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의발생 월유출량

Search Result 7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the Stochastic Modeling for Stream Flow Generation (하천유량의 모의발생을 위한 추계학적 모형의 적용에 관한 연구)

  • Lee, Joo-H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 no.2 s.2
    • /
    • pp.115-121
    • /
    • 2001
  • The purpose of the synthetic generation of monthly river flows based on the short term observed data by means of stochastic models is to provide abundant input data to the water resources systems of which the system performance and operation policy are to be determined beforehand. In this study, a multivariate autoregressive model has been applied to generate monthly flows of the multi sites considering the correlations between each site. The model performance was examined using statistical comparisons between the historical and generated monthly series such as mean, variance, skewness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odeled generated flows were statistically similar to the historical flows.

  • PDF

A Long-Term Water Budget Analysis for an Ungaged River Baisn (미계측 유역의 장기 물수지 분석에 관한 연구)

  • Yoo, Keum Hwan;Kim, Tae Kyun;Yoon, Yong Nam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1 no.4
    • /
    • pp.113-119
    • /
    • 1991
  • In the present study, a methodology has been established for water budget analysis of a river basin for which monthyl rainfall and evaporation data are the only available hydrologic data. The monthly rainfall data were first converted into monthyl runoff data by an empirical formula from which long-term runoff data were generated by a stochastic generation mothod. Thomas-Fiering model. Based on the generated long-term data low flow frequency analysis was made for each of the oberved and generated data set, the low flow series of each data set being taken as the water supply for budget analysis. The water demands for various water utilization were projected according to the standard method and the net water consumption computed there of. With the runoff series of the driest year of each generated data set as an input water budget computation was made through the composite reservoirs comprised of small reserviors existing in the basin by deficit-supply method. The water deficit computed through the reservior operation study showed that the deficit radically increases as the return period of low flow becomes large. This indicates that the long-term runoff data generated by stochastic model are a necessity for a reliable water shortage forecasting to cope with the long-term water resourse planning of a river basin. F.E.M. program (ADINA) is also presented herein.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nge of CSOs in Urban Area according to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기후변화와 도시화에 따른 도시유역 발생에 CSOs 관한 비교연구)

  • Ryu, Seong-Su;Jun, Hwan-Don;Ryu, Gwan-Hyeoung;Kim, Min-Seok;Kim, Jo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25-129
    • /
    • 2008
  • 최근 국내외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기후변화와 도시화에 따른 기후특성의 변화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들은 주로 기후변화와 도시화의 영향으로 강수량이 증가하는 쪽으로 변화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강우특성의 변화는 필연적으로 유출의 특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며, 유출의 변화는 소규모 수공구조물의 안전성과 CSO 처리시설 등의 용량산정 등에 있어서 필히 검토되어야 하는 문제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현재 서울 기상청에 구축되어 있는 장기간의 실측 시강우자료(Data 1, 1961년-2006년 4-10월)와 특성변화가 진행되었다고 판단되는 1990년 이후의 강우자료(Data 2, 100년치 4-10월 모의 발생)를 이용하여 대상유역의 유출량 및 CSOs 발생량을 산정하였다. 모의강우에 의해 산정된 유출량 및 CSOs 발생량은 전기간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한 것보다 비초과확률 0.8, 0.5에 대하여 각각 $317.6{\times}10^3\;m^3$, $135.9{\times}10^3\;m^3$ 크게 산정되었으며, CSOs 발생량은 $176.9{\times}10^3\;m^3$, $72.3{\times}10^3\;m^3$ 크게 산정되었다.

  • PDF

The Forecasting of Monthly Runoff using Stocastic Simulation Technique (추계학적 모의발생기법을 이용한 월 유출 예측)

  • An, Sang-Jin;Lee, Jae-Gye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2
    • /
    • pp.159-167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stochastic monthly runoff model for the Kunwi south station of Wi-stream basin in Nakdong river system. This model was based on the theory of Box-Jenkins multiplicative ARlMA and the state-space model to simulate changes of monthly runoff. The forecasting monthly runoff from the pair of estimated effective rainfall and observed value of runoff in the uniform interval was given less standard error then the analysis only by runoff, so this study was more rational forecasting by the use of effective rainfall and runoff. This paper analyzed the records of monthly runoff and effective rainfall, and applied the multiplicative ARlMA model and state-space model. For the P value of V AR(P) model to establish state-space theory, it used Ale value by lag time and VARMA model were established that it was findings to the constituent unit of state-space model using canonical correction coefficients. Therefore this paper confirms that state space model is very significant related with optimization factors of VARMA model.

  • PDF

Streamflow Generation by Boostrap Method and Skewness (Bootstrap 방법에 의한 하천유출량 모의와 왜곡도)

  • Kim, Byung-Sik;Kim, Hung-Soo;Seoh, Byung-Ha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5 no.3
    • /
    • pp.275-284
    • /
    • 2002
  • In this study, a method of random resampling of residuals from stochastic models such as the Monte-Carlo model, the lag-one autoregressive model(AR(1)) and the periodic lag-one autoregressive model(PAR(1)), has been adopted to generate a large number of long traces of annual and monthly steamflows. Main advantage of this resampling scheme called the Bootstrap method is that it does not rely on the assumption of population distribution. The Bootstrap is a method for estimating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by resampling the data. When the data are a random sample from a distribution, the Bootstrap method can be implemented (among other ways) by sampling the data randomly with replacement. This procedure has been applied to the Yongdam site to check the performance of Bootstrap method for the streamflow generation. and then the statistics between the historical and generated streamflows have been computed and compared. It has been shown that both the conventional and Bootstrap methods for the generation reproduce fairly well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serial correlation, but the Bootstrap technique reproduces the skewness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ones. Thus, it has been noted that the Bootstrap method might be more appropriate for the preservation of skewness.

Decision of GIS Optimum Grid on Applying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with Radar Resolution (레이더 자료의 해상도를 고려한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의 GIS 자료 최적 격자의 결정)

  • Kim, Yon-Soo;Chang, Kwon-Hee;Kim, Byung-Sik;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201-1205
    • /
    • 2010
  • 최근 몇 년간 기후변화에 의해 기상이변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피해가 심각한 수준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수문기상학적 요소와 특성인자들의 정확한 상호 연관성의 규명과 공간적 변동성 해석은 강우-유출 모형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을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레이더 강우 격자 해상도와 지형인자 격자 해상도에 따라 강우-유출모형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분포 강우-유출 모형인 ModClark 모형을 이용하여 강원도 인제군의 내린천 유역을 대상으로 광덕산 레이더자료를 이용하였다. ModClak 모형 구성을 위한 GIS 지형공간 자료는 30m, 150m, 250m, 350m 격자크기의 DEM을 사용하였으며, 2006년 7월 14일부터 7월 17일까지의 관측레이더 강우자료를 500m, 1km, 2km, 5km, 10km 사용하여 유출모의를 실시하고, 각각의 격자해상도에 따른 모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유출수문곡선을 작성하고 유출량 변화를 모의하였다. 분석 결과 첨두유량 및 유출체적에 대해서는 DEM 30m~150m, Grid 500m~2,000m 크기의 격자일 때 가장 최적의 유출 모의를 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통계적 분석에 의한 분석결과에서는 모든 DEM 격자는 Grid 500m인 경우, 모든 Grid 격자는 DEM 30m인 경우에 모형의 적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민감도 산정 결과 지수 등급이 높은 DEM이 분포형 모형의 결과 값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Comparative Studies on the Simulation for the Monthly Runoff (월유출량의 모의발생에 관한 비교 연구)

  • 박명근;서승덕;이순혁;맹승진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38 no.4
    • /
    • pp.110-124
    • /
    • 199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imulate long seres of synthetic monthly flows by multi-season first order Markov model with selection of best fitting frequency distribution, harmonic synthetic and harmonic regression models and to make a comparison of statistical parameters between observes and synthetic flows of five watersheds in Geum river system.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1. Both gamma and two parameter lognormal distributions were found to be suitable ones for monthly flows in all watersheds by Kolmogorov-Smirnov test. 2. It was found that arithmetic mean values of synthetic monthly flows simulated by multi-season first order Markov model with gamma distribution are much closer to the results of the observed data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other models in the applied watersheds. 3. The coefficients of variation, index of fluctuation for monthly flows simulated by multi-season first order Markov model with gamma distribution are appeared closer to those of the observed data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other models in Geum river system. 4. Synthetic monthly flows were simulated over 100 years by multi-season first order Markov model with gamma distribution which is acknowledged as a suitable simulation modal in this study.

  • PDF

Application of cover material for reduction of sediment discharge from sloping upland plots (경사밭에서 발생하는 토양유실량 저감을 위한 지표피복재 적용)

  • Kang, Jong-Cheon;Shin, Min-Hwan;Park, Woon-Ji;Won, Chul-Hee;Choi, Joong-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36-33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강우시 경사지 밭에서 발생하는 토양유실량을 저감하기 위하여 지표피복재의 유무와 강우강도를 달리하여 실외인공강우 실험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인공강우 실험은 경사도 28%와 각 시험포는 $5\times30m$의 크기로 strawmat+PAM+sawdust, control(bare), strawmat+PAM, strawmat+PAM+rice husks를 4개 조성하고, 각 시험포는 하단부에 강우유출수를 채취할 수 있는 설비(flume)를 설치하였다. 대조구 실험을 위하여 각 시험포에서 발생하는 직접유출량과 유사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시험포의 토양은 양질사토로 일반 고랭지 밭의 흙과 동일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토양을 사용하였고, 지표 피복처리는 straw mat, saw dust, rice husk 그리고 PAM 등 4개의 재료를 사용하였다. 인공강우 실험은 1차 10월 18일, 2차 10월 24일, 3차 10월 30일, 4차 11월 7일로 총 21일간 각각 약 1주일의 간격을 두고 실시하였으며 인공강우 시험기의 강우강도는 각 31.1 ~ 44.4 mm/hr로 모의하였다. 연구결과 시험포에서 발생한 유출량은 지표피복을 하지 않은 대조구 시험포보다 지표를 피복한 시험포에서 약 15.7 ~ 19%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량은 대조구 시험포보다 약 93.1 ~ 99.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출량과 유사량은 straw mat+PAM+sawdust와 straw mat+PAM+rice husk를 적용한 시험포에서 저감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지표피복처리는 강우가 발생하였을 때 강우타격력의 감소와 유출수의 유속감소 그리고 침투능을 증가하는 역할을 하여 경사지, 농경지 및 공사현장에서 토양 유실을 저감하며, 하천이나 강으로 유입되는 탁수량의 저감에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Yoencheon Dam Failure Simulation Using the DAMBRK (DAMBRK를 이용한 연천댐 파괴 모의)

  • Jang, Suk-Hwan;Sung, Ha-Seoung;Park, Sa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57-1761
    • /
    • 2007
  • 이 연구는 1999년 7월 31일부터 8월 3일까지 경기도 북부지방의 임진강 전유역에 걸쳐 내린 집중호우로 발생한 연천댐 일부 유실에 따른 사고에 대해 댐파괴를 모의하였다. 댐지점의 홍수량 분석은 HEC-HMS모형을 사용하여 한탄강 유역을 15개의 소유역으로 분할하여 분석하였고 댐유출량 산정은 FLDWAV모형의 DAMBRK모듈을 사용해 모의하였다. 댐파괴 홍수량에 의해 발생되어지는 홍수파 해석은 HEC-RAS모형을 구축하여 모의하였다. HEC-RAS모형의 검증은 1999년 7월 31일부터 8월 2일 까지 한탄강수계 내 전곡수위표에서 관측된 관측수위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연구분석은 댐이 없는 자연상태(Case1)와 댐이 있는 경우 (Case2) 그리고 댐파괴된 경우(Case3) 세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천댐 지점의 첨두 홍수량은 Case1의 경우 $10,324m^3/sec$, Case2의 경우 $10,117m^3/sec$, Case3의 경우 $11,485m^3/sec$로 모의 되었고 이때의 관측수위는 각각 EL.43.59m, EL.43.38m, EL.44.03m였다. 댐이 있는 경우와 댐파괴된 경우를 비교 하였을때 첨두 홍수량은 $1368m^3/sec$증가하였고 수위상승은 0.65m였다. 댐이 없는 자연상태와 댐파괴된 경우를 비교 하였을땐 첨두 홍수량은 $1161m^3/sec$증가하였고 수위상승은 0.65m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