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션장비

Search Result 97, Processing Time 0.063 seconds

A Design on Sub-Motion System for Full Body Tracking (풀 바디 트래킹을 위한 서브 모션 시스템 설계)

  • Kim, Hoyong;Wu, Guoqing;Sung, Yunsic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10a
    • /
    • pp.889-891
    • /
    • 2018
  • 가상현실 (Virtual Reality, VR) 컨텐츠가 다양해지면서 사용자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초기 VR 컨텐츠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Head Mounted Display, HMD)와 컨트롤러만 사용한다. 사용자의 요구가 높아지면서 현실적인 컨텐츠 구현을 위해서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으로 제어하는 풀 바디 트래킹(Full Body Tracking)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머리에 착용하는 HMD와 양손으로 제어하는 두 개의 컨트롤러 뿐만 아니라 모션캡쳐장비, 트래커 장비를 사용자의 다양한 위치에 착용시켜, 세밀한 움직임 트래킹이 가능해졌다. 본 연구에서 서브 모션 기반의 움직임 추적 방법과 이를 기반한 서브모션 시스템을 제안한다. 서브모션 시스템은 VR 컨텐츠에 사용되는 사용하는 센서 위치를 VR캐릭터의 대응되는 위치에 출력하는 방식이 아닌,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다양한 센서 위치 변화를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VR에서 사전에 지정된 모션을 인식 및 출력한다. 사용자의 움직임을 세분화하여 각각의 연속된 서브모션들로 인식하고, 각각의 서브 모션에서 연속적으로 인식 가능한 서브 모션을 분기를 통해 정의하고 인식함으로써 다양하고 자유도 높은 모션 처리가 가능하다. 선행 기술들의 문제점인 고정된 데미지 방식 및 부자연스러운 모션을 해결하고 사용자에게 실제와 같은 동작을 취하도록 유도하여 몰입감등을 부여할 수 있다. 서브 모션들을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시스템을 통해 풀 바디 트래킹 VR 컨텐츠에 적용 가능한 엔진을 연구 및 개발하여 해당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Technology Trends of Virtual Reality based Motion-Platforms (가상현실 기반의 모션플랫폼 기술동향)

  • Cho, H.;Kim, H.K.;Jeon, W.J.;Kim, K.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9 no.1
    • /
    • pp.31-40
    • /
    • 2014
  • 모션플랫폼은 4D 효과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모션을 제시하는 장비로써, 영화, 엔터테인먼트, 군용 비행 조종훈련, 특수장비 전문가 양성 등의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가상현실 기술과 접목되어 적절한 모션을 제공함으로써 사실적인 체험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기존의 초대형 정밀 군사 시뮬레이터를 유지하기 위한 공간과 비용을 줄이고자 하는 시도와 함께, 단순히 순간순간의 충격만을 전달해주는 저가의 4D 의자가 주는 효과의 한계성을 뛰어넘고자 하는 요구사항이 증가함에 따라, 그 접점에서 새로운 형태의 모션 제공을 통해 모션플랫폼의 신 시장을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고에서는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한 모션플랫폼을 응용분야와 동작방식에 따라 분류해 보고, 그에 따른 시장 및 기술개발의 지향점에 대해서 기술한다.

  • PDF

Motioncapture program development by using Kinect (Kinect를 이용한 모션캡쳐 프로그램 개발)

  • Kim, Seul-Gi;Kim, Min-Jae;Park, Gi-Hyun;Lee, Yu-Yong;Heo, Woong;Kim, J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492-49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Kinect 장비를 이용하여 모션캡쳐를 할 수 있는 툴을 제작하여 제공한다. 자신이 캡쳐한 모션 데이터를 Web상에 공유하여 다른 사용자들이 볼 수 있게 한다. 궁극적인 목표로는 보급형 모션캡쳐장비 Kinect 사용한다면 간단하고 비교적 저렴하게 모션캡쳐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모션캡쳐라는 생소함을 해소시키고자 함에 목표를 두었다.

Graph-based Motion Segmentation using Normalized Cuts (Normalized Cuts을 이용한 그래프 기반의 모션 분할)

  • Yun, Sung-Ju;Park, An-Jin;Jung, Kee-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c
    • /
    • pp.522-526
    • /
    • 2008
  • 모션 캡쳐 장비는 사람의 자연스러운 행동이나 동작 정보를 정밀하게 얻기 위해 널리 사용되며, 영화나 게임과 같은 콘텐츠에서 자주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모션 캡쳐 장비가 고가이기 때문에 한번 입력받은 데이터를 모션별로 분할하고 상황에 맞게 재결합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입력 데이터를 모션별로 분할하는 것은 대부분 수동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캡쳐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할하기 위한 연구들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크게 전역적 특성에 대한 고려없이 이웃하는 프레임만을 고려하는 온라인 방식과 데이터를 전역적으로 고려하나 이웃하는 프레임 사이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는 오프라인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방식을 병합한 그래프 기반의 모션 분할 방법을 제안한다. 분할을 위해 먼저 모션데이터를 기반으로 그래프를 생성하며, 그래프는 이웃하는 각 프레임사이의 유사도뿐만 아니라 시간축을 기반으로 일정시간내의 프레임들의 유사도를 모두 고려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그래프를 분할하기 위해 분할된 모션내의 유사도 합을 최소화하고 각 모션간의 유사도는 최대화할 수 있는 normalized cuts을 이용하였다. 실험에서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오프라인 방식 중 하나인 GMM과 온라인 방식 중 하나인 국부최소값 분할 방법보다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이는 각 프레임 사이의 유사도뿐만 아니라 일정시간내의 유사도를 전역적으로 고려하기 때문이다.

  • PDF

PCA-based motion blending (PCA 기반 모션 블렌딩)

  • Jung Woojun;Lee In-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760-762
    • /
    • 2005
  • 캐릭터 애니메이션에 모션 캡쳐를 도입하면서 사실적인 애니메이션의 제작에 않은 도움을 받을 수 있었지만, 필요한 동작 마다 계속해서 고가의 장비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해야하기 때문에 모션 캡쳐를 이용한 애니메이션 제작에는 많은 비용이 든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 수집된 모션 캡쳐 데이터의 재사용 방안중 하나로 두 개의 캐릭터 애니메이션 시퀀스에서 개개의 특징을 유지하는 또 다른 애니메이션 시퀀스를 만들어내는 방법을 제안한다. 주성분분석(PCA)를 이용하여 두 모션의 평균 모션과 각각을 적절한 비율로 반영하여 선택, 합성하는 간단하면서도 직관적인 방법이다.

  • PDF

Comparison of simulation racing reality using simulation racing data based on racing equipment (레이싱 장비 기반의 시뮬레이션 레이싱 데이터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레이싱 현실성 비교)

  • Lee, Yoseb;Lim, Young-Ha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2
    • /
    • pp.393-398
    • /
    • 2022
  • In order to experience and compete in car racing in reality, the barrier to entry is very high. It takes a lot of money and time to recruit or participate in a license, expensive vehicle, and stadium where the game can be played. Because of this problem, various equipment is used to create a feeling similar to real racing in their own space through sim racing equipment. Equipment similar to this reality is called sim racing equipment. The sim racing equipment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is a racing game device that can run virtual racing, the second is a steering wheel, seat, and cradle that are linked to the racing game device, and the third is a racing motion device that allows the body to experience the direction of movement in the racing game. In this thesis, the feeling of real car racing is based on game racing, and how similar reality to real racing is through the steering wheel and cradle equipment, which are equipment that can control game racing, and motion equipment that allows you to experience the direction of game racing. Let's check how the difference between real racing and data value changes through the G-Force direction and speed change values.

Regeneration of Upper-body Motion of Humanoid Robot Using Human Motion Capture Data (모션캡쳐 DB를 이용한 휴머노이드 로봇의 상체 동작 재생성)

  • Kim, Seung-Su;Kim, Chang-Hwan;Park, Jong-Hyeon;You, Bum-J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d
    • /
    • pp.1935-1936
    • /
    • 2006
  • 인간과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함에 있어 휴머노이드 로봇은 그 외형이 인간에게 친숙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 행동역시 인간과 유사해야 한다. 인간의 상체 동작과 유사한 동작은 인간과의 의사소통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인간의 동작과 유사한 동작을 수학적인 식을 통하여 생성해 내기는 매우 힘들다. 수학적 모델을 개발하려는 노력과는 달리 최근에는 모션캡쳐 장비로부터 동작데이터를 획득하고, 그 데이터를 휴머노이드 로봇에 입력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로봇과 인간이 의사소통함에 있어서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모션캡쳐 장비로 획득하여 저장해 놓기는 불가능 하다. 또한, 동작을 통하여 의미를 전달하는 의사소통의 경우에 상대방과 분위기에 따라 동작의 방향이나 크기를 달리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의미가 있는 동작을 모션캡쳐 장비로부터 획득하고, 휴머노이드 로봇에 맞게 변환한 다음, 그 데이터를 상황에 맞게 실시간으로 변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을 몇가지 동작에 적용하여 그 실효성을 검정하였다.

  • PDF

Graph-based High-level Motion Segmentation using Normalized Cuts (Normalized Cuts을 이용한 그래프 기반의 하이레벨 모션 분할)

  • Yun, Sung-Ju;Park, An-Jin;Jung, Kee-Chul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5 no.11
    • /
    • pp.671-680
    • /
    • 2008
  • Motion capture devices have been utilized in producing several contents, such as movies and video games. However, since motion capture devices are expensive and inconvenient to use, motions segmented from captured data was recycled and synthesized to utilize it in another contents, but the motions were generally segmented by contents producers in manual. Therefore, automatic motion segmentation is recently getting a lot of attentions. Previous approaches are divided into on-line and off-line, where ow line approaches segment motions based on similarities between neighboring frames and off-line approaches segment motions by capturing the global characteristics in feature spa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graph-based high-level motion segmentation method. Since high-level motions consist of repeated frames within temporal distances, we consider similarities between neighboring frames as well as all similarities among all frames within the temporal distance. This is achieved by constructing a graph, where each vertex represents a frame and the edges between the frames are weighted by their similarity. Then, normalized cuts algorithm is used to partition the constructed graph into several sub-graphs by globally finding minimum cuts. In the experiments, the results using the proposed method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PCA-based method in on-line and GMM-based method in off-line, as the proposed method globally segment motions from the graph constructed based similarities between neighboring frames as well as similarities among all frames within temporal distances.

Motion Adaptation with Self-intersection Avoidance (자기 교차 회피를 고려한 동작 적응)

  • 정규만;이승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622-624
    • /
    • 2000
  • 모션 캡쳐 데이터를 이용하는 애니메이션에서 가장 큰 이슈는 재사용이다. 같은 동작이지만 약간의 변화가 있는 동작을 하는 데이터를 얻기 위해 다시 모션 캡쳐 장비를 가지고 작업을 해야 한다면 많은 시간과 돈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모션 캡쳐 데이터의 재사용에 대한 연구 중 동작 적응은 이미 존재하는 모션 캡쳐 데이터를 다른 가상 캐릭터에 적용하는 문제를 다루고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동작배우와 가상 캐릭터의 길이 차이에만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길이의 차이와 함께 부피의 차이를 모두 고려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4K UHD Graphic Moving Pattern Generator for Testing 4K UHD broadcast Equipment (방송장비 시험을 위한 4K UHD 그래픽 동영상 패턴발생장비 개발)

  • Kwak, Kyungchul;Yang, Jinyoung;Shin, Soogeun;Kwon, D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6.06a
    • /
    • pp.384-387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4K UHD 방송장비 중 디스플레이기기와 인코더의 성능 시험을 위해 개발된 패턴 발생장비를 소개하고 있다. 패턴의 제작 및 재생 방법에 따라 표출되는 패턴의 종류를 그래픽/실사, 정지/동영상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모션블러, 모션져더, AV lip sync, 텍스트 주변 인코딩 화질 열화 확인, 화이트 노이즈, 프레임 누락, HDR 확인, 지연시간 측정, 계단현상 확인, 이미지 스티킹 등 그래픽 동영상 패턴에 대해 각각의 제작 의도를 설명하고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기기와 인코더의 성능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개발된 패턴발생장비의 입출력 사양을 제시하고 있다.

  • PDF