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음 음형대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구개수구개인두성형술 이후의 음성변화

  • 손영익;김선일;윤영선;이은경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7.11a
    • /
    • pp.259-259
    • /
    • 1997
  • 폐쇄성 수면무호흡의 치료를 목적으로 한 구개수구개인두성형술 이후의 음성변화 유무를 파악하여, 성악가 등의 전문적인 음성사용자에게 상기한 수술을 결정함에 있어서 가능한 guideline을 제시하여 보고자 하였다. 수면다원검사상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된 성인남자 20명을 대상으로 수술전후의 음성변화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고, 수술전, 수술후 1개월에 각각 /아/, /이/, /우/ 모음의 제1, 2, 3 음향대를 비교하였으며, 표준 비음비율이 각기 다른 세가지 문장을 이용하여 수술전후의 비음비율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환자 자신은 수술전후의 음성이나 음색의 변화를 느낄 수 없었고, 비음비율의 변화나 모음의 음형대에 대부분은 변화가 없었지만, /우/ 음의 제3음형대 특성에 변화가 있음을 관찰하였고, 구인두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특정언어의 일부 발음이나 vibrato, singer's formant등의 변화유무에 대한 연구가 없는 점을 감안한다면, 성악가를 비롯한 전문적 음성사용자에?서는 구개수 구개인두성형수술을 결정함에 있어 신중을 기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A Study about Formant Characteristics of Nasalized Vowels (비성화된 모음의 음형대 특성 연구)

  • Kim Hyo-jung;Jeong Ok-ran;Kwon Do-ha
    • Proceedings of the KSPS conference
    • /
    • 2003.10a
    • /
    • pp.55-5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nasalization on vowels. Ten males and 7 females produced 5 vowels (/a/, /e/, /i/, /o/, /u/) in conditions: normal and nasalized. In this study we compared normal vowels' formant with nasalized vowels' and examined nasal-formant in the nasalized vowels. The results was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rmal vowels and nasalized in terms of F1 and F2. Second, the nasal formants were observed in nasalized vowels more frequently in females than males. Third, N1 appeared to influence F1 of vowels whereas N2 seemed to have an impact on F2 and/or F3.

  • PDF

An Acoustic Analysis of Vowels for Severe-profound Hearing Impaired Children (최고도이상의 청력손실을 가진 아동의 모음음형대 분석)

  • Huh, Myung-Jin
    • Speech Sciences
    • /
    • v.14 no.2
    • /
    • pp.65-71
    • /
    • 2007
  • The severe-profound hearing impaired children have various disorders in everday communication due to the lack of hearing feedback. Especially, their speech produced unstable voice, omission and distortion of articulation, pitch break, cul-de-sac voice, and so on so that they were difficult to accurately deliver an intended message.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4 vowel sounds produced by 35 severe-profound hearing impaired children using CSL(Computerized Speech Lab, Model 4300b). The formant data were obtained from the spectrogram and analyzed data by 12 formant filter and auto-correlation among the formants. Results showed that the hearing impaired children's formant values came out very high. They produced the vowels at the mode of hypertension with unstable voice. In order to improve their speech, they would need some adequate auditory feedback.

  • PDF

$F_2$ Formant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Aging Male and Female Speakers (한국어 모음에서 연령증가에 따른 제2음형대의 변화양상)

  • 김찬우;차흥억;장일환;김선태;오승철;석윤식;이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 /
    • v.10 no.2
    • /
    • pp.119-123
    • /
    • 1999
  • Background and Objectives : Conditions such as muscle atrophy, stretching of strap muscles, and continued craniofacial growth factors have been cited as contributing to the changes observed in the vocal tract structure and function in elderly speaker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mpare F$_1$ and F$_2$ frequency levels in elderly and young adult male and female speakers producing a series of vowels ranging from high-front to low-back placement. Material and Methods : The subjects were two groups of young adults(10 males, 10 females, mean age 21 years old range 19-24 years) and two groups of elderly speakers(10 males, 10 females, mean age 67 years : range 60-84 years). Each subject participated in speech pathologist to be a speaker of unimpared standard Korean. The headphone was positioned 2 cm from the speakers lips. Each speaker sustained the five vowels for 5 s. Formant frequency measures were obtained from an analysis of linear predictive coding in CSL model 4300B(Kay co). Results : Repeated measure AVOVA procedures were completed on the $F_1$ and $F_2$ data for the male and female speakers. $F_2$ formant frequency levels were proven to be significantly lower fir elderly speakers. Conclusions : We presume $F_2$ vocal cavity(from the point of tongue constriction to lip) lengthening in elderly speakers. The research designed to observe dynamic speech production more directly will be needed.

  • PDF

비폐색 부위에 따른 비강자음의 음향학적 특성과 비음비율의 변화

  • 손영익;정유석;윤영선;이은경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7.11a
    • /
    • pp.253-253
    • /
    • 1997
  • 비폐색이 있는 경우 음성이 변하는 것을 쉽게 느낄 수 있지만, 비폐색 때의 음향학적인 특성에 대하여 알려진 바를 찾기는 쉽지 않다. 저자들은 인위적으로 비폐색을 유발하여 비폐색 부위에 따른 비강자음의 음향학적 변화특성을 파악하고 비음도의 변화 정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정상비음도를 보이는 성인남녀 각 10명을 대상으로, 2ml의 부피를 갖도록 수술용장갑에 Merocel$^{\circledR}$을 넣은 뒤, 이를 이용하여 ostiomeatal unit(OMU)을 중심으로 전후상하 4부위의 인위적인 비폐색을 유발하여, 비폐색 전과 후의 부위에 빠른 차이틀 비교하였다. /나나/의 발성을 각 조건에서 3회 실시하여, 모음중간의 /ㄴ/중 (CVCV) 안정된 spectorgram소견을 보이는 부위를 선택하여, 해당구간의 제1, 제2, 제3 음형대와 각각의 bandwidth 평균값을 남녀별로 비교하였고, 표준비음비율이 알려진 rabbit, baby, mama 문장을 이용하여 비음비율을 비교하였다. 남녀모두 비폐색전에 비하여 OMU의 앞쪽부위를 막은 경우에 제1음형대가 가장 뚜렷하게 감소되었으며, 비음비율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비폐색이 있는 경우, 비강자음 /ㄴ/은 제1음형대를 중심으로 주요변화가 일어남을 알 수 있었으며, 비폐색 부위에 따라 비음비율이나 제1음형대 감소의 정도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