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음 검사어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한국인의 영어 어두 유성파열음의 습득과 후속모음 높이와의 관계 (Acquisition of English Voiced Stop in Word Initial Position: Correlation with Vowel Height)

  • 윤수연;서민경;송윤경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9권 1호
    • /
    • pp.321-324
    • /
    • 2000
  • 한국어는 어두에서 유성파열음이 나타나지 않고 약한 기식이 있는 연자음으로 실현되므로 영어의 유성파열음을 발음하기 어렵다. 한국인이 어두 유성파열음을 습득할 때 후속하는 모음의 높이가 영향을 미치리라 가정하고 /이, 에, 어, 우/ 4개의 모음을 선택하여 어두유성파열음 의 VOT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단독단어와 문장에서 살펴보았다. native, 숙련자, 미숙련자의 세 그룹으로 나누어 실시한 결과 native의 경우 후속하는 모음이 어두파열음의 VOT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으며, 이러한 경향은 숙련자 그룹에서도 지켜짐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미숙련자 그룹인 경우 고모음이 저모음에서보다 VOT가 현저하게 길었고 통계검사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고모음에서 유성발음을 잘 못함을 알 수 있었다. native와 숙련자 그룹은 intermediate phrase(이하 iP) initial인 단어나 iP medial인 문장에서 VOT가 거의 유사한데 비해 미숙련자 그룹에서는 문장 내에서 VOT가 조금씩 짧아졌고 이 경향은 고모음에서 두드러져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PDF

스펙트로그램을 이용한 근위축성측삭경화증 여성 화자의 모음 포먼트, 음성강도, 기본주파수의 변화 (Characteristics of Vowel Formants, Voice Intensity, and Fundamental Frequency of Female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using Spectrograms)

  • 변해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193-198
    • /
    • 2019
  • 본 연구는 근위축성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으로 진단된 여성을 대상으로 음향음성학적 스펙트로그램 분석을 이용하여 11개월 동안 모음과 이중모음의 포먼트 변화(vowel formant variation)를 분석하였다. 검사어는 단모음 /a, i, u/와 이중모음 /h + ja + da/, /h + wi + da/, /h +ɰi+ da/를 이용하였다. 발화자료는 'Alv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니터에 제시된 단어읽기과제를 통해 수집되었고, 녹음환경은 nyquist frequency는 5,500Hz, sampling rate는 11,000Hz으로 설정하였다. 녹음자료는 스펙트로그램을 이용하여 강도, 음도와 이중모음의 포먼트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ALS의 진행과정에서 기본주파수와 강도가 저하되었고, 단모음에서의 포먼트 변화보다는 이중모음의 포먼트 기울기의 감소가 특징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병의 진행에 따른 ALS의 모음왜곡이 혀와 턱의 협응력 감소에 기인함을 시사한다.

검사어 및 성별.연령에 따른 음절 최대 반복 속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f Syllable Maximum Repetition Rate for Stimuli, Age and Sex)

  • 최홍식;차정민;심현섭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5-60
    • /
    • 2001
  • Background and Objectives : Syllable Maximum Repetition Rate(MRR) is ability to repeat rapidly the articulators and is assessed for oromechanism function as one of the MPT. MRR is measured by rate(counts/sec), also simultaneously considered accuracy and consistency.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was to examine stimuli effects and age and sex differences for MRR. Materials and Method : This study was participated 60 normal males and females(1 : 1)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young(<40 years old) and old($\geq$40 years old). Stimuli were $/{P^=}a/,/{t^=}a/,/{k^=}a/,/{P^h}a/,/{t^h}a/,/{k^h}a/,/{P^=}{at^=}{ak^=}a/$ for, manner(tense and aspirated) of articulation, $/{p^h}{at^h}{ak^h}a/,/{t^h}{ap^h}{ak^h}a/$ for the effect of the order of syllable, glide /u-i/ for coordination of lip and tongue, interrupted vowel /i/ for laryngeal function. Results :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two age groups and sex and manner of articulation for MRR tasks. The fastest average MRR of the single syllable included in this study was $/{t^=}a/$.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between MRR for ${p^h}{at^h}{ak^h}a/ and /{t^h}{ap^h}{ak^h}a/$, which suggested that MRR was affected by the order of the syllables. MRR for interrupted vowel /i/ was about 2 counts/sec slower than average rate of 1 syllables. Conclusion : From these results, the order of the syllables was a crucial variable in MRR. rather than age or sex. There were no difference age, sex and manner of rate. The interrupted vowel repetition rate was slightly slow used and can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assess the speech mechanism and can be useful to develop effective stimuli to differentiate the disordered group from normal.

  • PDF

검사어의 모음 환경과 길이 및 연령에 따른 비음치 (Effects of vowel context, stimulus length, and age on nasalance scores)

  • 신일산;하승희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8권3호
    • /
    • pp.111-116
    • /
    • 2016
  • The Nasometer is most commonly used to assess the presence and degree of resonance problems in clinical settings and it provides nasalance scores to identify the acoustic correlates of nasality. Nasalance scores are influenced by factors related to speakers and speech stimuli.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vowel context and length of stimuli and age on nasalance scores. The participants were 20 adults and 45 children ranging in age from 3 to 5 years. The stimuli consisted of 12 sentences containing no nasal consonants. The stimuli in the three vowel contexts (low, high, and mixed) consisted of 4, 8, 16, and 31-syllable long sentences. Speakers were asked to repeat each stimulus after examiner. The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effects of vowel contexts and stimulus length on nasalance scores. The nasalance scores for the high vowel contex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or the mixed and low vowel contexts. The nasalance scores for the mixed vowel contex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or the low vowel contexts. Speakers had higher nasalance scores for 4-syllable long sentences and 31-syllable long sentences than for 16-syllable long sentences. The effect of age on nasalance scores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vowel context and length of speech stimuli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when interpreting the nasalance scores.

우리말 100단음절의 명료도와 오청상에 관한 연구 (Articulation Scores and Confusion Patterns of the 100 Monosyllable Korean Speech Sounds)

  • 유방환;김홍기;노관택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2년도 춘계종합 학술대회 초록집
    • /
    • pp.1.1-1
    • /
    • 1972
  • 청력검사의 검사자료로는 어음이 가장 적당하지만 검사어음의 선택에는 많은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우리말 어음에 대한 공인된 검사용어표가 아직도 없다. 때문에 저자는 이 표 작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정상인, 각종향음하에서 정상인 및 난청자에 있어서 각각 그 명료도와 오청상에 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사용어로는 일상생활에서 사용빈도가 많은 박의 498어음중 100개를 선택하여 정상인에서 60㏈의 어음강도로 검사하였을 경우와, 여러 강도의 white noise와 speech noise를 어음과 동시에 주었을 경우와, 난청자에서 여러 강도의 어언을 주었을 때 반응결과를 검토하여 보았다. 일반적으로 얻은 결과는 명료도가 불량한 감음성난청자를 제외하고는 정상인, 소음하에서 정상인 및 난청자에서의 오청상은 어두자음, 모음, 어미자음 각각 그들 음소의 판별적 자질에 따라 혼동하는 경향이 있었다. 명료도가 불량한 난청에서는 상기 변화규칙에 예외 되는 경우가 많았다. 명료도가 불량한 감음성 난청에서는 상기 변화규칙에 예외 되는 경우가 많았었다. 비교적 강한 소음하에서는 소음의 종류에 따라 같은 강도라도 오청률의 차를 현저히 볼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