 보령댐이 있는 경우 연 유입량은 70백만 $m^3$ 감소하였으나, 평갈수기 유입량은 증가하였다.

  • PDF

Planning for Securing Instreamflow of Gapcheon Stream in Daejeon (대전 갑천의 유지유량 확보 방안)

  • Noh, Jae-Kyoung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 /
    • v.36 no.1
    • /
    • pp.87-98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increasing instream flow at Gapcheon stream of Daejeon city by considering two virtual reservoirs upstream, respectively; Geum-gok reservoir and Koe-gok reservoir upstream, respectively. The paralleled and cascaded reservoir operations were performed including the existing Jang-an and Bang-dong reservoir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from the Bang-dong and Geum-gok cascaded reservoir's water balance analysis, instream flow of $6.83Mm^3$ was able to be supplied to downstream, and water supply indexes of Geum-gok reservoir were analyzed to have the rate of water supply divided by watershed area of 403.4 mm, the rate of water supply divided by rainfall of 33.0 %, the rate of water supply divided by inflow of 96.4 %, the rate of water supply divided by storage capacity of 81.9 %, and the rate of inflow divided by storage capacity of 112.3 %. Secondly, from the Jang-an and Geum-gok paralleled reservoir's water balance analysis, flow durations at Gapcheon station were analyzed to have Q95 (the 95th high flow) of $4.806m^3/s$, Q185 (the 185th high flow) of $2.217m^3/s$, Q275 (the 275th high flow) of $1.140m^3/s$, and Q355 (the 355th high flow) of $0.887m^3/s$. Thirdly, inflow to Koe-gok reservoir was simulated including the Jang-an and Bang-dong paralleled reservoir's water balance analysis, instream flow of $49.60Mm^3$ was able to be supplied from Koe-gok reservoir to downstream, and water supply indexes of Koe-gok reservoir were analyzed to have the rate of water supply divided by watershed area of 246.5 mm, the rate of water supply divided by rainfall of 19.4 %, the rate of water supply divided by inflow of 40.8 %, the rate of water supply divided by storage capacity of 412.1 %, and the rate of inflow divided by storage capacity of 1,189.8 %. Fourthly, daily streamflows at Gapcheon stream were simulated including outflows from Koe-gok reservoir, flow durations at Gapcheon station were analyzed to have Q95 (the 95th high flow) of $4.501m^3/s$, Q185 (the 185th high flow) of $2.277m^3/s$, Q275 (the 275th high flow) of $1.743m^3/s$, and Q355 (the 355th high flow) of $1.564m^3/s$. The conclusion appeared that the effect of increasing instream flow at Gapcheon stream from Koe-gok reservoir was more higher than that from Geum-gok reservoi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